홈 > 디렉토리 분류

1858년 성주(星州) 이참판댁(李參判宅) 노(奴) 돗성(㘏成) 소지(所志)-1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6+KSM-XB.1858.4784-20140630.E4784544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작성주체 돗성, 초계군
작성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작성시기 1858
형태사항 크기: 94 X 54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858년 성주(星州) 이참판댁(李參判宅) 노(奴) 돗성(㘏成) 소지(所志)-1
1858년 2월, 성주에 있는 성산이씨 가문의 노(奴) 도성초계군수에게 올린 소지이다. 1858년에 성산이씨 가문은 초계군 갑산면에 점지해 놓은 묘지터에 누군가 투장한 사건을 겪는데, 이 무덤을 파낼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요청에 대해 초계군수는 초8일에 다음과 같이 범인 변준곤으로 하여금 무덤을 파내게 하라는 처결을 내렸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858년(哲宗 9) 2월, 星州에 있는 星山李氏 가문의 奴 㘏成草溪郡守에게 올린 山訟관련 所志이다.
1858년(哲宗 9) 2월, 星州에 있는 星山李氏 가문의 奴 㘏成草溪郡守에게 올린 所志이다. 1858년에 星山李氏 가문은 草溪郡 甲山面에 점지해 놓은 묘지터에 누군가 투장한 사건을 겪는데, 범인은 下吏 卞俊坤이었다. 관련문서는 본 소지를 포함하여 4건이 있다. 나머지 문서는 ‘1858년 성주(星州) 이참판댁(李參判宅) 호노(戶奴) 도성(道成) 소지(所志)’, ‘1858년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관(關)’, ‘1858년 성주(星州) 이참판댁(李參判宅) 노(奴) 돗성(㘏成) 소지(所志)-2’이다.
본 문서의 발급연도는 ‘무오’년이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이 가문을 ‘李參判宅’이라고 지칭한 것을 보면 1858년인 것을 알 수 있다. 이 가문의 李原祚(1792~1872)가 1856년兵曹參判을 역임했기 때문이다.
㘏成이 설명하는 상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 상전댁에서 壽藏(생전에 미리 무덤을 만듬)을 하기 위해 군수께서 다스리시는 甲山面 縣洞村에 占山해 놓았고, 거기에 두 번 직접 가서 살펴본 사실은 모르는 사람이 없습니다. 이제 막 무덤을 두려고 내려가 보니, 穴 옆에다가 몰래 시신을 묻어 놓은 것[偸埋]이 있었습니다. 이는 기회를 틈타 먼저 나섬으로써 감히 묘터를 빼앗으려 하는 것입니다. 偸埋한 인간은 邑吏라고 합니다. 邑吏가 이렇게 방자한 짓을 저지르다니 극히 한심합니다." 라고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奴 㘏成은 다음과 같이 요청하고 있다.
"즉시 將校와 서리를 보내어, 우리 무덤을 해당 穴에 둘 수 있게 하고 偸埋한 무덤은 즉시 파내도록 바랍니다." 라고 하였다.
이러한 요청에 대해 草溪郡守는 초8일에 다음과 같이 처결을 내렸다.
"宰相 집안에서 표해 놓은 땅에 몰래 偸葬한 것은 극히 놀랍다. 즉시 파내고, 외람된 행동을 한 죄를 갚게 하라." 라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58년 성주(星州) 이참판댁(李參判宅) 노(奴) 돗성(㘏成) 소지(所志)-1

星州李參判宅奴㘏成
右謹言。矣宅方營壽藏。占山於 治下甲山面縣洞村傍是如。再度親審。人無不知。而今方置塚次下來。則有一偸
埋於穴傍是如乎。乘機先發。敢生圖奪之計者。極爲憤痛哛除。偸埋之人間是邑吏云。邑吏之作此濫擧。尤
極寒心。玆以仰訴爲去乎。卽爲發遣將吏。置塚於當穴是遣。偸埋塚段。卽地掘去爲只爲。行下向敎是事。
草溪官司主 處分。 戊午二月 日。

宰相家置標之
地。暗自偸葬者。
誠極駭然。不日內
卽速掘移。以贖
猥濫之罪。宜當
向事。
初八日。彼隻。

[草溪官] [署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