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96년 이규집(李圭執) 서간(書簡)의 별지.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96.4889-20090831.D48860547-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규집, 김인섭
작성지역 경상남도 합천군
작성시기 1896
형태사항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단계리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1896년 이규집(李圭執) 서간(書簡)의 별지.
1896년(병신) 12월 16일에 이규집(李圭執)김인섭(金麟燮)에게 보낸 편지의 별지이다. 여러 가지 물건을 돌려보내며 그 종류와 수량을 적었다. 풍차(風遮, 방한용두건)는 다 돌려주었다고 하고, 옷가지와 녹두, 나무망치, 대나무로 만든 갈고리, 짚신이 적혀있다.
1차 집필자 : 김남규, 2차 집필자 : 오덕훈

상세정보

1896년(병신) 12월 16일에 이규집(李圭執)김인섭(金麟燮)에게 보낸 간찰의 별지로 물건을 돌려보내며 그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
내용 및 특징
1896년(병신) 12월 16일에 李圭執金麟燮(1827~1903)에게 보낸 간찰의 별지이다. 여러 가지 물건을 돌려보내며 그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이다. 風遮는 다 돌려주었다고 하고, 옷가지와 녹두, 나무망치, 대나무로 만든 갈고리, 짚신이 적혀있다.
자료적 가치
『慶南文化硏究』24집, 「진주 지역 문집의 현황과 그 의미」, 이상필, 경상남도문화연구소 2003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이상필, 와우[예맥커뮤니케이션] 2005
『端磎集』, 김인섭, 남명학고문헌시스템
1차 집필자 : 김남규, 2차 집필자 : 오덕훈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96년 이규집(李圭執) 서간(書簡)의 별지.


風遮 還完耳
衣件 一次
彔豆 一斗
木椎 二介
竹鉤 三介
草履 一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