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60년 굉(紘)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F.1760.4717-20160630.y161001022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굉, 유정원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760
형태사항 크기: 27 X 38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주진 전주류씨 삼산종가 / 경상북도 안동시 수곡면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 주진 전주류씨 삼산종가 /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1760년 굉(紘) 서간(書簡)
경진년 8월 5일, 이라는 사람이 전주 유씨 삼산종가에 있는 형뻘이 되는 사람에게 보낸 안부편지이다. 편지의 서두에서 지난번의 짧은 만남이 아쉬웠다는 말과 함께 근래 병환이 어떠시냐는 말로 수신자의 근황을 물었다. 그리고 발신자 자신에 대해서는 늘 하는 것처럼 부모님을 모시며 별달리 전할 말이 없다는 간단한 말로 자신의 근황을 전했다. 끝으로 수신자가 계신 곳의 사정이 궁금하니 알려달라는 부탁의 말과 함께 바빠서 이만 줄인다는 말로 편지의 끝을 맺었다.
이 편지는 그 자체로만 보면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안부를 여쭈는 평범한 것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 편지의 발신자인 임신년, 즉 1752년 3월 16일에 보낸 편지와 연계해 보면 이 편지의 수신자는 삼산 유정원이며, 이 편지가 쓰인 경진년1760년으로 유정원이 세상을 떠나기 2년 전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해 보면 두 사람은 이 편지에 쓰인 말에서도 확인할 수 있지만, 서로를 각별하게 생각하는 손위아래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
『古文書集成 四十四』 -安東 全州柳氏篇 1(水谷宗宅)-,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全州柳氏大同譜』,
1차 작성자 : 하창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庚辰年(1760) 8월 5일, 紘이라는 사람이 全州 柳氏 三山宗家에 있는 형뻘이 되는 사람에게 보낸 안부편지
庚辰年(1760) 8월 5일, 이라는 사람이 全州 柳氏 三山宗家에 있는 형뻘이 되는 사람에게 보낸 안부편지이다.
편지의 서두는 얼마 전에 만났던 일을 화제로 시작하고 있다. 그 만남은 그 시간이 짧아 마치 꿈만 같이 지금까지도 한스럽고 슬프다는 말로 발신자가 수신자에 대한 마음이 어떠한가를 전하였다. 이어서 근래에 병환이 어떠시냐며 수신자의 근황을 물었다. 아마도 이 물음은 지난번에 만났을 때에 알게 된 사실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래서 근황의 물음에 이어 깊이 염려할 것이 못된다고 하셨으나 계속 안타까운 마음이 그지없었다고 말한 것이다. 그러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쾌유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제는 완쾌하여 편안하신지를 물었다. 이에서 부모님을 모시는 일은 여전하고, 그 밖의 일은 세세하게 딱히 아뢸 만한 일은 없다는 말로 발신자는 수신자에게 자신의 근황을 알렸다. 그리고 수신자가 계신 곳의 사정이 궁금하니 알려달라는 부탁의 말과 함께 바빠서 이만 줄인다는 말로 편지의 끝을 맺었다.
이 편지에서 발신자는 말미에 자신을 "弟"이라고 하고, 본문에서도 자신을 "弟"라고 지칭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수신자보다 발신자가 어린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뿐 두 사람의 관계나 수신자가 누구인지는 전혀 알 수 없다. 하지만 이 편지의 발신자인 이라는 사람이 임신년, 즉 1752년 3월 16일에 보낸 편지를 보면 이 편지의 수신자가 三山 柳正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에서 보면 이 편지의 내용은 좀 더 명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여기서의 경진년은 1760년으로 유정원이 세상을 떠나기 2년 전이며, 이때에 이미 유정원은 조금씩 병으로 앓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 편지만으로는 발신자인 과 수신자인 유정원이 인척관계인지 또는 서로 왕래가 잦은 손위아래의 사람의 관계인지 확정할 수 없다. 다만 오랜 기간을 두고 편지를 주고받은 것이나 이 편지에 쓰인 말들을 보면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쏟는 애정이 각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정황들로 볼 때 이 편지를 주고받는 두 사람이 나이 차이가 나지만 아주 친밀한 사이라고 추정해볼 수 있다.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
『古文書集成 四十四』 -安東 全州柳氏篇 1(水谷宗宅)-,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全州柳氏大同譜』,
1차 작성자 : 하창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頃奉如夢迨切悵黯
不審近來
病患何如是雖不足
深慮而亦一難堪處
爲之代憫不已今已快完
氣度平泰否弟侍事
依昨餘外瑣屑無足爲
喩爲探
令所告之如何玆以
寄候忙不宣伏惟
令照謹候狀
庚辰八月初五日弟拜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