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17년 김진성(金鎭聲)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10+KSM-XF.1917.4775-20180630.01312570016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진성, 수곡문중
작성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도리
작성시기 1917
형태사항 크기: 23.5 X 56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수곡 전주류씨 수곡파 대야고택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안내정보

1917년 김진성(金鎭聲) 서간(書簡)
의성김씨 문중의 김진성(金鎭聲)무실[水谷] 문중에 보낸 것으로 보이는 편지로 먼저 상대의 안부를 묻고 자신의 집안에서 간행한 책 때문에 일어난 불화에 대하여 책임을 인정하고 노여움을 거두기를 부탁하는 내용이다.
1차 작성자 : 김상년

상세정보

1917년 12월 24일, 金鎭聲이 상대의 안부를 묻고, 자신의 집안에서 간행한 책 때문에 일어난 불화에 대하여 자신의 책임을 인정하고 노여움을 거두기를 부탁하기 위하여 보낸 편지
1917년 12월 24일, 金鎭聲이 상대의 안부를 묻고, 자신의 집안에서 간행한 책 때문에 일어난 불화에 대하여 자신의 책임을 인정하고 노여움을 거두기를 부탁하기 위하여 보낸 서간이다. 1917년 12월 24일의 서간과 발신 일자가 같은 12월 24일이다. 상대를 ‘집사 여러분[僉執事]’로 호칭한 것으로 볼 때 이 서간의 수신인도 1917년 12월 24일에 보낸 서간과 마찬가지로 무실[水谷] 문중인 것으로 보인다.
먼저 심부름꾼이 돌아오는 편에 대강의 형편을 알았다 하고, 겸하여 상대 집안 여러분이 연명하여 보낸 편지를 보니 얼굴이 붉어지고 땀이 흐를 정도로 부끄러워 몸 둘 곳을 모르겠다고 서두를 열었다. 자신은 지난번 일로 찾아뵙고서 여러분들의 후대와 보호를 입고 진심으로 감사하였는데, 돌아와서 이른바 사과하고 입장을 밝히며 보냈다는 편지는 상대 여러분의 말대로 자신이 해야 할 도리를 다하고 진정을 표현한다는 마음으로 쓴 것이었다 하고, 그러나 본의와 다르게 차례 없이 횡설수설한 말 때문에 거친 것까지 포용해주는 상대의 넓은 도량을 격분시켜 회피할 수 없는 견책을 불렀다고 하였다. 이 모두가 자신이 잘못이 부른 죄라는 것을 잘 알겠으니, 후회막급이지만 노여움을 조금만 거두고 일부러 저지른 죄로 치부하지 말아 주기를 원하였다. 그리고 기왕의 일은 다시는 거론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이전에 종유하였던 분의를 회복하도록 처분해주기를 빈다 하고, 그런 의미에서 상대 쪽에 반질한 책자는 다음 인편에 돌려주기 바란다고 하였다.
발신인 金鎭聲의 신원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1917년 12월 24일 간찰의 연명자와 마찬가지로 청송 도리의 의성김씨 문중의 일원으로 추정된다.
1차 작성자 : 김승균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17년 김진성(金鎭聲) 서간(書簡)

謹拜拜候狀。
伻還。詢悉大槪。兼承尊門僉執事
辱覆聯緘。奉玩百回。自不覺騂顔而汗背。罔
知措躬。將何辭以修謝自文也。反而惟之。則
自分愚陋。素無勝輔之資益。而向行因事
一進。猥承僉賢之曲護。兼荷尊座
之厚眷。不趐心肺之感鐫。而歸后所謂謝
過自明者。以依尊門盛敎。備盡吾自處
之道。爲竭盡無餘蘊。而書中無倫序橫
竪之辭。反激包荒大度。以致難逭之誅。實
距心之自知也。到今噬臍莫及。補劓靡策。
伏望少霽憤怒。勿歸之於故犯之科如何。嫌悚
無已。旣迬倚閣勿論。收頒毁板。依尊敎
自處爲計如是。則更安有憤惋之層加。而
坦道夬伸之擧措也。不須張皇提喩。無負
前頭事從之契。如何如何。貴中頒去冊子。
惟在盛諒。從后便回擲切仰。卽玆歲薄
如紗。只祈
靜體度餞迓蔓休。庸副瞻仰。伏惟
尊照。
丁巳 臈月 二十四日。忝弟 金鎭聲 拜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