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10년 노비주(奴婢主) 유학(幼學) 류석삼(柳錫三) 초사(招辭)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8+KSM-XD.1710.0000-20160630.2063300950_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증빙류-초사
내용분류: 법제-소송/판결/공증-초사
작성주체 류석삼
작성시기 1710
형태사항 크기: 34.5 X 139.0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수곡 전주류씨 수곡파 대야고택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1710년 진보현(眞寶縣) 노비매매 사급입안(斜給立案) 문서
일련의 문서는 안동 전주류씨(全州柳氏) 수곡파(水谷派) 대야고택의 1710년 진보현(眞寶縣) 노비매매 사급입안(斜給立案) 관련 자료이다. 매매명문과 소지는 없으며 ①1710년 노비주(奴婢主) 유학(幼學) 류석삼(柳錫三) 초사(招辭), ②1710년 증인 유학(幼學) 류한시(柳翰時) 등 초사(招辭), ③1710년 진보현(眞寶縣) 노비매매 입안(立案)이 점련되어 있다. ①~②번 문서는 재주와 증인의 진술서이다. 노비주 류석삼은 흉년을 만나 공사채(公私債)를 갚을 길이 없어 비 윤분과 노 기축을 50냥을 받고 방매한 것이 확실하다는 진술과 증인 류한시 등은 류석삼이 노비를 거래할 때 자신들이 증인으로 참여한 것이 확실하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진보현에서는 입안신청소지와 위의 진술서를 바탕으로 노비의 소종래를 확인할 수 있는 천적(賤籍)을 확인한 후에 입안을 발급하였는데 이 문서가 ③번문서 이다. 진보현에서 확인한 천적은 1650년 10월 17 4남매가 작성한 화회성문(和會成文)으로 몫을 받은 류인휘(柳仁輝)의 손자가 류석삼인 것을 확인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노비를 매매할 때나 분재할 때 소유권이 변동되면 반드시 100일 안에 관에 신고하여 입안을 받도록 하였다. 일련의 문서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사례이다.

문서

번호

자료명

발급

수취

1710년 노비주(奴婢主) 유학(幼學) 류석삼(柳錫三) 초사(招辭)

류석삼

 

1710년 증인 유학(幼學) 류한시(柳翰時) 등 초사(招辭)

류한시

 

1710년 진보현(眞寶縣) 노비매매 입안(立案)

진보관아

류영시

(柳永時)

1차 작성자 : 조정곤
펼치기/감추기

안내정보

1710년 노비주(奴婢主) 유학(幼學) 류석삼(柳錫三) 초사(招辭)
유학(幼學) 류영시(柳永時)가 노비를 매입하고 입안을 발급받는 과정에서, 노비를 판 유학(幼學) 류석삼(柳錫三)1710년(숙종 36) 5월에 진보(眞寶) 관아에서 사실을 진술한 초사(招辭)이다. 류석삼류영시에게 비(婢) 1명, 노(奴) 1명을 동전 50냥을 받고 판 바가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幼學 柳永時가 노비를 매입하고 입안을 발급받는 과정에서, 노비를 판 幼學 柳錫三1710년(숙종 36) 5월에 眞寶 관아에서 사실을 진술한 招辭
幼學 柳永時가 노비를 매입하고 입안을 발급받는 과정에서, 노비를 판 幼學 柳錫三1710년(숙종 36) 5월에 眞寶 관아에서 사실을 진술한 招辭이다. 柳錫三은 다음과 같이 진술하고 있다.
柳錫三은 흉년을 만나 수많은 公私債를 갚을 길이 없어서 노비를 팔았다. 판 노비는 婢 允分(기사년생)과 그의 첫째 소생인 奴 己丑(기축년생)이다. 允分은 祖母에게 물려받은 婢 莫春의 손녀인 婢 愛分의 첫째 소생이다. 노비 2명을 50냥을 받고 훗날을 소생도 함께 팔았다.
이상과 같이 거래 내역을 진술한 다음, 문서 작성 시에 참여한 증인 등에게 확인해 보라고 하고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10년 노비주(奴婢主) 유학(幼學) 류석삼(柳錫三) 초사(招辭)

庚寅五月日。
奴婢主。幼學。柳錫三。年。
白等。奴婢放賣眞僞。現告亦推問敎是
臥乎在亦。矣亦値此凶歉之歲。許多
公私債乙。報償無路乙仍于。祖母邊傳來婢
莫春孫女婢愛分一所生婢允分己巳生身。及
同婢一所生奴己丑己丑生身等。二口。價折錢
文五十兩。依數捧上爲遣。後所生幷以。
柳永時處。永永放賣爲去乎。參證人
處施行敎事。
白[着名]。
官[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