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04년 영해(寧海) 유학(幼學) 남조발(南朝潑) 등 산송관련 상서(上書)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8+KSM-XB.1904.4777-20160630.07142310001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작성주체 남조발, 남조형, 남경목, 남조승, 영양현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작성시기 1904
형태사항 크기: 80.0 X 48.0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덕 괴시 영양남씨 괴시파 영감댁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1904년 영양남씨(英陽南氏) 영양군(英陽郡) 칠성봉(七星峰) 산송문서
일련문서는 영양남씨(英陽南氏)가 1904년 10월에 문중 사람들이 영양군(英陽郡) 북초면(北初面) 와구동(瓦邱洞)의 칠성봉(七星峰)에 있는 문중 선산을 두고 벌인 산송 사건을 담고 있다. ①1904년 영해(寧海), 영양(英陽), 안동(安東)에 사는 영양남씨 문중 사람 97명이 연명하여 영양군 관아에 올린 上書, ②영양군 관아에서 와구동에 내린 전령(傳令), ③ 다시 영양남씨 문중 사람들이 올린 上書, ④ 와구동(瓦邱洞) 존위(尊位)가 영양군 관아에 올린 첩정(牒呈)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의 문서에서는 산송의 한 유형으로 허장(虛葬)이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보여준다. 허장이란 남의 땅에 몰래 무덤을 쓰기 위하여 땅 임자의 눈치를 떠보기 위해 가짜 무덤을 만드는 행위를 말한다.
문제가 되는 선산이 있는 칠성봉(七星峰)은 현재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칠성리에 있으며, 이곳에는 통정공(通政公)과 찰방공(察訪公)의 무덤이 소재하고 있었다. ①번과 ②번 문서는 아직 투장한 무덤이 虛葬이라는 것을 밝혀지기 전의 상황을 보여준다. 즉 이미 세 차례나 투장한 사건이 발생한 지점에 누군가 또 투장을 하여 무덤주인을 찾아내서 파내게 해달라고 요청하고, 이를 산 아래 마을 사람에게 지시하고 있다. ③번 문서에는 비로소 투장한 무덤이 虛葬이라는 것이 밝혀졌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영양남씨 문중 사람들은 두민(頭民)을 독촉하여 무덤을 파보라고 했는데, 과연 허장이었고 사기 그릇 하나만 있을 뿐이었다. 영양남씨 측에서는 유학 남조발(南朝潑) 등을 대표로 하여 앞으로 생길 수 있는 폐단을 막기 위한 처결을 내려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영양군 수령은 "이미 허장인데, 무슨 염려가 더 있겠는가. 걱정하지 말고 물러나도록 하라."라고 하였다. ④번 문서는 와구동에서 무덤을 파낸 결과를 마을의 존위(尊位) 등이 영양군 수령에 첩정으로 보고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선산을 관리하는 문중은 투장자를 대상으로 산송을 진행하기 마련이었다. 그러나 본 사례에서는 투장자가 밝혀지지 않았고, 허장이라는 소문이 돌아 정소를 제기한 영양남씨와 와구동 측에서 무덤을 조사한 결과 소문이 사실로 판명되었다. 무덤을 철거하는 과정에서도 영양군 관아에서는 고을 책임자에게 전령을 보내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철거 책임을 해당 마을의 존위와 두민에게 지운 것이다.

문서

번호

자료명

발급

수취

1904년 영해(寧海) 유학(幼學) 남유집(南有鏶) 등

산송관련 상서(上書)

남유집 등

영양남씨

영양군

1904년 영양군(英陽郡) 와구동(瓦邱洞) 전령(傳令)

영양군

와구동 

존위 등

1904년 영해(寧海) 유학(幼學) 남조발(南朝潑) 등

산송관련 상서(上書)

남조발 등

영양남씨

영양군

1904년 영양군(英陽郡) 와구동(瓦邱洞) 존위(尊位)

산송관련 첩정(牒呈)

와구동 

존위 등

영양군

1차 작성자 : 김한신
펼치기/감추기

안내정보

1904년 영해(寧海) 유학(幼學) 남조발(南朝潑) 등 산송관련 상서(上書)
1904년(광무 8) 10월에 영해(寧海)에 사는 영양남씨 문장 사람들이 영양군(英陽郡) 관아에 올린 산송관련 上書이다. 문중 사람들은 와구동(瓦邱洞) 칠성봉(七星峰)에 있는 선상에 누군가 투장한 무덤을 파내달라고 요청하자, 관아에서는 이에 산 아래 마을 사람들에게 무덤주인을 찾아내 스스로 파내게 하라고 지시하는 전령(傳令)을 내린 바 있다. 이 상서에서는 이후 그 무덤이 허장(虛葬)이었음을 확인했다고 말하고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904년(광무 8) 10월에 寧海에 사는 幼學 南朝潑 등이 英陽郡 관아에 올린 산송관련 上書
1904년(광무 8) 10월에 寧海에 사는 幼學 南朝潑, 南朝瀅, 南敬穆, 南朝昇등 영양남씨 문중 사람들이 英陽郡 관아에 올린 산송관련 上書이다.
같은 달에 영양남씨 문중 사람들은 英陽郡 관아에 上書를 올려서, 瓦邱洞 七星峰에 있는 문중 선산에 누군가 투장한 무덤을 파내달라고 요청하였다. 이에 英陽郡 관아에서는 27일에 瓦邱洞에 傳令을 보내서 무덤 주인을 찾아내서 직접 파내게 하라는 지시를 내린 바 있다.
본 上書는 傳令을 내린지 3일 뒤인 30일에 올린 것인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령의 내용에 의거해 산 아래 마을을 찾아보고 있었는데, 어떤 사람이 와서 그 무덤은 ‘虛葬’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虛葬’이란 남의 땅에 몰래 무덤을 쓰기 위하여 땅 임자의 눈치를 떠보기 위해 가자 무덤을 만드는 행위를 말한다. 이에 영양남씨 문중 사람들은 頭民을 독촉하여 무덤을 파보라고 했는데, 과연 虛葬이었고 사기 그릇 하나만 있을 뿐이었다.
이러한 상황을 보고하고, 나중에 또 생길지 모르는 폐단을 막기 위한 처결을 내려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이에 대해 英陽郡 수령은 처결을 내리길, "이미 虛葬인데, 무슨 염려가 더 있겠는가. 걱정하지 말고 물러나도록 하라."라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04년 영해(寧海) 유학(幼學) 남조발(南朝潑) 등 산송관련 상서(上書)

寧海幼學南朝潑 南朝瀅 南敬穆 南朝昇等。再拜仰達于
城主閤下。伏以。民等瓦邱先塋腦後偸埋事。昨有所呈訴是乎所。旣承搜覓塚主之題旨。又有申飭洞人之傳令是如。卽入山下左右偵探之
際。適有一人來告以虛葬云。故董督頭民。凌而掘驗。則果是虛葬。而只有一片沙器而已。噫。人心之不古下限。而乃有若此之甚者乎。玆敢具由仰
訴爲去乎。特下題敎。以杜後弊之地。千萬祈懇之至。
行下向敎事。
城主處分。
甲辰十月日。
英陽官[印 : 英陽郡守之章]

旣是虛葬。有
何更慮。勿慮退
去向事。
三十日。

第二十一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