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24년 갈봉(葛峯) 김득연(金得硏) 포장(襃獎) 관련 병산서원(屛山書院) 통문(通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7+KSM-XF.1824.4717-20150630.01952600000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통문
작성주체 병산서원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24
형태사항 크기: 124 X 63.3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와룡 광산김씨 유일재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가구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1824~1826년 갈봉(葛峯) 김득연(金得硏) 포장(襃獎) 관련 통문(通文)
이 문서는 갈봉(葛峯) 김득연(金得硏)을 포장하는 것과 관련하여 작성된 통문으로, ①1824년 갈봉(葛峯) 김득연(金得硏) 포장(襃獎) 관련 성균관(成均館) 통문(通文), ②1824년 갈봉(葛峯) 김득연(金得硏) 포장(襃獎) 관련 도산서원(陶山書院) 통문(通文), ③1824년 갈봉(葛峯) 김득연(金得硏) 포장(襃獎) 관련 병산서원(屛山書院) 통문(通文), ④1826년 갈봉(葛峯) 김득연(金得硏) 포장(襃獎) 관련 성균관(成均館) 통문(通文)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동 와룡 광산김씨 유일재종택에 소장되어 온 자료이다.

김득연은 임진왜란 때에 의병을 일으켜 안동에 주둔한 명군의 군량미 보급에 힘쓴 인물로서 명군의 대장인 경리 양호의 부하 장수들과 교유하며 문장과 덕행으로 추앙받은 바 있는 인물이다.

김득연의 포상과 관련하여 광산김씨 유일재 문중을 비롯하여 영남의 유림들은 김득연 포장과 증직을 내려달라고 청원운동을 하였다. 이에 대한 근거로 명나라 자수가 지은 비문의 서문에 김득연의 덕행을 칭송한 사실이 있으며, 이러한 내용을 기재하여 성균관에 통문을 보낸 것이다. ①번 문서는 이에 대한 통문에 대해 회답하기 위해 작성된 것으로 성균관 장의와 유사는 김득연의 충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드러나지 않고 있다는 것은 은전의 흠결이고 여론이 억울할만한 일이라고 하면서 안동의 유림들이 국왕에게 호소하여 포장 받기를 바란다고 말하였다.

②번 문서는 도산서원에서 주계서원으로 보낸 통문인데 김득연의 행적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 문서에는 김득연이 임란 때 의병을 일으켜 사기를 북돋았고 의창(義倉)을 설치하여 명나라의 병사를 대접하고 방어에 임하면서 지역을 보호한 사실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명나라 장수로부터 칭송을 받은 것인 양호(揚鎬)가 김득연에게 시를 증여한 사실이 있음을 말하면서 그 시에 '유자 학정주(孺子 學程朱)'라는 문구를 통해 이는 명나라 장수에게서 허여 받은 것이므로 김득연의 언행에 중국인이 깊이 경복하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앞으로는 창의하여 목숨을 바치는 충성이 있었으며 뒤로는 의리를 지켜 자정하는 절개가 있는 김득연을 중국인은 경복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숭장(崇獎)하는 바를 모르고 수백년이 흘렀음을 안타까워하면서 기한을 정하여 상소를 작성해 조정에 올려 추증하고 시호를 내려달라는 요청을 하려고 한다는 말을 전하고 있다. 이 통문은 62명이 연명하여 작성한 것이다.

③번 문서는 병산서원에서 작성한 것으로 도산서원에서 건의한 상소를 올리자는 견해에 동조한 글이다. 이 문서에는 김득연이 인조반정 당시의 행적이 기재되어 있다. 김득연은 반정이 일어나자 조정의 부름을 받고 응하지 않았으며 같은 뜻을 가진 동지가 없음을 한탄하는 마음이 있었다고 서술하였다. 당시 김득연과 마음을 나눈 동료는 문정공(文貞公) 계암(溪巖) 김령(金坽, 1577~1641)이 있었는데, 계첩(稧帖)을 만든 바 있다고 하였고, 눌은(訥隱) 이광정(李光庭, 1674~1756)이 당시의 일을 서술하여 칭송한 바 있다고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김득연의 의절이 드러나지 않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상소를 올리자는 발의에 찬성하며 날짜를 정하여 상소를 올릴 때 참여하겠다고 하면서 113명이 연명하여 이 통문을 작성하였다.

④번 문서는 2년이 지난 1826년에 성균관에서 보내 온 답통이다. 이 통문에서도 성균관 장의와 유사는 김득연의 충절이 수백년 동안 드러나지 않고 있음을 안타까워하면서 공의가 없을 수 없으니 반드시 국왕에게 호소하여 천양(闡揚) 받기를 바란다고 말하고 있다.

문서

번호

자료명

발급

수취

1824년 갈봉(葛峯) 김득연(金得硏) 포장(襃獎) 관련 성균관(成均館) 통문(通文)

성균관

영남유림

1824년 갈봉(葛峯) 김득연(金得硏) 포장(襃獎) 관련 도산서원(陶山書院) 통문(通文)

도산서원

주계서원

1824년 갈봉(葛峯) 김득연(金得硏) 포장(襃獎) 관련 병산서원(屛山書院) 통문(通文)

병산서원

 

1826년 갈봉(葛峯) 김득연(金得硏) 포장(襃獎) 관련 성균관(成均館) 통문(通文)

성균관

영남유림

1차 작성자 : 명경일
펼치기/감추기

안내정보

1824년 갈봉(葛峯) 김득연(金得硏) 포장(襃獎) 관련 병산서원(屛山書院) 통문(通文)
1824년(순조 24) 윤7월에 갈봉(葛峯) 김득연(金得硏 1555~1637)의 포장(襃獎)과 관련한 사안으로 병산서원(屛山書院)에서 보낸 통문(通文)이다. 도산서원이 발의한 상소를 올려 이득연의 증직과 시호를 요청하자는 의견에 동조하고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824년에 葛峯 金得硏의 襃獎과 관련한 사안으로 屛山書院에서 보낸 通文
1824년(순조 24) 윤7월에 葛峯 金得硏(1555~1637)의 襃獎과 관련한 사안으로 屛山書院에서 보낸 通文이다. 김득연은 임진왜란 때에 의병을 일으켜, 안동에 주둔한 明軍의 군량미 보급에 힘쓴 인물이다. 당시 명군의 대장인 經理 楊鎬의 부하 장수들과 교유하여 문장과 덕행으로 그들로부터 추앙받은 바 있다. 이 당시 광산김씨 유일재 문중을 비롯한 영남지역의 유림들은 김득연에게 襃獎과 贈職을 내려달라는 청원운동을 하고 있었다. 그 일환으로 성균관으로 통문을 여러 차례 보냈고, 1824년 2월에는 성균관으로부터 答通文을 받기도 했다.[‘1824년 갈봉(葛峯) 김득연(金得硏) 포장(襃獎) 관련 성균관(成均館) 통문(通文)’ 참조] 그리고 같은 해 7월 1일에서는 도산서원에서 조정에 상소를 올려 추증과 시호를 요청하자는 내용의 통문을 보낸 바 있다.[‘1824년 갈봉(葛峯) 김득연(金得硏) 포장(襃獎) 관련 도산서원(陶山書院) 통문(通文)’ 참조]
본 통문에서 병산서원은 도산서원에서 건의한 상소를 올리자는 의견에 동조하고 있다. 갈봉 김득연의 덕행과 임진왜란 동안의 공적에 관해서는 이미 도산서원에서 통문을 돌려서 자세히 정리하였기 때문에, 본 병산서원의 통문에서는 간략히 언급 했을 뿐이다. 여기서는 인조반정 시기에 선생의 행적을 추가해 말하고 있다. 즉 반정이 일어나자 선생은 시를 짓기를, ‘바람 연기는 새 세상을 생각하는데(風烟新歲意) 소나무 대나무는 옛 시절의 심정이라(松竹舊年心) 품은 마음 기댈 곳 없으니(有懷無處寄) 누가 나의 동지 되는가(誰是我同襟)’라고 하였다고 하고 있다. 이는 인조반정 이후 조정의 부름을 받고도 응하지 않은 김득연의 심정을 잘 표현한 시로 보인다. 특히 같은 뜻을 가진 동지가 없음을 한탄하는 마음이 엿보인다. 통문에서는 당시 마음을 나눈 동료로는 오직 文貞公 溪巖 金坽(1577~1641)이 있었는데, 稧帖을 만든 바 있다고 하였고, 訥隱 李光庭(1674~1756)이 당시의 일을 서술하여 칭송한 바 있다고 하고 있다.
그리고 병산서원도 도산서원과 마찬가지로 이득연이 의절이 드러나지 않고 있음을 지적하고, 상소를 올리자는 발의에 찬성하고 있다. 그리하여 날짜를 정하여 상소를 작성할 때 참여하겠다고 말하고 있다.
통문에는 병산서원의 都有司 趙顯漳, 齋有司 柳進修를 포함하여 113명이 연명하고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24년 갈봉(葛峯) 김득연(金得硏) 포장(襃獎) 관련 병산서원(屛山書院) 통문(通文)

通文。
右文爲通諭事。伏以。葛峯先生金公。家承詩禮。學有淵源。政不待生等寂廖之言。而若其當島夷之難。天朝將士之稱公者。或許以學程朱之語。或手寫紀功之文。爲刻石傳遠之圖。公以海外褊邦之一布衣。得此於中國鉅人。已是不
常之奇蹟。而及夫癸亥改玉之日。公有詩曰。風烟新歲意。松竹舊年心。有懷無處寄。誰是我同襟。當是時。惟溪巖金文貞公。獨爲心交結。爲稧帖。而訥隱李公敍其事。特稱之。以擧世溷濁。淸士可見觀於公之詩意。及溪巖
稧帖之議。及後賢尙論之語。亦足以槪公之平生矣。至若丙丁下城之後。不膺徵命。遯世無閔。悲憤不平之志。至形於詩句。其效死守義之節。若是炳烺。而公晦跡長往。終不自言。以致因循掩翳。居然數百餘年。爲一邦
士林之恨。久矣。迺者。叫閤之議。倡於陶山。秉彛所均。孰不同聲而規。伏念。鄙鄕昔在壬癸。賴公倡義設倉鼓一鄕。而給天兵。使花山一區。得有今日播之。輿誦愈久愈深。今於此論之發也。愧未先之。伏願。
指日設疏。鄙等亦與。有光焉。

甲申閏七月 日。屛山書院。都有司。趙顯漳。齋有司。柳進修李潤根。製通。柳懿睦。寫通。安允迪金道宗金道忣金道恒柳公春柳震春金道曾柳一祚金道峻柳衡祚金道天柳龍祚金道濟柳崇睦金道淵柳敬睦柳泰睦柳徽祚李宗相
金世稷南基壽柳憲睦金行璧金世郁柳昇祚金行進南基夏金世網柳暹祚金行九南始奎金世敏柳進翌金行五南始明金世珌柳進明金行源金世緯南始薰李一相鄭之鵬李奎相權在運
柳道宗安爾鎭金行健南基永安愿權虎東安熹南始德金行遠權駿東金性重朴井洌權瓛朴井澳權欽李鳴韻金性天李振璧金性舜宋休命金性初權浩李文璧金相行
金重履金宗翰金基淳金宗銓金在根金宗敏金東魯金宗文金炳璡金德珣李鎭億金龜洛金述言金甲淳金國柱金東赫金重呂金宗奎金重鼎金魯欽金淵洛李鉉億權世升金應運宋宜謙金宗訥權瀗
金英洛金重祐宋宜默金重學金炳瓚金重岳金相洛金重佐權象奎金炳國金重三。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