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50년 정치익(鄭致翼)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50.4723-20090831.E47840298_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정치익, 이원조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삼매리
작성시기 1850
형태사항 크기: 23 X 20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1850년 정치익(鄭致翼)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족질(族姪) 정진로(鄭鎭魯)상놈[常漢]에게 망측(罔測)한 욕을 당했으니, 장인께서 담당 관아로 서찰을 보내어 공론(公論)으로 처리해달라는 내용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星山李氏世譜3』, 이원조,
KSAC+A01+KSM-XF.1850.4723-20090831.E47840298_0-DES.INF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50년(철종1) 2월 8일, 외생(外甥) 정치익(鄭致翼, 1824~1879)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족질(族姪)인 정진로(鄭鎭魯)상놈[常漢]에게 욕을 당하였으니, 담당 관아로 서찰을 보내어 공론(公論)으로 삼는 것이 어떠냐는 별지(別紙)
내용 및 특징
1850년(철종1) 2월 8일, 외생(外甥) 정치익(鄭致翼, 1824~1879)이 장인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이다. 이 간찰은 별도의 피봉에 넣어서 보낸 것이 아니고, 아버지 정유성(鄭裕成)의 간찰에 첨부해서 보낸 것이다. 이 당시 이원조경주부윤(慶州府尹)으로 재직 중이었으며, 정치익은 그의 둘째사위이다. 족질(族姪) 정진로(鄭鎭魯)는 정씨 가문의 기대를 짊어진 사람인데, 이웃에 상놈[常漢]에게 망측(罔測)한 욕을 당했으니, 실로 세상의 변고(變故)라고 하였다. 한 가문이 소장(訴狀)을 올려 설욕(雪辱)을 도모했지만, 관아(官衙)에서 사건을 너무 후하게 처리한다고 하며, 장인 이원조에게 담당 관아로 서찰을 보내어 공론(公論)으로 처리해달라고 하였다.
자료적 가치
친족의 불행을 구제하기 위해 현직에 있는 장인에게 도움을 청하는 모습에서 오천(烏川) 정씨(鄭氏)가의 가문주의 의식과 단결성을 볼 수 있다.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星山李氏世譜3』, 이원조,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50년 정치익(鄭致翼)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族姪鎭魯 冢孫也 自兒時 已有吾儕之望
而到今杜門廢擧 修身飭行 實居今
之未易得者 一門之屬望不少 不幸爲隣
常漢所罔測詬辱 實世變也 大抵
兩班之見辱常漢 率多滄浪 而此人
此厄 政是天厭天厭 一門方謀擧狀雪辱 而
官事或失於太仁厚 幸伏望修書加鞭
以爲公論之所在 如何如何 有共憤之
心 故如是耳 其梗槪 惟在家嚴書
中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