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50년 정치익(鄭致翼)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50.4723-20090831.E47840298_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정치익, 이원조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삼매리
작성시기 1850
형태사항 크기: 22.5 X 43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1850년 정치익(鄭致翼)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정치익(鄭致翼)은 장인 이원조(李源祚)에게 시관(試官)이 누구인지를 가르쳐달라고 하고 또한, 자신은 보름날에 시험장에 도착할 예정이니, 그때까지 계책을 일러달라는 간찰. 조선시대 선비들의 출세하려면 반드시 겪어야 했던 과거(科擧), 이에 대한 사전 정보를 입수하기 위하여 사위는 장인에게 부탁하였다. 시대를 불문하고 가문의 기대를 짊어진 유생(儒生)의 절박한 심정에 연민을 느낀다.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星山李氏世譜3』, 이원조,
KSAC+A01+KSM-XF.1850.4723-20090831.E47840298_0-DES.INF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50년(철종1) 2월 8일, 외생(外甥) 정치익(鄭致翼, 1824~1879)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시관(試官)이 누구인지 알면 편의를 봐달라는 것과 필수(筆手)는 조금 졸렬한 것이 흠이라는 내용의 간찰
내용 및 특징
1850년(철종1) 2월 8일, 외생(外甥) 정치익(鄭致翼, 1824~1879)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이다. 이 간찰은 별도의 피봉에 넣어서 보낸 것이 아니고, 아버지 정유성(鄭裕成)의 간찰에 첨부해서 보낸 것이다. 이 당시 이원조경주부윤(慶州府尹)으로 재직 중이었으며, 정치익은 그의 둘째사위이다. 그는 민면(黽勉)의 행차는 초순 뒤에 출발하려고 하는데, 전염병이 돈다는 소문 때문에 몹시 두렵다고 하였다. 그리고 시관(試官)이 누구인지를 묻고, 이어서 자신의 역량을 헤아리지 못하고 헛된 욕망을 내니, 더욱 송구하고 황송하다고 전한다. 끝으로 필수(筆手)는 조금 졸렬한 것이 흠이고, 자신은 보름날에 시험장에 도착할 예정이니, 그때까지 계책을 일러주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자료적 가치
시관(試官)을 알고 싶어서 관직에 있는 장인에게 묻고, 또한 그에게 편의를 봐달라고 하는 모습, 과거장에 데리고 갈 필수(筆手)에 대한 평에서 과장(科場)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고, 또한 가문의 기대를 짊어진 유생(儒生)의 절박한 심정이 엿보인다.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星山李氏世譜3』, 이원조,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50년 정치익(鄭致翼)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上書
筆吏歸 忙厥問候 迄庸悚恨 更
伏問 向時
愆度 趂收平復
視篆有日 種種微樣欠和 似未免積
憊餘祟 區區貢慮之忱 夙宵靡已 其餘
小大俱安否 新行科行 皆以何日發征
耶 裝送之際 又當添一擾惱也 外甥
侍事無大添 一室姑依 爲幸極矣 所
黽勉之行 旬後趂欲發去 而危險
之慮 癘疫之聞 種種動人心肝 何以則
可無事利涉也 是爲懼然 試官 或已
聞知否 如有可爲之勢 則必不待仰控
而累累請干 極涉支煩 且不自量力 妄
生虛欲 尤不勝悚惶 筆手果好 然
但少欠拙樣耳 以望日赴試之意 約日
而去 如干畫策 或可示及於其時耶
伏企耳 餘伏冀
氣候平復 伏惟
庚戌二月初八日 外甥 鄭致翼 上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