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81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치제(致祭) 제문(祭文)
1781
| 고문서-시문류-제문
| 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이양정,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維乾隆四十六年歲次辛丑五月十八日國王遣近侍臣承政院左副承旨李養鼎諭祭于 贈領議政文元公李彦迪之靈天開文明運回奎躔維嶽降神克生大賢偉姿近道英邁出群早講正學扛夯斯文同時靜退共溯洛閩妙歲通籍亨衢發軔薄試字牧儒雅其治畀以言責正直自持爰有陰邪將入左腹公惟辨奸獨憂誤國遭厥蜮沙遜于丘園出處何常惟義所存大慝乃去君子
-
영주(榮州)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백고리사(白皐里社) 『병오12월시 잡록(丙午十二月始 雜錄)』 수록 1786년 12월 기사
1786
|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 백고리사
| 영주 풍기향교
丙午十二月始雜錄丹谷先生立享事道內公議之發已多年數而?此未遑矣去甲辰春榮川?溪書院有道會事會中多士以先生之?未祭社齊聲慨然卽發通于順興校院以爲?時揭虔之議蓋爲順邑卽先生晩年棲息之鄕也其後安東三溪書院通文又繼到順邑士林卽定鄕會以先生杖?所立祠事發文于一浮石檜石書堂因與議竝享甁山金先生而以爲不日營建之事
-
영주(榮州)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백고리사(白皐里社) 『병오12월시 잡록(丙午十二月始 雜錄)』 수록 1793년 3월 13일 「추완의(追完議)」
1793
|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 백고리사
| 영주 풍기향교
追完議右完議爲本社草?凡百規模未備春秋享禮時或不無苟簡之弊因循日久恐欠尊敬之義玆於齋會之日僉議純同援引他邑例立議如左一春秋享禮時獻官二員宗祝一員前期望定【廟直告目】請入而有顯故呈單則改望事一執禮以下請執事亦爲排選執禮一員司尊一員謁贊各一員奉香爐各一員奉奠爵各一員式列書輪告而有顯故各其名下錄視則改定事
-
1840년(헌종 6)에 작성 된 世德祠田畓案 附奴婢案
1840
| 고문서-치부기록류-부조기
| 경제-회계/금융-부조기
| 세덕사
| 경주 세덕사
世德祠田畓案 附奴婢案庚子九月初二日每北二同良洞大東束旨員謹字 十七畓七卜十八畓三卜五 四斗落二十三畓十三卜丅二十四畓八卜九十八斗落【甲辰三月日受價七十二兩移買次放賣無添堂所納 達田齋舍買】石橋員四十二畓十一卜千五斗落【壬寅二月日受價伍拾伍兩냥移買次斥賣】四十五畓九卜八丨四斗落 別庫野自莫員五十一畓
-
1784년(정조 8) 7월 경상도 상주목 옥동서원 焚香錄
1784
| 고문서-치부기록류-시도기
| 교육/문화-서원/향교-심원록
| 옥동서원
| 상주 옥동서원
甲辰七月望焚香院長姜世晉齋任李益榮儒生黃景幹黃命休黃瑞熙黃日熙黃復熙姜必岳黃臨重黃世休盧徯文黃百休黃敬中黃秀幹黃弼重呂俊復黃祚熙黃豹熙黃耳老待行十二月朔焚香齋任鄭重魯趙鎭和儒生黃極老望焚儒生李逵亨丙午正月初七日焚孫鎭璧丁未正月初七日焚香齋任趙遇和儒生黃景幹黃命休黃瑞熙黃復熙黃處休黃臨重黃澣黃世休鄭載
-
영주(榮州)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백고리사(白皐里社) 『병오12월시 잡록(丙午十二月始 雜錄)』 수록 1790년 기사
1790
|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 백고리사
| 영주 풍기향교
庚戌正月日又請木手始役三月初完役丹?以三月十七日中丁定行還安行祀事年前湖西道通以沙村安先生入享事來到嶺中嶺中士論以爲豊基乃沙村杖?之鄕榮川伊山書院通文安東三溪書院通文順興紹修書院通文次第來到以白皐竝享之議屢屢敦喩故自本鄕定鄕校堂會敦定合享之擧定出追享時執事都執禮生員南泰鎭都廳南泰一李世檍都辦黃復源李
-
1840년(헌종 6)에 작성 된 世德祠田畓案 附奴婢案
1840
| 고문서-치부기록류-부조기
| 경제-회계/금융-부조기
| 세덕사
| 경주 세덕사
世德祠田畓案 附奴婢案庚子九月初二日每北二同良洞大東束旨員謹字 十七畓七卜十八畓三卜五 四斗落二十三畓十三卜丅二十四畓八卜九十八斗落【甲辰三月日受價七十二兩移買次放賣無添堂所納 達田齋舍買】石橋員四十二畓十一卜千五斗落【壬寅二月日受價伍拾伍兩냥移買次斥賣】四十五畓九卜八丨四斗落 別庫野自莫員五十一畓
-
1859년(철종 10) 경상도 상주목 옥동서원 駿奔錄
1895
| 고문서-치부기록류-시도기
| 교육/문화-서원/향교-심원록
| 옥동서원
| 상주 옥동서원
己未三月初七日大享時初獻黃奎鉉亞獻呂思汲終獻姜斗欽祝黃鍵執禮黃在直掌饌黃在敎黃鐸黃在睦黃馨周黃炳善黃揚老李秉華黃仁鉉金鎭澤黃在中黃聖老黃圭老黃蘭善黃最善黃獻周姜運永諸生黃大鉉呂思喆黃廷老黃在五黃致老九月初一日大享時初獻官金晉礪亞獻官黃大鉉終獻官姜斗欽掌饌黃蘭善祝金羲鏞執禮李萬善掌饌金瓚奎黃永周判陳設
-
1889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전여시(傳與時) 서책서실목록(書冊閪失目錄)
1889
| 고문서-치부기록류-전장기
| 경제-회계/금융-전장기
| 옥산서원 재임
| 경주 옥산서원
書冊傳受時錄以前無見失者許多此則誠未知其所由而此後慮或有起訝之端故今於香謁新舊任齊會時錄其所無更不至如是 踈漏耳孟子第六卷 戊午失(孟子)諺解一卷前無小學三卷前無儀禮經傳一卷前無儀禮圖一卷前無且墨秩程氏外書一卷前無孔子通記一卷前無馬史一卷前無註唐詩一卷前無文選四卷前無通文謄書一卷 錦粧儒案一卷未搜執
-
1840년 옥산서원(玉山書院) 강당(講堂) 낙성시(落成時) 사액현판(賜額懸板) 및 어제제문판(御製祭文板) 게액(揭額) 고유문(告由文)
1840
| 고문서-시문류-고유문
| 종교/풍속-관혼상제-고유문
| 김도희,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維歲次庚子三月辛卯初六日丙申後學資憲大夫慶尙道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都巡察使大丘都護府使金道喜敢昭告于先師文元公晦齋李先生先生正學誠敬眞工閩洛心法辨闢大功太極有編直溯濂溪善學朱子章句補遺 道巍業廣眷隆三朝旣侑太室爰躋文廡玉山設院妥 靈有所穆陵初服宣賜恩額亦粤 正考 文侑揭刻恩言摭實百世不易己亥春正
-
실음(實音)
계유년 3월 23일 김성유(金誠裕)가 이 생원(李生員)에게 보내는 위장(慰狀)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 向聞病勢▣▣可。而今承實音。寃矣痛矣。, 지난 번 들었을 때는 병세가……좋아졌다 했었는데, 지금 부음(訃音)을 받듦에 원통하고 애통합니다.
-
작극(作劇)
계해년 10월 28일 이현발(李鉉發)이 이 생원(李生員)에게 보내는 편지[한국국학진흥원 소장]
, 下生。積年身祟。入秋作劇。叫苦月餘。今始少可。家集僅免大頉。, 저 하생(下生)은 여러 해 지병이 가을 들어 심해져 달포를 앓다가 이제 조금 나아졌고, 집안 식구들도 큰 탈을 겨우 면했습니다.
-
불숙(不淑)
무자년 12월 23일 강면(姜𨬋)이 이 생원(李生員)에게 보내는 편지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 從妹氏。其眞不淑耶。, 종매 씨(從妹氏)는 참으로 죽었습니까?
-
경열(庚熱)
갑인년 윤5월 20일 이국호(李國鎬)가 이벽호(李璧鎬)에게 보내는 편지[한국국학진흥원 소장]
, 書出。已久。更候庚熱。靖體玩味連衛。賢子穩侍。恭修其職。, 편지를 보낸 것이 이미 오래되어 다시 묻건데, 삼복더위에 조용히 지내는 안부는 공부에 재미를 붙여서 계속 잘 지내고 현자(賢子)는 온전히 부모를 잘 모시며 삼가 그 직분을 잘 닦고 있습니까?
-
범기(凡奇)
1832년 10월 30일에 류이좌(柳台佐)가, 연보 편찬에 협조할 것과 추가할 사항을 알려 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종형 류상조(柳相祚)에게 보낸 편지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 年譜事。以改纂。敦定恰然歸一。公私幸甚。凡奇。都在諸人回告。, 연보(年譜)의 일은 개정하여 편찬하는 것으로 흡족히 한 마음으로 정해졌으니 공사(公私)간에 매우 다행스럽습니다. 모든 기별은 여러 사람의 회답에 오로지 달려 있지만……
-
가집(家集)
계해년 10월 28일 이현발(李鉉發)이 이 생원(李生員)에게 보내는 편지[한국국학진흥원 소장]
, 下生。積年身祟。入秋作劇。叫苦月餘。今始少可。家集僅免大頉。, 저 하생(下生)은 여러 해 지병이 가을 들어 심해져 달포를 앓다가 이제 조금 나아졌고, 집안 식구들도 큰 탈을 겨우 면했습니다.
-
판여(板輿)
기사년 4월 27일 류이좌(柳台佐)가 김 주서(金注書) 댁에 보내는 편지[한국국학진흥원 소장]
, 弟。昨年遭重。今春又見毒憾。近又還奉板輿。孤寄未還。遠外情私。如何盡喩。, 저는 작년에 조부모상을 당했고 올 봄에 또 독감에 걸려 근래에 또 판여(板輿)를 되돌려 모셨는데, 따로 타지에 지내며 돌아오지 못하고 있으니, 먼 곳에서의 사사로운 마음을 어찌 다 말하겠습니까?
-
이삭(離索)
갑인년 윤5월 20일 이국호(李國鎬)가 이벽호(李璧鎬)에게 보낸 편지[한국국학진흥원 소장]
, 離索之懷。何時不切。而矧乎悲遑憂拂之際乎。, 떨어져 지내는 심정이 어느 때인들 간절하지 않겠는가. 하물며 슬픔에 경황이 없고 근심스럽고 마음이 불편한 때에 있어 서랴!
-
수후(修候)
1804년 10월 29일 류이좌(柳台佐)가 최 진사(崔進士)에게 보낸 편지[한국국학진흥원 소장]
, 上洛之後。宜卽修候。而遞職無常。……, 서울로 올라온 이후 마땅히 곧바로 안부를 물어야 했으나 직임이 바뀌는 것이 무상했고, ·····
-
천취(遷就)
1804년 10월 29일 류이좌(柳台佐)가 최 진사(崔進士)에게 보낸 편지[한국국학진흥원 소장]
, ……歸事屢決。遷就至此。罪悚多矣。, 귀향할 것을 누차 결심했으나 미적미적 지금에 이르렀으니 매우 죄송스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