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성준(文聲駿) 경이계서(景彛契序)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문성준, 경이계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景彛契序蓋有卓節純忠炳如日星則凡有秉彛之性者莫不感慕景仰何待契而後景仰哉然契者合也天地間萬事萬物非合不成天地合德而生萬物日月合明而光四表雲雨合氣而施惠澤四時合序而成歲功況人於其間詎獨無契合也哉吾鄕之江陵金氏故吏曹叅議北溪先生諱璿曁其孫故兵曹叅議栢翠先生諱廷瑞其卓卓之節堂堂之義史書而人誦之今奚庸贅焉噫
-
문주헌(文周憲) 동약서(洞約序)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문주헌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洞約序夫人之生世有遇不遇不遇者雖未能有爲於世而往往於所居閭里有設規約者盖如呂氏藍田之約橫渠鄕井之設是已雖自己創設猶有林下之經綸一代之美蹟况幸而遇大夫之贒明以化民成俗爲爲政之本先敎而後罰上行而下效怳然若陳高靈之爲仙居眞西山之爲泉州約我乎禮法之場期我乎齊魯之域乎爲其民者冥然不知所以勸畏則是豈惟君子之棄抑
-
이진상(李震相) 창산학계안서(昌山學契案序)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진상, 창산학계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昌山學契案序學法昉於三代講業考藝明軆而致用者也居之以庠序校塾教之以詩書禮樂士無常籍遞陞而迭居之國有常祿羣聚而公養之士所以易於爲學國所以易於得人嗟夫學政衰而士習渝無所於居業而故浪於山亭水榭之間無意於聞道而佚宕於詩酒琴棋之外修禊之名起於漢晋而亦只是祓除之義少長畢集觴詠自適而已何甞念到於窮理正心脩己治人之
-
김치중(金致中)을 존모(尊慕)하여 만든 우모계안(寓慕契案)의 서문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채헌식
寓慕契案序孟子曰生亦我所欲也義亦我所欲也二者不可得兼舍生而取義也此謂義重於生也惟鷹峰金公天資莊重氣宇卓犖早年受學于三從兄龜峰先生及長從遊於西厓柳先生之門講得忠君愛國之道龍蛇之亂生靈塗炭鑾輿播遷公奮發忠憤倡起義旅召聚鄕隣勇健者數百人入乾馬山築堡誓衆曰島氛猖獗君親蒙塵爲臣子者寧赴鬪以死豈可逃竄而謀生乎衆
-
회연서원(檜淵書院) 월조약회(月朝約會)시 의례(儀禮)
고서-문집
| 종교/풍속-유교-향음주례
| 정구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月朝約會儀會日夙興約正副正直月皆深衣來會○以長少拜于東序○設先聖先師之像于北壁下○同約者如其服而至俟於外次○旣集以齒爲序立於門外東向北上○約正以下出門西向南上 約正與齒最尊 者正相向 ○揖迎入門至庭中北面○皆再拜○約正升堂上香○降 約正升降皆自阼階 ○與在位者皆再拜○藏先聖先師之像○揖分東西向立○約
-
신국빈(申國賓) 향약대강(鄕約大綱)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신국빈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鄕約大綱德業相勸過失相規禮俗相交患難相恤此其大綱綱各有目而德業相勸如士之本業讀書也農之本業力穡也士相勸以讀書則學術興農相勸以力穡則農桑成也過失相規如規其好鬪鬩好辭訟則辭訟簡規以謹賦稅敏徭役則賦役平也禮俗相交患難相恤則推可至於頒白不負戴於道路四窮無顚連於溝壑也春秋講信上古有社會也月朔朝會朱子有定規也月
-
1590년 이영(李霙) 동중향약계서(洞中鄕約契序)
1590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영, 동중향약계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洞中鄕約契序鄕之有約盖古也自周禮黨正已有讀約之法漢唐以降無聞焉至宋呂氏始修之紫陽氏又增損之縱未能化天下之俗而亦足以成一方之美規豈非今日後生之所可取則也哉今吾內外洞不過十室殘村而士農渾居有少長焉有貴賤焉有善行有惡行亦可擧此約而措之爾今雖未廣行於一鄕而使吾洞得復見三代美俗則不亦善乎於是洞中長老主其議各出
-
1905년 정제훈 등 상서(上書)
1905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정제훈, 정제현, 권석우, 경주군
| 경주 경주향교
先刑 崔福鄕校儒林幼學鄭濟勛徐景錫李圭鍊等謹齋沐百拜上言于城主閤下伏以閳孝褒烈表宅蠲戶 國有常典故徃〃有樹風勤善之擧而惟草野婦女之盡其誠孝於舅姑而有異感者則穻有聞焉攷諸徃史蜀漢之陳氏唐之崔氏柳氏數三人而已矣不其難乎北道面魯洞居士人金英淑家貧躬耕菽水盡歡而妻李氏克執婦道志養舅姑矣一日舅疾篤醫云非獐肉無
-
1909년 경주군에서 내린 帖諭
1909
| 고문서-첩관통보류-첩
| 정치/행정-명령-첩
| 영정취삼, 경주향교
| 경주 경주향교
帖諭 一二九号道訓令第一0一八号을 奉准즉內開에從來本郡〃有財産으로認定할만公共之物의所謂鄕校田畓書院田畓書記厅田畓將校厅田畓考班所田畓戶籍田畓으로関야左開諸件을詳明調査야本月末日內로持來事이시고로訓辭을 飜謄帖諭여 附卽本公校의所在田畓을左開諸件에示야詳明히調査持來야 保爲者慘持케
-
1910년 경주군에서 발급한 제251호 훈령
1910
| 고문서-첩관통보류-훈령
| 정치/행정-명령-훈령
| 양홍묵, 이정구
| 경주 경주향교
慶州第二五一號隆熙四年五月十日慶州郡守梁弘黙[印]慶州鄕校直員李正久 座下五月五日付觀察使訓令을承准인바鄕校直員의指揮監督에관야는官制上別段의規程이無으로自然學部大臣의直接管理에屬인바今回學部令第二號로(四月卄八日官報登揭)鄕校財産管理規程発布된鄕校及地方文廟의事務에関야는地方官이指揮監督
-
이굉(李浤)이 만든 진솔회(眞率會)의 좌목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굉, 권철경
| 봉화 유곡 안동권씨 충재종택
眞率會留守 李浤佐郞 李洺縣監 鄭元老縣監 金永銓奉事 金允禹忠義 朴䃞習讀 權士英生員 權士彬上將 權哲從進士 權哲經內禁 具仁貞副正 鄭希周進士 權叔均進士 南八俊忠順 南敬智留守李公側室子孝側爲記眞率會於留守碑陰其文曰先君與某某等結眞率會乃友鄕稧子孫也予以窮甚其後窮亦明矣何能護1004松楸要與
-
1833년(癸巳年) 경주향교 임사록(任司錄)
1833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손세익, 정종일, 정상택
| 경주 경주향교
癸巳二月 日祭鼎三坐破碎故報官改備經閣牕壁破壞故仍舊修葺自校中給價五兩錢都有司幼學 孫世翼掌議鄭鍾一典穀鄭相宅
-
1847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1847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이시우, 이우상, 한용곤, 경주향교
| 경주 경주향교
丁未二月 日傳與奴婢贖供伍拾兩以文貳拾貳兩壹錢伍卜倫堂竹席工價及食債酒▣官分付上下文拾貳兩望德石上洑員四斗落只添補前任上下文拾兩奴子廳自口中從議上下文伍兩捌戔伍卜前任徐掌議下記未報奉上下焉都有司府尹李掌議 李瑀祥典穀 韓用坤
-
1858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1858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최세탁, 권필간, 경주향교
| 경주 경주향교
戊午二月 日聖殿地衣年久朽傷故文報後眞席九立隨毁改備倫堂地衣且爲朽廢故小眞席九立較數新備且東西齋所鋪葛席二十立卽自民庫貿備而 享禮時兩齋分鋪後卷置于庫房俾無遺漏之弊焉聖殿粢粮所盛袋子年久廢傷故文報後大袋二件小袋二件自官新備典置于殿首僕焉戊午九月 日校中所用鍮食器三立鍮箸七仲燒酒鍮盞一坐盤一竹給價新備
-
1909년 경주향교 첩유(帖諭)
1909
| 고문서-첩관통보류-통유
| 정치/행정-명령-통유
| 이기, 경주군, 경주향교
| 경주 경주향교
帖諭第五八号大邱協成學校剙建以來로孰不無贊成之美而永遠히維持기爲야道下各郡이捐金輔助고觀察使閤下께압서且有申勤面諭이온바以本郡鄕中으로言之즉五十円請助가元非夥然之額이어늘尙無區劃야該校公函이至有存到니其曰補助之地에以不可遷延打過이게玆庸帖諭니贊校的思想으로受議於一鄕士林야該金額五十円
-
1910년 학부훈령 제2호
1910
| 고문서-첩관통보류-훈령
| 정치/행정-명령-훈령
| 이용직
| 경주 경주향교
學部訓令第二号鄕校直員鄕校直員은鄕校及地方文廟의事務에關야地方官의指揮監督을受이可玆에訓令니以此知悉事隆熙四年四月二十八日學部大臣李容稙[印][印]
-
1915년 궐리사(闕里祠) 통첩(通牒)
191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동석, 김용집, 이내수, 궐리사, 경주향교
| 경주 경주향교
通牒右牒爲通告事竊伏惟我儒敎卽體天地之大道通古今之正學前乎夫子而羲農堯舜禹湯文武刱而演之後乎夫子而顔曾思孟周程張朱紹而述之然而徵夫子則無以繼往聖開來學而覆載間含血茹毛之倫竟不免夷狄禽獸之歸矣嗟夫時之旣往惟億千萬年時之未來亦億千萬年而惟吾夫子一人於中間以中間一人之夫子爲吾人之一太極而皆從其敎者是吾儒當
-
1832년(壬辰年) 경주향교 임사록(任司錄)
1832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이정순, 이노현, 손세현
| 경주 경주향교
壬辰正月 日倫堂後松壇有翦伐疎闊處植之以三株墻外植之以十株以待後人之培達焉大成殿西夾門樞年久蠹朽故報官修葺焉釜壹座片片破落故稱以古鐵給価文壹兩捌戔改備焉投壺乃揖讓之一節而三十矢未知那辰見失而只有十五箇且年前入官尙今未推故告 官搜出置之殿內戊寅年齋任所費校位東海畓方營還退未就而遞故付之新任都有司 幼學
-
1846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1846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손세현, 임정, 한용곤, 경주향교
| 경주 경주향교
丙午正月初三日校任齋服自補民庫劃給者乃是前例而近年則稱以民庫蕩竭不肯區劃故不得已自校中自備團領一件而白紵及針線價合爲伍兩伍錢貳兩則以幣布移準參兩伍錢則自校中擔當而此後則秋享幣布仍置 殿守僕處待翌年春享幣布合爲齋服一件則無不足之違日後齋任覽此爲準式焉都有司 孫世顯掌議金亨鎬典穀有司韓用坤丙午九月 日
-
이병희(李炳憙) 종약서(宗約序)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병희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宗約序約惡乎作所以約吾宗也宗曷爲約將以敦友睦之義而申勸戒之道也若之何不于鄕而獨于宗乎曰力有所不逮也昔周盛時大司徒掌邦敎每歲正月之吉懸法于象魏立比閭族黨州鄕之制使之相保相愛相救相賙又興之以三物糾之以八刑每月之孟木鐸以循之讀法而申之歲終又檢其善惡而籍之是故敎隆於上俗美於下民之趨化若水之就下也降及後世道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