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78년안동(安東)하회리(河回里) 동원록(洞員錄)
1778
|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류재춘
| 안동 하회 풍산류씨 양진당
洞員錄 庚午七月 日 粧洞員錄戊戌六月二十四日洞會時洞員錄柳聖學【士擧戊戌】安友良【仲輔己亥】柳㵯【深源庚子】柳聖㝡【季玄壬寅】柳澗【士寬甲辰】柳{雨/洗}【孝而甲辰】柳聖完【士浩乙巳】柳載春【萬久丙午】柳壽春【孟一丁未】柳欽春【君欽丁未】柳溍【季退戊申】柳得春【道而乙卯】柳溆【天伍乙卯】柳國春【
-
갑진년 경주향교 품목(稟目)
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 정치/행정-보고-품목
| 손상규, 박문성, 경주향교, 경주부
| 경주 경주향교
第号外鄕校士林稟目仰凟于城主閤下伏以褒善揚美朝家之盛典事親至孝人子之常職而北道面魯洞里金英淑之妻李氏善養其舅感物誠孝之蹟實曠古未易之事也李氏侍父金學俊粵在年前以無何之疾百藥無效竟之危00001廣詢醫方則救療良劑莫如獐肉矣李氏拜天遙祝累日齋沐有一山獐果到門庭以炊飯之杖作力打獐取以供藥竟得還蘇更健其力而
-
1908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첩유(帖諭)
1908
| 고문서-첩관통보류-첩
| 정치/행정-명령-첩
| 이기, 이정구
| 경주 경주향교
帖諭道訓令第一四四八號를奉准즉內開에卽到付學部訓令內開現에內部照會를接査즉內開에各地方鄕校當初建設主旨가養士興學을專爲인즉其性質이單純學校와同은勿論이거늘挽近以來로地方官憲이事務區分에未詳야鄕校에關事項을弊部에誤報弊가每多오니現今刷新時代를當야各自擔去事務를明確히區
-
1910년 경주향교 훈령(訓令)
1910
| 고문서-첩관통보류-훈령
| 정치/행정-명령-훈령
| 이용직, 영정취삼, 이정구, 학부, 경주군, 경주군
| 경주 경주향교
慶州第六九0號一隆熙四年三月十二日慶州郡守署理郡主事永井就三[印]鄕校直員李正久座下學部訓令送交件別紙學部訓令이觀察道로經由下送이기玆에傳敎니訓令文意를注意遵行할事右訓令함[印]訓令學一員第二一一號鄕校直員의職權은文廟直守며校內庶務에從事이可은官制所在인즉此恒守면奉公의道에定다謂지
-
1702년 중수우향계회문(重脩友鄕稧回文)
170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권두인, 권태시, 이후영
| 봉화 유곡 안동권씨 충재종택
重脩友鄕稧回文右文惟我友鄕稧子孫繼脩先世之好其議已宿而遷就至今此豈非吾儕之所慨然者耶玆以開月十日會于鳳停寺以爲脩稧之計伏願僉尊一齊來臨俾無蹭蹬之弊如何壬午十月二十八日出文權泰時 李後滎權聖矩 權處經權斗寅 權斗韓權柱韓 權弼韓權秀韓 裴聖龜權胤錫 權胄安是年十一月十日會于鳳停寺時到之員至於六十仍修稧
-
1829년(己丑年) 경주향교 임사록(任司錄)
1829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최숙, 손세현, 강덕환
| 경주 경주향교
己丑五月十三日昔歸時所着黑帶壹件木靴壹件硯壹坐留置上房壁藏矣夜半盜碎鎖鑰偸去故幷爲新備焉都有司幼學崔琡齋任孫世顯庫任姜德煥六月日聖殿西簷婦椽已至傾頹故報官求撑柱二株修補東西廡風遮朽傷故報官得葦席肆拾參立鐵釘肆百參拾介仍爲修葺以庇風雨焉八月日大享時獻官所着金冠壹件角帶壹件木靴參巨里報官改備焉都有司幼學
-
1815년 권석모(權錫模) 토지 척량기(尺量記)
1815
| 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 경제-농/수산업-전답안
| 장용구, 장취익
| 예천 저곡 안동권씨 춘우재고택
乙亥三月十八日。渚谷。權奴庚戌畓。尺量記。糟。五十七畓。六負六束。姜卜川反。 五十八畓。三負三束內。二負二束川反。 在一負十三。 五十九畓。四束。川反。 六十畓。十五負內。五負四束川反。 在
-
향약계안범례(鄕約契案凡例)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박승동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鄕約契案凡例一論語學而曰學曰學而時習之不亦悅乎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凡十六章云云【或曰凡此契意專主師門設非爲燕賓故今此會】【聚之席不用詩用論語如見夫子之在座而恭爲】【弟子職之義也然則何必用學而爲哉論語諸篇】【之中鄕黨一篇名目最爲相當且聖人之道大至】【於平天下治國家小至於容貌辭色一動一靜皆】【載於此篇欲
-
17세기 중엽 김진영(金振英)의 동약서(洞約序)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김진영
| 대구 녹동서원
洞約序人之所以羣居不亂在醜不爭以其有名教而化成俗定者也在昔朱夫子有洞規以化民呂氏有鄕約以勵俗爲百世矜式惟我先祖亦有志於此以爲所居荒僻絕無學文不知禮讓是何物借使無教將自棄於蠻貊以我東方文獻之邦有所欠缺亦不爲士君子之所愧恥者乎庸是憂懼乃爲十六條春秋講訓至今爲里美噫我洞人無親疎長幼宜欽服而遵行可也敢余倣皇
-
이원조(李源祚) 향약삭강절목서(鄕約朔講節目序)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원조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鄕約朔講節目序古者鄕大夫退老于家掌其邑之教事成周盛制也鄙人少而徇俗無學優始仕之實老而引年有不學便衰之歎桑楡塡補之工何足以推善及人而幸因一初新政猥陳四要瞽說宸情開納恩批鄭重繼而有朔講鄕約先試一州次行八路之教臣是何人敢當此非常之隆卑哉惶怖怔營不知所以措躳第伏念朔講也鄕約也非愚臣所剏請即列聖朝已行之令典中
-
1583년 계회입의(契會立議)
1583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정구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契會立議一約中規目一從呂氏之舊不可諉以古今異宜一如有願入約者告于直月直月告于在坐必衆許然後書于籍而入之一道里在三十里內者每月朔來會三十里外者唯赴孟朔其間或能逐朔來預則尤善一會日相聚須及早朝若後生少年則宜先來詣母後尊長一或非衆所共知切迫不得已之故而假托不參者論如犯約之過書于籍一讀法訖參講朱子白鹿洞規一
-
1845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1845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권학원, 서이범, 송경유
| 경주 경주향교
乙巳二月初六日大享行祀仍講齋儒以四子書此實出於久廢之餘故勸懲賞罰能未充遂古觀能其在存竿之義豈不美哉姑爲模倣先哲學令之規例自此爲始而每春秋 享禮時遵而推廣之則其於先聖韶陵之道庶不墜其萬一云爾都有司 權學元掌議 崔濟鴻庫任 宋敬裕乙巳四月 日聖殿鍮爵十九座鍮燭臺二十三座破碎已久而自官改備 聖殿地衣亦爲
-
1854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1854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이진택, 박형수, 윤광두, 경주향교
| 경주 경주향교
甲寅正月 日聖殿地衣年久朽傷故文報後眞席八立隨毁改備且東西齋席子未知何年曠廢而享禮時入齋諸儒無可接▣處故葛席二十立卽自民庫貿備而兩齋分備後卷置于庫房以爲出給無漏之地焉外神門鎖金及樞鐵破傷已久不能堅闔故鎖金內鐵二箇及樞鐵三箇造置于殿守僕處使之堅鎖焉五月 日明倫堂西邊厠舍爲風雨所撲朽傷已久漸至傾壓故乃以
-
우향계를 칭송하는 시첩(詩帖), 수호계록서(修好稧錄叙),경차서상공운(敬次徐相公韻)
고문서-시문류-시
| 교육/문화-문학/저술-운서
| 권장하, 이형수
| 봉화 유곡 안동권씨 충재종택
詩帖 李亨秀友鄕古家諸兄爲修世存約會於禪房而僕癃廢不能赴奉玩圖帖感慕陳迹玆成一律耄及之言然不足焉諸賢俯和幷希斤正連峯對起衆仙翁遺像恭睦古盡中野服班荆交語洽村醪盈斝旅酬同盍簪深義觀羲卦罰座浮文陋晋獵永世雲仍推舊契光塵赫赫感余衷謹次 權章夏珍重東城霽谷翁作詩寄意來山中曠懷四百年之久講誼十三族與同錦牒藏傳
-
1601년 경주향교 학령(學令)
1601
|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 교육/문화-서원/향교-절목
| 황준량, 손기양, 경주향교
| 경주 경주향교
學令學令一每月朔望敎官率諸生具冠帶詣廟庭謁聖行四拜禮一每日教官講堂諸生請行揖禮鼓一聲諸生以次入庭中心爲頭向教官立行揖禮訖各就齋前相對揖遂就齋次儒生詣教官前請行日講東西齋各抽一二人講所讀書粗及不通者差等罰楚幷通略置簿鼓二聲諸生各執所讀書詣教官先將前授論難辨疑後承新授不務多要須硏精如或對卷昏睡不留意承訓
-
1909년 경주향교 첩유(帖諭)
1909
| 고문서-첩관통보류-통유
| 정치/행정-명령-통유
| 김영수, 이정구, 경주군, 경주향교
| 경주 경주향교
帖諭第一三八号鄕校田畓調査件本鄕校田畓調査報來之意로郡第一二九号로已爲帖諭인바施過多日에尙不報來니是何委折인긔殊涉訝歎이라玆更荐諭니附卽卽三日內火速報來야以爲報道[印]케事隆熙三年五月二十一日郡守署理長只郡守金永銖[印]鄕校職〔直〕員李正久座下
-
1910년 경주군(慶州郡) 446호 통첩(通牒)
1910
| 고문서-첩관통보류-첩
| 정치/행정-명령-훈령
| 이정구, 경주향교
| 경주 경주향교
四四六號隆熙四年六月九日 慶州郡守鄕校直員李正久 座下 太極敎宗財産에 關件太極敎宗의付屬財産上管理에對야別紙와如道書記官通牒이現着얏기謄本粘付야玆에通知니注意遵行거믈爲要右通牒홈隆熙四年五月二十三日 慶尙北道書記官慶州郡守太極敎宗의事業이往往히新敎育의普及을
-
신사(辛巳)년 동계안(洞契案)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담, 손태장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辛巳洞契案左洞李1012李墰李㙫李德玄孫泰長李德1013孫泰禎孫泰1014孫是永李德咸李德祐【願出】孫是燮李德齊李德凝【願出】李德袤李德祚李德褒申沆李德祺孫是橃李英中孫是棕孫命賢黃允耉鄭時錘孫鑌【乙酉下有司】孫汝述【丙戌下有司】孫鏛孫汝轍孫泰復孫鈴崔宜追入孫泰慶【願出】孫僻孫宗輝都千重【願出】李之贇
-
1836년(丙申年)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1836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윤치겸, 한호, 손성첨
| 경주 경주향교
丙申正月 日聖殿鍮燭臺十一座鍮尊一座香盒一座破碎故累次稟官改備焉都有司府尹尹致謙掌議韓琥 崔周翼典穀 韓用坤五月 日本校食器二立箸三雙不知何時闕失故詳査推尋校奴處公錢五戔出懲焉本校火爐一座価文一兩出給新備焉七月 日 聖殿西邊大樑壓折故 官家累次親審與營門相議而修葺焉財力則自官擔當焉八月 日聖
-
1902년 천미서당계(泉味書堂稧) 서문(序文)
1902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희로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泉味書堂稧序昔周盛時樂正崇四術立四教上自國都下及閭巷莫不有學而降及後世黨庠之制廢士族之家有書而束閣之吾伊之聲寥寥無聞焉可勝惜哉吾家素以儒學世世相承忠信爲主本詩書爲活計而後生輩亦不免習俗之偸靡書自我自徒事浪遊幾乎家學之見絶此專由於教養之不端肄業之無所而非無可教之良材也再從姪鎭基爲是之慨與其弟三人捐財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