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94년 김익락(金翼洛) 서간(書簡)
189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익락, 이중석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忙拜謝上。稍阻。深庸戀鬱。意外承拜前月念七書。知法里敬萬兄袖致。而轉轉付寄者也。忙手披閱。慰如對悉。況伏審際玆栗寒。慈闈壽韻。連護康謐。侍餘體履衛重。海上之行。無撓利稅。而亦免寒程勞攘之憊。延禮利行。而凡百極叶。姊主近來滋況。可想所苦亦得就痊。則豈非新婦孝敬之致耶。甥君知留甥館無頉可卜。而所學或不免
-
1901년 김규일(金奎一) 서간(書簡)
190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규일, 이중석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天下之事變無窮。有此千萬古所無之變。則陶山夫子之廟。本孫之痛泣果何如。士林之驚懷。已無可言。有次吾執事。適値其任。自引不謹遵奉之罪。保縲已涉朔。此地情景。想欲死無地矣。今番事變。專由於斯文厄會。而尊座下命數又何奇哉。罪犯之治囚。尙無究竟。抑豈無后日之痛雪焉。至於改造安奉。萬萬時急。遭變之后。何不急送
-
1902년 사양서당(泗陽書堂) 통문(通文) 및 각 댁 간찰(簡札)
190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강시형, 배석하, 이종후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通文。中梅通陶山文。右文爲通諭事。伏以。尊祖而不知體祖之意。則欲尊而易犯乎無忝之戒。愛己而不知反己之道。則雖愛而必至乎自陷之科。蓋自陷者鮮有。能無忝。而況惟廣李氏鑑湖堂是非事。始於尊祖。而乃起同室之䦧。終焉陷己。而實係斯文之變者耶。蓋鑑湖堂者。於惟我石潭李先生晩構命名之地也。講道妥靈之所也。不惟三賢
-
◯진년 재령이씨 문중 의송(議送)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경상감영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우계종택
▣…▣本以矣徒等祖先傳來▣▣分衿於。矣三寸叔母▣…▣▣…▣右外外曾孫爲遣。率其良妻所生子女▣良明卜▣…▣▣…▣大抵李鶴根脚段。李鶴外祖莫難。本以矣祖先仰▣…▣▣…▣去己未年生。李鶴則母子相繼服役。今至九十九年是去乎。丁酉年▣…▣▣…▣就卞松羅道察訪。則萬無干預驛族之端哛不喩。事在百年前是乎等▣…▣▣
-
1799년 인량(仁良) 화민(化民) 이상현(李相玄) 입안신청 소지(所志)
1799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이상현, 영해도호부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우계종택
仁良化民李相玄。右所志矣段。再從兄相發前。母邊衿得奴尙分三所生婢萬心年三十六壬午。同婢萬心一所生婢姜心年十庚戌。二所生婢千占年五乙卯。合三口乙。給價買得爲去乎。依例斜給爲只爲。行下向敎事。城主處分。己未十二月日。所志。使「押」依例斜給向事。初八日。刑。
-
1858년 영해(寧海) 유학(幼學) 남봉수(南鳳壽) 등 의송(議送)
1858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남봉수, 권석락, 경상감영
| 영덕 괴시 영양남씨 괴시파 영감댁
寧海。幼學。南鳳壽。權錫洛等。齊沐仰達于巡相公閤下。伏以。本邑元邱洞民之毁破邑坪隱洑事。已是閤下之所洞悉。而屢度營飭之下。不有法意。又於六月晦間。右洞豪饒之民。更爲起鬧。大發洞軍。掘去洑木。塡塞舊堗。以爲永永撤去之計是如。伏念。官令不得施行。營飭莫之奈何。則今年之緣他廢農已極痛心。而若今洑事無究竟。
-
1859년 영해(寧海) 읍대평(邑大坪) 대소민(大小民) 의송(議送)
1859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은보대소민, 경상감영
| 영덕 괴시 영양남씨 괴시파 영감댁
寧海。邑大坪。隱洑。大小民等。齊沐百拜仰達于巡相公閤下。伏以。矣坪隱洑事幸賴勻慈公正之澤。始至於摘奸勘斷之境是乎等以。乃於本月初一日。董率飢殘之力。滌開塡堗。貿備板木。連蕫四箇日。而僅僅補築是如乎。河海之澤。永世難忘是乎矣。第伏念矣等曾傷之情。猶有所餘㤼者。見今元邱之民。一向肆惡。修洑伊日。捉入官差
-
1859년 영해(寧海) 유학(幼學) 남경단(南景慱) 등 의송(議送)
1859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남경단, 권석중, 경상감영
| 영덕 괴시 영양남씨 괴시파 영감댁
寧海。幼學。南景慱。權錫中等。齋沐百拜仰達于巡相公閤下。伏以。遐土愚俗。惟恃冥頑。甚至於侵官誣民者。未有如本府元邱民白重泰朴鎬永南有耆之日前議送者也。大氐本坪隱洑。係是百年舊築。則元非可訟之地。而不意去年大浸之餘。元邱民之忽地起鬧者。不過圖奪洑項陳地之計是乎所。前後法司之所親審査決者。不知幾度。而見
-
1877년 김양진(金養鎭) 서간(書簡)
187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양진, 이중석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圭範 侍史 奉展。閱來在無長霖。自數日始見天。怳若發矇。爲問此際萱闈鼎茵對時康護。侍履連穩。女阿率稚好在否。弱質乳下一亦不堪。況大者惡習。想不悛挈提經過。可得於黙會矣。閭戒因保淨耶。楊叟老兄喪事。篤老之下。情界絶悲。未知大小節果皆寬譬節抑否。爲之悲念不置。拙。兄節僅免添患。而家間憂惱多端。出幕之兒。
-
1883년 최왕(崔汪) 외 3인 서간(書簡)
188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최왕, 최빈, 최항술, 최서
| 대구 칠계 경주최씨 백불암종중
錦沙 立石 滄洞 智竗 新基 僉案入納。 東川 堂末 候狀。仰惟霜令。僉體動止萬重。嚮溸不已。等各荷拙狀。何足道也。第鄙族人載鉉事。語邇師門。至於誣罔之科。此豈成說。不可無一番會集。將以輪告。仰須僉尊以明日齊會于東川。以爲相議之地如何。餘不宣狀。 癸未 九月 卄九日。堂末 崔汪 崔濱 崔恒述 崔{
-
1893년 김익락(金翼洛) 서간(書簡)
189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익락, 이중석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面非可易。而書亦闕已久矣。縱我不往。子寧不來。實先獲語也。每因此來人承悉節度。而阻漠則一般。戀鬱之私。何嘗少弛也。伏候冬日不甚寒。慈闈壽韻。代序康謐。侍餘體節連護。堂內尊少候平吉。姊主率穉依度否。次嬌婚期。向因中坪申君。知冬內過行。而將擇日于此近。昨見孟敏從。知定在來月十一云。信否。似此手分。連歲大
-
1899년 김규삼(金奎三) 서간(書簡)
189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규삼, 이중석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査兄 靖座下 入納。 梧溪 査弟 謝狀上。【省式謹封】省式。承書守歲。尙未修謝。非但自家之情薄。一自昨秋之後。無意於向人說話者。故或有便而闕焉。或臨書而言塞。惘惘若有失而投筆者。抑又何所然而使之者哉。想吾兄曾料此等事矣。或可恕諒耶。謹伏問此是新元。靖中體事。迓新增祉。閤內諸節。俱在福田。阮府安信。數
-
1901년 김익락(金翼洛) 서간(書簡)
190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익락, 이중석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忙拜疏上。稽顙。近日事。痛哭之外。尙何言哉。東方之雲氣盡矣。南士之命脉絶矣。天下萬世。豈有如許之極變怪乎。聞奇之日。卽當趨走。而曳衰之行。有難自力。罪悚曷已。三堂就囚本府。撞丁厄會。固不必置懷。而向衰氣力。似難堪任。區區慮仰。實不淺淺。道會日子。定以今初十。向後節次。曷以措處。呈營上京。想已發行矣。
-
1905년 병산서원(屛山書院) 통문(通文) 초(抄)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병산서원, 의흥향교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屛山再度通文。右文爲回諭事。伏以。妄尊大而不知尊賢之爲何事。任倔强而不識自强之爲何義。則是自悅於山蹊之間。而永棄於儒紳之列矣。仰惟貴鄕麟角屛巖。卽西厓柳先生。旅軒張先生杖屨播馥之地。而柳村先生朴公之陪遊題詠之所也。雖無一屋子。表章之揭扁之已有鄕道內儒錄稧帖。則何可曰無其所而羹墻。於是寤寐。於是不日。
-
1897년 영해(寧海) 유학(幼學) 남유순(南有錞) 등 산송관련 상서(上書)
1897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남유순, 남유수, 남조학
| 영덕 괴시 영양남씨 괴시파 영감댁
寧海幼學南有錞 南有鏽 南朝㶅等。齊沐再拜仰達于繡衣閤下。伏以。生等累世墳墓。在於府西仁惟里望巖嶺下。盖此山落脉八道處。南北兩麓。傍引相抱。自成一局。兩麓相距。不過百餘步。其南麓。則九世八世先塋。其北麓。則七世六世祖墓。而前後左右。傍支祔竁。累累成行。殆吾家山也。曾無他人一抔之土。亦無一人窺占之弊。
-
1873년 영해부(寧海府) 전령(傳令)
1873
| 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 정치/행정-명령-전령
| 영해도호부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우계종택
傳令出使將校處。向以申塚掘移事出送汝矣。矣今見李民所訴。則諉以積雪地凍不卽掘去云。此果奉令擧行之道乎。若果無雪而地不凍是去等。卽刻掘移。毋至慢令抵罪之地。宜當向事。癸酉十月二十九日使[押]。
-
1888년 영해(寧海) 향중(鄕中) 첩정(牒呈)
1888
|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정치/행정-보고-첩정
| 영해향중, 영해도호부
| 영덕 괴시 영양남씨 괴시파 영감댁
鄕中爲牒報事。伏以。民等以籍事。累呈官府。再訴上營。非不知惶懍。而出於民情之所不得已者也。其所不得已者。有不見恤於閤下之庭者。抑亦民情之所不能動得乎其誠也。大抵今番査報吏民對同俱質。而各招其辭。民曰吏曰。無一毫差失然後。搆辭以報。十分停當。而今査報始得見於呈營之後。則民等前後之擧。不過乎好事之致。而
-
1912년 홍기일(洪起一) 위장(慰狀)
1912
| 고문서-서간통고류-위장
| 종교/풍속-관혼상제-위장
| 홍기일, 이목호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德乃 哀次 奉疏。省禮。日月流邁。俄然之頃。先養大人襄禮已成。痛慕罔極。何可堪居。且送死當大事。則雖曰稱家。而素來不贍之地。果無憾於情禮耶。已乎負矣。人事之不及。復有如我者乎。旣不能相握於在病之日。又不能洩哀於屬纊之時。今又不能追訣於入地之期。是雖有失於初期之傳之者。不敏之責。而烏可免平日情薄之致耶
-
1926년 홍기일(洪起一) 서간(書簡)
19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홍기일, 이목호
|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老來懷緖。尙係於一線氣類。每得君家消息而何。聞生子則喜。生女則笑矣。今則泰孫已行冠醮。向見新婦與女阿書。造端萬福之原。可想其極恊夙願。顚木之㕀。碩果之報。將自此兆矣。不覺喜動于色。君之四十年居家爲善之樂。孰有大於此乎。以此推之。則修齊之方。在於知分安命。而不可一日放過於人道之外。居此世行此世。可不愼
-
17◯◯년 인량(仁良) 화민(化民) 이지형(李之炯) 산송관련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이지형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우계종택
仁良化民幼學李之炯。右謹言所志矣段。亡妻埋葬之地乙。定於庚寅年占得之原爲有如乎。山下居民朴厚還亦。其矣母葬近地是如。作梗虛塚。凌辱萬端是去乙。具由呈狀。則題音內。無步數常漢禁葬設計。事極可駭是如。虛塚處乙。與厚還同爲掘去之後。用之宜當敎是去乙。一遵官旨。掘移虛葬後定其坐向次以。京來地師同爲上去。則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