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丙辰三月二十二日玉洞書院色吏 金炳鱗 告目惶恐伏地問安爲向乎旀以吾道店漢作變事 自本洞有所論報矣題曰諸漢使庫子捉上爲敎故自 院送庫子眼同捉送而三度稟目因便呈上是白加尼三稟敎題曰稟辭殆不穩當爲敎而 官家分付內曰汝是玉院庫子乎汝矣書院何可侵責於西山移役之吾道店而有此累稟紛紜之端云云是白遣因爲重杖放送是白
-
稟目右謹稟伏以 本院庫舍頹覆祭器則無人可藏庫子則無地可接故曾巳 仰稟矣 題音以早晩間當留念爲敎則秪自恭俟 處分矣不惟竟無區劃之方卽伏見一戶布出秩則庫子之名充入軍伍伏未知緣何曲折而致此▣▣▣當初毁院之日奉承大院位關辭分付庫直齋直各一名許頉身役永爲遵行故挽近以來幾度摘奸不須擧論今出此秩之後所謂庫直卽欲移
-
고령향약안(高靈鄕約案)
1931
|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 정치/행정-조직/운영-절목
| 고령향교
| 고령 고령향교
昭和六年辛未七月日高靈鄕約案高靈鄕約第一章約綱一, 道德을 增進함一, 敎育을 ?勵함一, 民俗을 改善함一, 産業을 振興함第一項 道德을 增進함一, 個人의 人格 德性을 涵養하여 品行을 方正히 하야 人格을 養成할 事二, 人子의 道理 父母를 孝奉하야 恩愛를 報答하며 祖先及傍親을 敬慕
-
1767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완의(完議)
1767
| 고문서-증빙류-완의
| 사회-조직/운영-완의
| 당중
| 경주 옥산서원
完議右完議事刊所之設專爲文集重刊之意則所係極甚重大爲其任司者孰不惕念而近來遵行殆不如前至於遆任之際奴婢僧徒帖下等節漸成痼獘一年之費殆至二十餘石殊非當初設立之意今因齋會收議酌定板閣典守僧及刊所庫子駈從三名處各一石定式帖給其他例給一切革罷以杜日後獘且重刊之役當始於數年之間自今年以後秋收穀物更勿買土預爲儲
-
1856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완의(完議)
1856
| 고문서-증빙류-완의
| 사회-조직/운영-완의
| 당중
| 경주 옥산서원
完議右完議事倂書閣書冊因若出後照數則借去居半多有因循不傳之弊又有年來全無新舊任可傳受之獘若不一大更張則餘存冊子萬無奉守之道玆給期秋享時良玉兩村借去書冊者覽者可覽謄者可謄當以此時一一拾覓無漏爲約以此歎爲者自措處之地乎千萬幸甚丙辰 五月 初八日 堂中
-
1717년 팔녀(八女)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717
|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상석, 팔녀, 상지, 유
| 안동 주진 전주류씨 삼산종가
康熙五十七年丁酉二月初三日從▣八女處明文右明文爲臥乎事段矣以要用所致祖上傳來東後朴谷員▣▣三田五卜三束內一卜庫乙價折錢文六兩依數捧上爲遣同田庫乙右人處永永放賣爲去乎日後若有雜談是去等持此文告官事田主權奴相石[手寸]證人三寸權奴相指[手寸]筆 柳[署押]
-
정축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완의(完議)
고문서-증빙류-완의
| 사회-조직/운영-완의
| 당중
| 경주 옥산서원
完議右完議事近來院中禁護之松株斫伐雖或有因事段然而其爲不僅禁護之責在所難勉至於年前勿峰作板偶出於不得已之擧尙今爲士林有侮驚懼之不暇而日前琴湖事未必不由於曾前不得已之擧事後追有極爲悚蹙且念日後恐成有藉口之獘今更收議揭示目院門前後及上下松壇見在之松蒼然自立者元不擧論至於自犯者不仆之前斷不可如前斫伐放賣事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75년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제사(題辭)
1775
| 고문서-증빙류-제사
| 법제-소송/판결/공증-제사
| 경상감영
| 경산 하양향교
[着官][署押]乙未四月二十九日金判書?營時永儒呈議送題辭曰此事▣▣曾當査官之時業已洞知一通査狀然有分析而今於來?此▣之後若反其時營門之處決有備事體不得聽理事五月初二日更呈題辭曰前題已悉更呈不當向事
-
1892년 6월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천하동(川下洞) 완의(完議)
1892
| 고문서-증빙류-완의
| 사회-조직/운영-완의
| 천하동
| 상주 옥동서원
完議右完議事考本院刱始之時爲屬民自洞中買得使喚私耕畓十三斗落已屬本院而狀又以火直畓八斗落果矩大■〔除〕準畓四斗落合十二斗落納于本院以爲應役之地矣不幸有使喚畓訟之端目官以爲決處而還納院中則日後或有洞員中有如此諸般畓相持起鬧之獘巳屬本院則更無雜談之意來完文以納院中以爲永世憑考者壬辰六月初二日川下洞稧首李
-
1733년 유생원(柳生員) 노비 막석(莫石)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733
|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장심, 막석, 차중, 김성렬
| 안동 주진 전주류씨 삼산종가
雍正十一年癸丑二月六日柳生員奴莫石處明文右明文爲臥乎事段矣亦要用所致以東後朴谷員集字三十九田三負一束臨北楸谷員盖字四十六畓九卜四束合二庫乙價折錢文三十三兩乙依數捧上爲遣汝矣宅永永放賣爲去乎後次子孫族類中寺有雜談爲去等用此文告官卞正事田畓主寺奴長心[手寸] 證保院奴次中[手寸]筆執幼學金盛烈[署押]
-
1857년 권영백(權永百)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857
|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유치좌, 권영백, 유
| 안동 주진 전주류씨 삼산종가
咸豊七年丁巳二月九日權永百前明文右明文事段以移買次還退田東橋員必字三十田八負六束二斗落只庫乙折價錢玖兩依數捧用是遣舊文記幷右人前永永放賣爲去乎日後若有雜談是去等以此文憑信事田主柳致佐[署押]證筆柳[署押]
-
1884년 화득(和得)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884
|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점단, 화득, 권
| 안동 주진 전주류씨 삼산종가
光緖十年甲申四月卄六日和得前明文右明文事段以要用所致已自買得田伏在東橋員必字卅田八負六束二斗落只庫乙折價錢文八兩依數捧用是遣本文記幷爲右人宅前永永放賣爲去乎日後若有雜談是去等持此文記卞正事田主權奴占丹[署押]證筆權[署押]
-
1903년 최귀중(崔貴中) 자매명문(自賣明文)
1903
| 고문서-명문문기류-자매명문
| 경제-매매/교역-자매명문
| 최귀중, 설유선, 장수, 응금, 옥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大韓光武七年癸卯十一月初一日玉山書院前明文右明文事段屢年救荒之餘生活無路本院田五斗落限三年耕食是遣自己一身永爲放賣爲去事日後若有雜談是去等以此文記相考事自賣矣身崔貴中證都色 薛有先[手決]廟直 長守[手決]筆首奴 應金[手寸]
-
무신년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재임, 호계권씨문중, 양월이씨문중, 육통황씨문중, 원당김씨문중, 판교홍씨문중, 두류권씨문중
| 경주 옥산서원
回文右回諭事 本院享禮以今月二十日丁亥爲定望須 僉尊趁期賁臨以敦將事之地千萬幸甚戊申二月初一日玉山書院齋任李[署押]虎溪權氏門中楊月李氏門中六通黃氏門中元堂金氏門中板橋洪氏門中斗流權氏門中霞谷鄭氏門中霞上李氏門中玉山李氏門中山垈李氏門中杏村李氏門中
-
무신년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옥산서원재임, 국당권씨문중, 유금장씨문중, 양동손씨문중, 오금진씨문중, 양동이씨문중
| 경주 옥산서원
回文右回諭事 本院享禮以今月二十日丁亥爲定望須 僉尊趁期賁臨以敦將事之地千萬幸甚戊申二月初一日玉山書院齋任[署押]菊堂 權氏門中[着名]有琴 蔣氏門中[着名]良洞 孫氏門中吾琴 陳氏門中良洞 李氏門中
-
稟目右稟爲伏以生等向以牟東道里院本院應役冶匠朴化春撗侵砲保事有所(論)稟則 題敎有曰俎豆之所反爲工匠之所聚乎云云生等相顧愕貽竊伏歎 閤下右文之治不免權輿之歎生等慕賢之誠反蒙工匠之目者也盖本院卽翼成公厖村黃先生妥靈之所也春秋之丁多士駿奔享祀惟謹所聚者縫掖之倫所事者多儀之享則 題敎所謂工匠之所聚者恐
-
1892년 5월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하체(下帖)
1892
| 고문서-첩관통보류-첩
| 정치/행정-명령-첩
| 상주목, 옥동서원
| 상주 옥동서원
行牧使爲下帖事院之有土蓋爲享禮非爲其私則所重逈別與他有異凡係院物毋論緊歇雖在無知覺之常民固不敢生獘於磨鍊之後況乎知人事之班民尤不容不隨事補院而今以本院使喚畓十三斗落言之當初許給酌定私耕從便使喚顧無損益於院中實是祛獘於洞民者也劃得私耕之畓載在謄錄之丹足爲永久之迹何患來後之慮是如乎挽近俗習漸渝士趨日變洞
-
무진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완의(完議)
고문서-증빙류-완의
| 사회-조직/운영-완의
| 당중
| 경주 옥산서원
完議右爲刊役所田畓所出穀所當前少畜以爲日後刊役之需而本院年年引用雖緣痼獘之致揆以重事之道甚非得宜今於僉會之日定出任自今秋爲始刊所穀物前莊容撿以備營刊之費至則取息之際兩班家則切勿許債事戊辰 六月 初七日 堂中李[手決]辛[手決]李[手決]孫[手決]金[手決]李[手決]李[手決]洪[手決]李[手決]
-
1814년 상주목사(尙州牧使) 완문(完文)
1814
| 고문서-증빙류-완문
| 정치/행정-명령-완문
| 옥동서원, 성주
| 상주 옥동서원
完文 本院右完文爲成給事玉洞書院卽翼成公厖邨黃先生妥靈之所而兼奉影幀至宣 恩額則朝家之所崇報士林之所尊奉與他自別故在前守護院生殆近百數矣間多沙汰餘額零星殊非重額院衛影堂之道也玆考本院舊案參倣他 額院例以六十名成案以給爲去乎此後則本額內毋得移送于他役是遣雖兩局軍上番時切勿侵汰以爲永久遵行之地宜當向事甲
-
完議右完議事考本院?始之時爲屬民自洞中買得使喚私耕畓十三斗落已屬本院而狀又以火直畓八斗落果矩大■〔除〕準畓四斗落合十二斗落納于本院以爲應役之地矣不幸有使喚畓訟之端目官以爲決處而還納院中則日後或有洞員中有如此諸般畓相持起鬧之?巳屬本院則更無雜談之意來完文以納院中以爲永世憑考者壬辰六月初二日川下洞?首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