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14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유생(儒生) 권응생(權應生) 등 상서(上書)
1614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권응생, 옥산서원, 경상감영
| 경주 옥산서원
慶州玉山書院權應生等誠惶誠恐謹再拜上書于巡察使相國閤下伏以學之有田其來尙矣學田與官田均不稅之者亦且古矣今者書院等是學也而以其創在近世後於制田故凡田之屬於書院者皆仍私田之舊不得減稅計之數其勢然也噫書院之設自中州以及我邦皆爲尊先賢養後進而苟無其田則無以共籩豆廩肆生矣惟我書院乃晦齋先生杖屨之地而宣宗大王初
-
1623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유생(儒生) 장유관(蔣惟寬) 등 상서(上書)
1623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옥산서원, 경상감영
| 경주 옥산서원
天啓三年十一月二十一日玉山書院儒生蔣惟寬等謹百拜上書于 兼巡察使相國閤下伏以書院建設之意 國家崇獎之事固已閤下所詳悉者也不須煩瀆而第有不敢含黙事敢陳卑懇生等伏未知 閤下其能採納否嗚呼園囿廢興何與於國而古人以爲治亂之候斯文得喪何與於天而夫子發歎吾道之衰至於書院豈不爲盛衰治亂之候歟生等竊觀 國家自建書院
-
1633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유생(儒生) 진사(進士) 정학(鄭壑) 등 상서(上書)
1633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옥산서원, 경상감영
| 경주 옥산서원
崇禎六年四月日 儒生進士鄭壑等上書于 巡相國閤下伏以頃在乙巳年巡相柳公以弊院爲無形題給長鬐船一隻以爲養士之資矣及其歲久而船破則自院備得二隻船使長鬐居德山進金等主之而其間不無各衙門及主倅之所侵故自前使相特令完護玆豈非尊賢愛士之盛意也今以長鬐之地稅延日之料水將不得保存伏願 閤下依前移文于兩縣而使之勿侵千
-
1644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유생(儒生) 손종계(孫宗啓) 등 상서(上書)
1644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옥산서원, 경상감영
| 경주 옥산서원
甲申三月日玉山儒生孫宗啓等上書于 巡相國閤下伏以弊院之創今七十有餘歲矣平時養士之具至壬癸而蕩然遂於淸道密陽之地買置位田募人耕作而資定亦久矣袒他邑之地必有主者然後可以播種而收穫且以答徭役故以院奴文同者定爲監考而居其地掌其事今文同其死無人居守則所收之穀皆歸虛地所答之徭難以備悉矣文同之子文金者當幹其蠱而第
-
1885년 유이흠(柳頤欽) 등의 연명(連名) 상서(上書)
1885
| 고문서-소차계장류-상서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유이흠, 유봉희, 유양호, 암행어사
| 안동 주진 전주류씨 삼산종가
安東三峴里幼學柳頤欽柳昌植柳鳳熙等謹再拜呈書于繡衣閤下伏以生等高祖母淑夫人墳山在本府東後面佳流村後山而局內則四世累葬也守護則杉松鬱立也百餘年來(獘)源曾無矣不意昨年山下居民朴(勗)伊漢偸埋於內白虎壓臨咫尺之地而間葬古塚有似連墳積以陳莎不起新土泛眼看之(蓋)亦難辨矣生等始知於累月之後齊會山下責諭督掘則
-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간행 『고왕록(考往錄)』 수록 1744년 서문(序文)
1744
| 고서-기타
| 교육/문화-문학/저술-서
| 신녕향교
| 영천 신녕향교
考往錄事往而可疑者蓋緣於傳聞之襲訛歲遠而可澄者亶在於文字之不朽然則鑑前古而牖來裔排衆論而遵遺軌匪文曷究本校凡三遷占基於玆其年卽庚申可想鄕父老用意之勤而移刱以前不但屢經兵燹所藏遺文幾盡殘缺中間事蹟亦頗放失靡所凭據搜閱遺文中最緊底說且拾邇來見聞作爲一帙名之曰考往錄繼今以往隨事輒錄以便考覽則孛矣但學校之設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857년 김우동(金祐東)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
1857
| 고서-기타
| 경제-토목/건축-중수기
| 김우동
| 대구 현풍향교
鄕校重修記昔東漢鍾離意爲魯丞相出錢十萬入闕里夫子舊宅重修廟庭補葺車書拭劍理舃鋤草藏壁使宮墻潤色位置整頉自足之後魯之儒風復振若是乎右君子尊聖之誠也不覺景慕於千載之下也粤惟我東方雖僻在海外服箕師八條之敎被聖朝百年之化禮樂文物不讓於中華幷美於鄒魯上自國庠下至鄕學皆立夫子之廟殿廡門墻雖有庠校之差殊而尊奉禮貌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01년 현풍향교 「여제당중건기(厲祭堂重建記)」
1901
| 고서-기타
| 경제-토목/건축-중수기
| 현풍향교
| 대구 현풍향교
厲祭堂重建記夫是堂也國家郊兆之遺制山川營榮之餘儀而千載慰妥之耶四時供享之節也陶陽或無愆仗之失民物使無侵瀆之弊歲滋久棟宇漸頹何幸河侯在鳩來守是邦捐廩蠲費修緝斯堂神道復明上之五年辛丑仲秋日都有司嚴柱大齋任郭應坤朴珽鎭高宗三八年光武五年一九0一年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42년 최항묵(崔恒默) 「대성전중수기(大成殿重修記)」
1942
| 고서-기타
| 경제-토목/건축-중수기
| 최항묵
| 대구 현풍향교
大成殿重修記東華以儒化爲國國有庠郡有校以享至聖先師玄風之大成殿蓋是也災於壬燹縣監李公詠道重建之後辛丑縣監許公信〖佶〗重葺之物之廢興固數也而實係於衛聖之聖與不誠也歲己卬余菲才莅達城玄之竝于達已有年而校宮尙存然廟殿齋宇歲久朽敗傾覆在朝夕惕爲欲重修而値年荒未課粤二年辛巳會鄕人士致慨然曰聖廟不修豈守土云乎哉
-
伏以書院下典寺奴等除舟師分赴貢案施行事曾已陳達閤下臨院之日特蒙減下之令而其中永川某付恩田興海某付宋應都於二名則誤落于呈書之後未得幷參於其類伏願 相國閤下特命依他例施行使學宮屬人得保典守則斯文幸甚萬曆卅七年八月卄一日呈巡相通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819년 성대로(成大魯)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
1819
| 고서-기타
| 경제-토목/건축-중수기
| 성대로
| 대구 현풍향교
鄕校重修記學必待人而與非其人則學無以歟此相須之理也奧在戊寅知縣金候光泰爲多士移建學舍而歷年久不無風雨之受傷每爲一鄕之憂何幸今候李公鐸遠好學有文而適莅玆邑寬以撫民禮以待士數年間政淸訟簡宿廢方興諸學祗謁審視學舍東廡之朽棟將祠神門之腐椽欲摧明倫堂瓦傾而雨漏東西齋簷圮而風打齋寮數間顚覆不起徘徊咨嗟慨念不已於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891년 현풍향교 기문(記文)
1891
| 고서-기타
| 교육/문화-문학/저술-기
| 현풍향교
| 대구 현풍향교
國朝盛時學校大備是以敎化洋溢風俗醇厚可以方三代而無愧焉夫何挽近以來其敎寢衰擧世滔滔吾玄尤甚鄕士友常深以爲憂思耶以矯捄而不得焉今我侯尹公秉氏莅玆數歲志切興學慨鄕俗之壞弛憫校力之殘絀遂謀鄕人矯正其弊又捐百金錢以補之侯之意不在乎尊聖衛道若用此爲一時處費則是非侯之志也忘侯之惠也玆謀分植鄕里俾壽來世從此以往入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31년 채우석(蔡禹錫)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
1931
| 고서-기타
| 경제-토목/건축-중수기
| 채우석
| 대구 현풍향교
鄕校重修記世敎奚賴尊衛吾夫子也尊衛奚先廟貌之修完也惟我苞山之校自甲寅縣廢而合稱達城校亦遂爲達之管焉蓋其刱始以來嗣而葺者世不乏人考諸往蹟歷歷可詳今不必枚擧而又此歲月之久上雨傍風互破材朽殿宇而滲漏兩廡而樑推明倫之堂東西之齋破損非一若不及時施功莫保朝夕寔吾鄕僉章甫之齋咨興喟愈久愈淺而其於資財之盡入新學校披
-
1609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유생(儒生) 상서(上書)
1609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옥산서원, 경상감영
| 경주 옥산서원
伏以書院下典寺奴等除舟師分赴貢案施行事曾已陳達閤下臨院之日特蒙減下之令而其中永川某付恩田興海某付宋應都於二名則誤落于呈書之後未得幷參於其類伏願 相國閤下特命依他例施行使學宮屬人得保典守則斯文幸甚萬曆卅七年八月卄一日呈巡相通
-
伏以交淺言深君子所戒知足而止古人有言然而不有言者則孰可以聽之哉此固不知足而不憚煩者也前者院儒之進特蒙 閤下尊賢右文之盛意 命帖給以屬公婢訥叱德所生奴貴山者一人庶可賴此而應典守使喚之役生等公私之感爲如何哉而第勢有所拘事有不便者其將以事勢之難便爲 閤下更䞌焉 閤下其忍俯察而採施之耶所謂貴山者若在淸河縣縣
-
1622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유생(儒生) 상서(上書)
1622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옥산서원, 경상좌병영
| 경주 옥산서원
伏以玉山寔 晦齋李先生平日杖屨逍遙之地創設書院於此者實遺芬播馥之是愛也而宣宗大王命賜額號頒 以書冊其尊賢衛道之誠甚盛矣凡大小縉紳之來此道者莫不隨力所及盡心扶護其遵 國家右文之意吁其至矣閤下如有力之地則豈可獨不顧念也哉書院一里許有古刹曰定惠寺乃 先生遊賞讀書之所其窓壁間有 先生手筆文字至今宛然恐其毁破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864년 이정두(李廷斗) 「향교창학기(鄕校倡學記)」
1864
| 고서-기타
| 교육/문화-문학/저술-기
| 이정두
| 대구 현풍향교
鄕校倡學記今天下貿貿焉已矣民彛物則在穹壤間如幾珠之混於泥沙湍波激射漂蕩不定然畢竟寄托有他故失於中國存乎四裔惟東方以禮儀稍箕封八敎之後冠神舊俗閱塵劫不燮此殆天意在也恭惟我世宗莊憲大王自東方有國於斯爲庶禮樂法度爲世文章唐虞殷周之道也唐虞殷周之典唐虞殷周之謨也唐虞殷周之治也崇備重道興起斯文培養士類敎育英才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14년 이범익(李範益)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
1914
| 고서-기타
| 경제-토목/건축-중수기
| 이범익
| 대구 현풍향교
鄕校重修記國有太學郡有鄕校皆慕聖崇學之旨意也挽近世降俗頹禮壞樂崩校宮之森嚴頉失舊儀儒家之課學漸臻況淪有志者甞忱慨歎矣粤在庚戌秋勅設經學院於京城於是祗順德意竭力彈憲惟不克稱越甲寅春不佞叨守是郡先詣校官〖宮〗展謁之殿廡也頹破不蔽風雨豆邊也杇損只存形骸不勝悚懼駭歎乃與祠官金君殷埴發謨鳩孱詢于鄕人郡中多士爭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82년 이헌주(李憲柱) 「향교중수사실기(鄕校重修事實記)」
1982
| 고서-기타
| 경제-토목/건축-중수기
| 이헌주
| 대구 현풍향교
鄕校重修事實記玄風爲郡蕞爾而自古稱聲明之鄕者寔由金文敬郭忠翼兩先生今去兩先生之世已遠而聲光耶被遺澤尙存士之居是鄕者當聖道淪喪文物衰衰之日而猶能保守舊法維持古道彬彬有鄒魯之風爲鄕之有校厥惟久矣自世變以來財政窘乏不惟殿與堂傾圯莫至於春秋祭享亦無以備儀典校金熙源文敬公先生裔也慨然嘆曰吾旣在任敢不力歟遂大出
-
萬曆三十七年十一月五日玉山書院儒生權應生等謹再拜上書于兵馬節度使相國閤下伏以弊院之舊屬下典姜汗必其名者一自離亂之後流寓于迎日比器占因以托名于營下有年矣上年呈書于鄭兵相還屬書院以資多士供養之具第惟闕子多音沙里者年纔十歲以營下沙器匠屬案云父子而兩處爲役勢將難支恐不能保存也伏願 閤下特推慕賢之誠移屬闕子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