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05년 송학서당(松鶴書堂) 통문(通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송학서당
| 경주 옥산서원
靑松 松鶴 通文右通諭事伏以吾道傳授之[鉢]非一家私情所可擬議先賢公業之筆非後生臆見所敢改塗故程朱子集中改字朱子非之備文正碑文曲折歐公[解]之則古都上下之間安知無矯捄辨析之君子而至使一省侶紳復擧去乙巳之筆也夫晦齋先生之於 景節公親爲甥舅而早聞義方則其誨養之澤恩[愛]之篤非後人所敢容議然至若偉頌中淵源
-
1885년 완문(完文)
1885
| 고문서-증빙류-완문
| 정치/행정-명령-완문
|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完文右完文事段本縣校位五結院位三結旣有朝家劃給之典則官納處榮無 忽軆際減是矣 本邑之與民結混捧是謬例每有割俸贍監之意今此申査得結石剩富米雖以升夕逐夫 分減而元無實效哛除良其在尊儒宮重學敎之道不可踏襲謬規自今爲如校院需未物爲革罷爲去乎日後憑考次成完文出給以爲永久遵向事乙酉三月二十六日官 [手決]
-
1851년 안동(安東) 여강서원(廬江書院) 향회소(鄕會所)통문(通文)
185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배선만, 여강서원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鄙鄕之黙溪書院卽 凝溪玉先生寶白堂金先生 雲川金先生尸祝之所也三賢並享一方共尊今至數百年之久而不幸挩近以來許多事變出於寶白翁之後孫至於香祝停闕動以年歲生等力不能捄正而徒切憂歎者久矣迺者 雲翁本孫不待公議擅自分奉欲爲權安私室之計勢雖不獲事涉逕庭生等居在傍近不可岸視己於分奉之日祗迊權
-
1900년 영양향교(英陽鄕校) 회문(廻文)
1900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조남용,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廻文右文爲輪告事伏以來月初八日丁巳卽文宣王釋菜之日也伏願 僉尊前期入齋以爲將事之地千萬幸甚庚子七月 日 掌議趙南容注谷 趙學基沂里 李昌鉉佳谷 趙秉林新村 趙燾錫剡村 南基八道溪 鄭胤永縣洞 權永海甘北洞 南朝曦靑杞 吳世龜大川 權孝達 趙弘基上釜谷 姜準 趙皥容土邱 金遇洛 朴勝韶道谷 趙秉駿
-
1905년 고산서당(高山書堂) 통문(通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기락, 김도화, 김경락, 고산서당
| 경주 옥산서원
安東高山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公共之見自有涇渭之分大同之論必無軒輕之執則 僉尊於東江樑頌中變換句語之事想或聞知而恐未洞悉其源委曲折之詳矣 先師大山先生當日勘定遠通之所共知而今以的授道脉一句語倡出三本之說驀地執拗重刊登板未知孫氏之私自擅改亦可謂一本耶然而念其做措之間似非公議所扶回則生等更不欲呶呶爭辨而
-
1905년 용궁향교(龍宮鄕校) 통문(通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정주종, 안재덕, 정인탁, 용궁향교
| 경주 옥산서원
龍宮通文右爲回諭事伏以吾道之有淵源正脉此斯文之公義非一家之私[恩]所以幷世而道義相長則曰從遊異世而傳受未及則曰私淑而不敢以淵源道脉遽加[評]品於子孫之口者蓋亦古今天下至公無私之一大統也惟我 晦齋先生以愚齋孫公之宅相有舅甥恩多少誨養則有之而豈有意於不當意之地乎降及後孫不遵先意乃反藉重於疑似之文過情之茟
-
1862년 도산서원(陶山書院) 통문(通文)
186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김진하, 이효순, 이휘재, 안행준, 도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鄙等之與烏川交惡子于今三十八年矣原其所爭非出於帶氣務勝之而則是非之根於理者何嘗一日休歇而顧以歲月浸久不必長事呶呶且念事起之初急於推喆而氣或傷於激惱審語分疏而言或沙於張皇致令岸上公眼不得折裏於扶抑之間又或疑其論議之有所參錯同 謚之有些猜滅而往往視之私鬨鄙等誠不敢曰每事盡善然尙不?無
-
1905년 회연서당(檜淵書堂) 통문(通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정현석, 이병우, 회연서당
| 경주 옥산서원
右文通諭事伏以義理者天下之公也是非者一家之▣▣▣▣(公)則是非無所定以至於人欲肆而天理或幾于熄矣可不戒哉貴鄕孫李氏相持之端奧自去乙巳而正廟親酹之文 陶山狀德之辤已成一部鐵案天下後世孰敢復以 晦爺之道學爲由師承而有授受哉所以 湖上勘定之本已行於實紀孫氏私改之文不納於 廟樑則是非之定殆至六十年于玆矣不意
-
1905년 병산서원(屛山書院) 통문(通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류난영, 이수병, 류도헌, 병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安東 屛山 通文右文爲回諭事伏承 尊諭以 貴鄕孫氏 景節公樑頌事至有往來文諭又事紛紜者誠未知其何所據而然也第樑頌淵源二字已經諸先輩勘斷則今以寂寒之見乃敢更議於閤省已定之後者反有大未安者存且 退陶夫子已有正筆他不可以槩論也今日孫氏復事重刊顧未及沵思而然耶鄙等忝在衿紳之末曷敢有所云云於斯文上大是非而亦不
-
1832년 안동(安東) 구계서원(龜溪書院) 통문(通文)
183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류건휴, 류치명, 류휘문, 구계서원
| 경주 옥산서원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我高山崇奉之論自是先輩之苦心輿情之抑鬱而會議非止一再大事迄未整頓須年臨皐之會己有營建後奐會爛商之議生等奉以周旋經紀許允見今齋樓堂室業己就完而目前合做底只有建廟與呌 閽兩件事耳惟其參商於先後之際折衷於緩急之間則有非一鄕之士所敢自檀玆以三月十六日定道會于本府南陀陽書院伏願一道之 僉老
-
1867년 하양향교(河陽鄕校) 통문(通文)
1867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하양향교
| 경산 하양향교
通文往在壬辰之亂養吾堂宋公一門三節千古罕儔其後孫刱數間屋於宗孫所居靑川掲養吾堂額於中堂以寓春雨之思而其立祠崇奉者則將以待異日公論矣不意其所謂支孫之居遠溪者以其家戶多數蔑視宗派之殘劣盛設酒饌會宗族士友請立祠于遠溪而不從者驅逐之更爲開會分任云則非直其支孫之妄擧可罪所謂一邊儒林亦不能直言公決反爲之助而分任
-
1905년 사양서당(泗陽書堂) 통문(通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강준영, 이상표, 이장연, 사양서당
| 경주 옥산서원
泗陽 通文柒谷右文爲通諭事伏以天㭬斯文襲謬而行隱者多出於爲吾徒地也而尤惜夫 貴鄕孫氏家之復有今日事也夫道脉淵源者自來賢聖所傳以是受以是之統緖而景節公之於 文元先生也可以着說傍啓而的授耶是不足加損於 先生然得無未安於 先生之賢舅而愈所自懼於 先生之後徒者也此良李氏所以首發議諭而且在生等烏可視以鄕隣而俱
-
1905년 부지암정사(不知巖精舍) 통문(通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장승원, 부지암정사
| 경주 옥산서원
東洛仁同 通文右文爲回諭事伏以淵源授受之統有不待明卞而自有百世之公案文字眞贗之蹟有不得不卞而難掩一家之偏見噫鄙等亦當扝臂於是而不微盡捄正之道矣今於 貴壇通諭尤不勝慨然于中也肆惟 文元先生淵源道統正考侑文中不由師承一句斷之矣 退陶狀文中無授受處一句書之矣此所謂公案而不待卞說而自明者矣迺若東院樑欐之頌
-
1905년 도산서원(陶山書院) 통문(通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만윤, 이만창, 이현섭, 이중식, 도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陶山 通文禮安右文爲通諭事伏以公議所在不容私意義理所關不可無卞鄙鄕之乙巳聯章屢而不一無復餘蘊此非一鄕之私言乃一道之公議也今者伏承 尊諭則貴鄕孫氏重刊 景節公實紀而多有曲折更以淵源字起閙於兩門之間起閙於兩門則却是起閙於道內者未知孫氏有何所據而復友此擧也耶凡其未安之意難愼之義今不必更事覼縷而鄙等之所遵守
-
1905년 낙빈단소(洛濱壇所) 통문(通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낙빈단소
| 경주 옥산서원
洛濱 通文大邱右文爲回諭事伏以吾道淵源所自甚嚴非後世之所敢容議也況我 晦齋先生挺生乎道學不明淵源無徵之時就學於景節公而天資卓犖雖未有名師之從自求於方冊之間潛神性理遵聖賢進修之方玩心高明樂[鷰]魚流行之妙闡吾道之淵源斥異端之邪說溯源濂溪而尤得力於考亭東方無傳之學賴 先生復明而其於 景節公薰鎔之力不爲
-
영양향교(英陽鄕校) 통고문(通告文)
1909
|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 사회-조직/운영-통고
|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庫子處以債錢七十四兩五錢一分未報之故剡村員田八斗落只姑賣矣見今鄕議不一故前賣文記還收以此告于買田宅文記覓來爲可校 戊申八月初七日
-
을해(乙亥)년 자인향교(慈仁鄕校) 향교교생안(鄕校校生案)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정치/행정-조직/운영-선생안
| 자인향교
| 경산 자인향교
鄕校校生案乙亥二月日乙亥二月日鄕校校生案講齋任裵尙儉 故崔南老金兌明朴龍海八 執事秦重泰裵尙度李成來裵世載白南壽崔漢國崔興達秦重華額內裵尙厚崔斗星崔汝恒秦達鏡裵世悌崔鳳壽 故朴啓甲 疤下之金自來朴維翰裵世大白來悌 故崔聖佑 ▣金昇九金應達額外朴載龍 移居慶州 故黃麟 故李開良 故金有達 故金聲道 疤
-
1843년 청도향교(淸道鄕校) 사락루이건실기(思樂樓移建實記)
1843
| 고문서-치부기록류-중수기
| 경제-토목/건축-중수기
| 청도향교
| 청도 청도향교
思樂樓移建實記樓卽鄕校之門樓也校乃道州之學校也道州之校樓始自剏建至于是基已卜八遷盖剏初三遷世遠未詳傳自古坪而隆慶二年戊辰移建于邑下天老上癸坐後戊辰移建于邑上鰲山下午坐康熙二十三年甲子移建于下天老子坐崇禎紀元後百有七年甲寅九月二十四日移建于中松亭松亭卽是基也其間百七十年之久殿廡堂齋日毁月壞東撲西顚重建
-
1894년 영양(英陽) 재중(齋中) 회문(回文)
1894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廻文右文爲輪告事伏以一自英山撤 享之後過其墟不無春風燕麥之感今於 釋尊齊罷之日舊日從事之家相與齋咨謀所以寓慕羹墻意自各門出若干銅以爲便殖成所之方且其宮墻內外不可委之於野人之任意耕作自齋中薦出尋檢都監以爲逐春秋收貰隨助便殖之道幸願各自惕念俾有成結之地千萬望甚甲午二月十日齋中鄕校 一兩霖山書堂 一兩
-
1905년 호계서원(虎溪書院) 통문(通文)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장석용, 이수염, 류동운, 호계서원
| 경주 옥산서원
虎溪 通文安東右文爲回諭事竊以大賢授受之重非後人之所敢臆定同室分爭之閙非傍聽之所可挽回而惟其事關斯文義在尊衛故在昔兩門轇轕之日鄙鄕先父老盖嘗不辭纓冠而若心救解便見氷雪渙釋水月無恙而不意今者孫氏剞劂方張 僉尊之文諭遠及生等相顧驚駭不省其源委機緘之因何而有是也然生等之於是論實世守之公見而已勘之定案也亦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