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917 | 고문서-첩관통보류-첩 | 정치/행정-명령-훈령 | 김기풍, 최기수, 이정구, 경주향교 | 경주 경주향교
-
1919 | 고문서-첩관통보류-첩 | 정치/행정-명령-첩 | 경주향교 | 경주 경주향교
1919년 경주향교등 각지의 향교에서 기부금을 요구하는 일이 잦으므로 경주군수가 이를 자제할 것을 지시하기 위해 내린 下帖
-
고문서-증빙류-완의 | 사회-조직/운영-완의 | 정동석, 영천향교 | 영천 영천향교
갑진년 8월에 무자격한 자는 교생안에 올리지 말라는 영천군수(永川郡守)의 하첩(下帖)을 받고 영천향교당장(永川鄕校堂長)정동석(鄭東錫)이 이를 준행하겠다는 뜻을 밝힌 완의(完議)
-
고문서-증빙류-완의 | 사회-조직/운영-완의 | 영천향교 | 영천 영천향교
경술년 12월에 향교노비상태(尙太)가 나이가 많이 들었으므로, 그에게 납속전을 받아 그 돈으로 그를 대신할 노비를 사고, 또 약간의 토지를 살 것을 영천향교에서 의결한 완의(完議)
-
고문서-증빙류-완문 | 경제-세금-완문 | 영천군 | 영천 영천향교
乙酉년에 영천군에서 訓練都監의 番上壯丁을 위해, 願納錢을 납부한 李夏今․李泰俊․李以三 등에게 각종 雜役의 면탈을 허락하기 위해 발급한 完文.
-
고문서-증빙류-완문 | 경제-세금-완문 | 영천군 | 영천 영천향교
기미년에 영천군에서 영천향교典祀廳의 수리․보수를 위해 4명의 免講校生에게 禮錢을 받고, 이들을 軍保와 雜役에서 면제한다는 취지로 발급한 完文.
-
-
고문서-증빙류-완의 | 사회-조직/운영-완의 | 영천향교 | 영천 영천향교
갑인 년에 永川鄕校에 소속된 奴婢得每가 죽었으므로 그의 두 아들을 팔고 다른 노비를 사겠다는 결정을 永川郡에 알리는 完議
-
고문서-증빙류-완의 | 사회-조직/운영-완의 | 영천향교 | 영천 영천향교
갑인년에 죽은 永川鄕校 소속의 奴婢得每가 죽었으므로, 남겨진 두 아들을 팔고, 다른 노비를 사겠다는 결정을 永川郡에 알리는 完議
-
-
1615 | 고문서-증빙류-완의 | 사회-조직/운영-완의 | 이함, 이신일, 이해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갑오년 이승조(李承璪) 외 6명이 영양향교(英陽鄕校)로 보내온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승조, 이세하, 조한규,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1894년 厖村 黃喜의 陞廡疎를 가지고 갔던 儒生들이 경비가 부족하여 英陽郡의 京邸吏에게 30냥을 빌렸음을 알리는 通文
-
-
1864년 청송향교(靑松鄕校)에서 영양향교(英陽鄕校)로 보내온 통문(通文)
-
-
1887년 2월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보내온 통문(通文)
1887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만인, 이중일, 이중응,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1887년 2월 12일 도산서원 舊儒들이 원임직에 新儒 許通을 반대하는 上疏를 올리기 위해서 安東鄕校에서 道會를 열어 疏儒를 爬定하니 참석해 달라는 通文
-
1890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명화, 김종화, 김영진,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1890년 巡相金明鎭의 生祠堂 건립을 위한 都廳을 만든 후 각 읍별로 排錢이 거둬지지 않아 이를 독촉하는 통문
-
-
1895 | 고문서-서간통고류-격문 | 사회-조직/운영-격문 | 노응규 | 영천 영천향교
1895년 진주(晋州) 일대에서 항일의병(抗日義兵)을 조직하고 봉기한 노응규(盧應奎) 등이 경상북도 일대에 발송한 창의문(倡義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