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34년 김형칠(金衡七) 서간(書簡)
193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형칠, 류호집
|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向來。星峽之旆。伏想返卸矣。恨不得其時聯笻。爲數日盤礴於其間也。天借其便。而每爲人事牽縛。未知何時可得脫馽否。日來靖候一向否。下生。右顂輔車。連六七宵作疼。大妨啖飮。可苦可苦。而親候幸無客添也。虎溪事。一種浮議。尙不淨息。極是可誤(虞)。使無頭腦難處事。而認爲得計。若藉託祭享。而爲保管殘物之地。則林
-
1799년 8월 6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정사(政事)1
1799
|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사회-역사-역사기록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日省錄]己未八月初六日承旨前望單子入之。閔台爀沈象奎李東稷。落點。行都閔左鄭右尹左副李右副沈同副李[•]吏曹 佐郞尹在陽
-
1799년 8월 9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기타2
1799
|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사회-역사-역사기록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新 除授司諫李萬榮。時在京畿安城地。請斯速乘馹上來事。下諭。
-
1799년 8월 11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정사(政事)1
1799
|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사회-역사-역사기록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己未八月十一日吏曹口傳政事。穆陵參奉 鄭履元。貞陵參奉 曹龍玩。相換。
-
1799년 8월 6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정사(政事)4
1799
|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사회-역사-역사기록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日省錄]己未八月初六日吏曹口傳政事三陟府使 [〇]李壽彬 金思䄷 成光點
-
1921년 남효순(南孝順) 서간(書簡)
192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남효순
|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瓢谷 棣座下 執事。 槐市 追謝狀 謹封。客臘惠書。跨歲未覆。愧悚之至也。瞻仰之勤也。羲賓來。詢悉大槩。而爲作間日事。更伏惟兄候動止百福。子舍僉位一吉。從妹以渠軟弱迷昧。恐多貽憂。而在渠尊舅氏芘下耳。有何它慮。追念臨門送之之日。旣無命戒之一言。又裝送當次。無以循俗之萬一。擧家係戀。不但古人三夜不去火
-
1923년 이필호(李弼鎬) 서간(書簡)
192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필호
|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瓢谷 靖座 回納。 溪東 謹謝上。謹封。前月奉款。適足慰數年飢渴之抱。而別後思來。只是已經之好階梯悵望東雲。正不禁自我誠薄之歎。非意便風。先施惠帖。感舊論今。存眷有加。顧此無似。何以得此於仁人君子哉。擎讀屢回。不自知其何修。而仰酬至意也。就伏審此際。靖體啓居。連衛崇謐。日有觀玩之樂。賢器侍學。優遊以
-
1925년 김종구(金鍾九) 서간(書簡)
192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종구, 류호집
|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向也水便一信。是新年初有。而因於弟懶兄較。竟失一往復之梯。尙今逋竦之際。得拜聘父主料外行旆。欣抃之私。自不能容喩也。以伏審此時新元。聘母主氣力膺時康護。往年愆攝。趁得復常於迓新膺吉之際。良幸實深。在侍兄體胖重。仲光聞連事刀圭。尙未見著效云。貢慮之情。實非常例。第近者仁門兩家之荐値喪敗。聞不勝驚愕十分
-
1931년 김형칠(金衡七) 서간(書簡)
193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형칠, 류호집
|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伏候日來。省餘起止篤祐。積沴乖多。前旣久陰不雨。倏此愆湯熇熱。令人焦灼不自堪。每東望種種也。査弟。間經亡弟朞祥。匪惟悼恫之是摯。其人外雖若無攸能。而其中實有人不可幾及者。方倚以爲崇鄘鉅郛。而忽此喪失。回思五十餘年。爲弟爲兄於人間者。窅若春晝一夢。謂之何哉。惟耋親近免別諐。穆君若其對之善遣是幸耳。貴丁
-
1933년 김종구(金鍾九) 서간(書簡)
193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종구, 류연린
|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稽顙白。累度下書。出於拊恤恩庇之深。而自顧此萬死餘生。實無暇念修寒溫節度。伏想俯燭此情勢。然罪死之心。則難容盡達。卽伏審此時靜裡動止候。膺時神勞。伏慰下情。而但彧房所戒。餘慮尙未釋云。是則爲一種慮念處。外甥罪人。頑忍苟延。何足自幸。而浩攘餘波。尙矣無收拾彌縫之道。伏歎伏歎。大耋候惟僅免大家添損。是可
-
1931년 김형칠(金衡七) 서간(書簡)
193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형칠, 류연린
|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方閉兩眼。作念呪狀。卯君致下訊。詳伏叩起居之候。輸瀉之極。惟令子婦氏査夫人。乍違視饍。認是无望爾。而甚驚貢也。査下生。自來於黃口輩爺孃之位。控避不居矣。數日來。困於嘆嘆仰哺。謂之爺則全非。且阿睹痒澁之證。去益作痼。有所佔呻。白黑交閃。倂沒分㨂。苦何可言。耋親一事。沈綿焦灼之至。阿嬌去時。頗有慍懟之色
-
1933년 권노섭(權魯燮) 서간(書簡)
193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노섭
|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瓢谷 侍棣 座下 侍人。 寒水亭栖 謹謝上。謹封。魯燮再拜。石暈非君子所寶。木癭只好事者所怪異也。孰謂當世之賢豪。而反欲取而愛賞之耶。書固魯燮所先修。而忽蒙倒惠存恤。儘覺吾丈之於石暈木癭。不徒取而愛賞之而已。則倘或無好事者譏耶。伏惟聯棣趨庭。極志體之養暇。玩書存保。得名家長物。有勁草千尋之勢否。瘧焰
-
1799년 5월 20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좌목(座目)
1799
|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사회-역사-역사기록
| 류이좌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上在昌德宮停常參 經筵嘉慶四年己未五月二十日丁丑晴[〇][ㄴ]行都 李集斗[吏] 坐直左 洪義浩[刑] 坐直右 金翰東[禮] 差祭左副 鄭尙愚[戶] 差祭右副 沈象奎[兵] 差祭同副 徐英輔[工] 坐注書 柳 仕直 金 仕事變假注書 弼聖賚 仕
-
1799년 8월 9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정사(政事)1
1799
| 고문서-소차계장류-초기
| 국왕/왕실-보고-초기
| 류이좌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己未八月初九日。兵曹口傳政事。副護軍尹長烈。
-
1799년 4월 12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좌목(座目)
1799
|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사회-역사-역사기록
| 류이좌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上在昌德宮停常參 經筵上疏二箚子一嘉慶四年己未四月十二日庚子晴[準][〇][ㄴ]行都 李晩秀[戶] 坐左承旨 [禮]行右 金熙朝[兵] 坐直左副 李翊模[工] 坐右副 徐英輔[吏] 坐同副 嚴耆[刑] 坐直注書 柳 仕直 金 病假注書 李 仕事變假注書 許 仕
-
1799년 8월 9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좌목(座目)
1799
|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사회-역사-역사기록
| 류이좌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上在昌德宮停常參 經筵嘉慶四年己未八月初九日乙未晴臺啓三件全謄[〇][上]行都 李集斗 坐直行左 李益運 坐行右 金達淳 坐左副 鄭尙愚 坐右副 尹光顔 坐直同副 沈象奎 坐注書 柳 仕直一員未差假注書 呂 仕事變假注書 弼聖賚 仕答三司曰。不允。末端事付內矣。答兩司曰。不允。答院曰。不允。下諭事依
-
1788년 6월 24일
| 정조12
| 무신
6월 24일 쓰는 일로 金<관직명>典籍관직명>에게 편지를 썼다. 답장에 병 때문에 초안을 작성하지 못했다고 하고, 또 겸양하는 말이 많았다. 그런데 맡긴 實記를 보내오지 않았으니, 끝내는 사양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저녁식사 후에 <인명>黃聖休인명>를
-
1788년 8월 5일
| 정조12
| 무신
8월 5일 <인명>趙錫簡인명>, <인명>權檾인명>, <인명>孫潤慶인명>, <인명>趙龜然인명>, <인명>孫必慶인명>, <인명>趙允浩인명>, <인명>李翼遠인명> 등이 찾아왔다. <인명>趙錫簡인명>가 이렇게 말했다."지난번 <지명>반촌지명>에
-
1788년 12월 27일
| 정조12
| 무신
12월 27일 대궐문 밖에서 호소하는 것을 멈추었다. <인명>柳鳳祚인명>와 <인명>黃弼熙인명>가 <관직명>洪承旨관직명>의 집으로 갔다. <관직명>洪承旨관직명>가 入侍하여 아직 돌아오지 않았다. 그의 아버지가 또 이렇게 말했다."염려하지 마십시오. 우리 집
-
1788년 9월 9일
| 정조12
| 무신
9월 9일 疏首와 상소의 실무진 여러 사람이 상소문을 받들고 대궐문 밖에서 호소를 하였다. <지명>順興지명>에서 상소하러 올라온 사람들이 또 대궐문 밖에서 호소를 하였다. <인명>黃學洙인명>와 <인명>黃夏鎭인명>가 또 상소의 격식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이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