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886년 경상도(慶尙道) 영양향교(英陽鄕校) 배지(牌旨)
1886 | 고문서-명문문기류-배지 | 경제-매매/교역-배지 | 도계사촌,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1886년 慶尙道 英陽縣의 道溪嗣村에서 英陽鄕校 庫子에게 보낸 牌旨로, 衣制疏 때 거둔 公費錢의 殖利를 齋中에 보고하는 일을 분부한 문서
-
1893년 경상도(慶尙道) 영양현감(英陽縣監) 전령(傳令)
1893 | 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 정치/행정-명령-전령 | 영양현, 영양현 | 영양 영양향교
1893년 慶尙道 英陽縣의 수령인 英陽縣監이 향교 인근에 犯葬된 무덤을 조사한 뒤 보고하라고, 刑吏 南養文에게 지시하며 발급한 傳令
-
1898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양군수(英陽郡守) 전령(傳令)
1898 | 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 정치/행정-명령-전령 | 영양군,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1898년 慶尙北道 英陽郡의 英陽郡守가 英陽鄕校의 復戶 중 折半條인 50냥을 영양군에 납부하라고, 향교 書員에게 지시한 傳令
-
-
1915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양군(英陽郡) 영양향교(英陽鄕校) 회문(廻文)
191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영양 영양향교, 일월면 첨좌 | 영양 영양향교
1915년 慶尙北道 英陽郡 소재 英陽鄕校의 直員 李暾浩가 군내 日月面의 유림들에게 영양 영양향교에서의 강학 실시를 건의하며 발급한 廻文
-
1885년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향청(鄕廳) 첩정(牒呈)
1885 |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정치/행정-보고-첩정 | 향청, 영양현 | 영양 영양향교
1885년 慶尙道 英陽縣의 鄕廳에서 牛皮價 개선을 위해 개최된 鄕會 때 난입하여 폭력을 행사한 奴令輩들의 행태를 호소하며 英陽縣監에게 올린 牒呈
-
1886년 경상도(慶尙道) 감영(監營) 순영관지(巡營關旨)
1886 | 고문서-첩관통보류-고지서 | 정치/행정-명령-고지서 | 경상감영 | 영양 영양향교
1886년 慶尙道觀察使가 慶尙道 英陽縣에서 거두어지고 있는 각종 雜稅 부과에 대한 개선안을 英陽縣監에게 지시하며 내린 關旨
-
1886년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향청(鄕廳) 첩정(牒呈)
1886 |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정치/행정-보고-첩정 | 향청, 영양현 | 영양 영양향교
1886년 慶尙道 英陽縣의 鄕廳에서 부세 수취와 관련한 奴令의 差下를 시행하지 말 것을 英陽縣監에게 건의하며 올린 牒呈
-
1886년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향청(鄕廳) 첩정(牒呈)
1886 |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정치/행정-보고-첩정 | 향청, 영양현 | 영양 영양향교
1886년 慶尙道 英陽縣의 鄕廳에서 고을의 폐단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한 鄕會의 참석자가 비록 적었지만, 그 의의는 작지 않다는 취지로 英陽縣監에게 올린 牒呈
-
1886년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향청(鄕廳) 첩정(牒呈)
-
1893년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영양향교(英陽鄕校) 첩정(牒呈)
1893 |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정치/행정-보고-첩정 | 영양 영양향교, 영양현 | 영양 영양향교
1893년 慶尙道 英陽縣 소재 英陽鄕校에서 향교 소유 야산의 犯葬 현황을 조사한 圖形을 英陽縣監에게 올리면서 작성한 牒呈
-
1897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양군(英陽郡) 향청(鄕廳) 첩정(牒呈)
-
1899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양군(英陽郡) 영양향교(英陽鄕校) 첩정(牒呈)
1899 |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정치/행정-보고-첩정 | 영양 영양향교, 영양군 | 영양 영양향교
1899년 慶尙北道 英陽郡 소재 英陽鄕校 齋中이 春秋大享의 祭物 마련에 쓰이는 新劃錢을 융통하여 집행하겠다며 英陽郡守에게 올린 牒呈
-
1900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양군(英陽郡) 영양향교(英陽鄕校) 첩정(牒呈)
1900 |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정치/행정-보고-첩정 | 영양 영양향교, 영양군 | 영양 영양향교
1900년 慶尙北道 英陽郡 소재 英陽鄕校에서 校生 金道履에게 推捉의 令이 내려지자, 大享을 앞두고 狼狽한 일이 생겼음을 英陽郡守에게 호소하며 올린 牒呈
-
신사년(辛巳年)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영양향교(英陽鄕校) 향교보노시사안(鄕校保奴時使案)
고문서-치부기록류-노비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신사년(辛巳年) 慶尙道 英陽縣 소재 英陽鄕校에 소속되어 있는 보노(保奴) 15명과 사역인 38명의 성명을 기재한 장부
-
1796년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영양향교(英陽鄕校) 노인승회록(老人勝會錄)
-
1856년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영양향교(英陽鄕校) 기로회록(耆老會錄)
-
1874년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영양향교(英陽鄕校) 향교기로회화록(鄕校耆老會話錄)
-
1889년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영양향교(英陽鄕校) 거접시당상회화록(居接時堂上會話錄)
1889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1889년 慶尙道 英陽縣 소재 英陽鄕校에서 居接을 실시하고 耆老會를 개최한 뒤, 참석 耆老 30명의 성명과 字, 본관 등을 기재한 명부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세기 곽명규(郭明奎) 「순상국교궁획부전식본기(巡相國校宮劃付植本記)」
고서-기타 | 교육/문화-문학/저술-기 | 곽명규 | 대구 현풍향교
19세기 慶尙道 玄風縣 소재 玄風鄕校에 慶尙道觀察使가 100緡을 지원하자 현풍현의 유림들이 이를 殖利하기로 결정한 후, 그 의의를 기록한 현풍향교 郭明奎의 記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