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895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거일1리 동중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江原道平海郡下里面朴谷里狗巖洞에서 결성되었던 어촌 공동체 조직의 1895년 座目으로 洞首 8명과 有司 4명의 성명을 기재
-
1899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거일1리 동중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江原道平海郡下里面朴谷里狗巖洞에서 결성되었던 어촌 공동체 조직의 1899년 座目으로 모두 28명의 성명이 기록되어 있으며, 각 洞任別 성명도 함께 부기한 자료
-
1900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거일1리 동중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江原道平海郡下里面朴谷里狗巖洞에서 결성되었던 어촌 공동체 조직 구성원 16명의 명단으로, 狗巖洞이 分洞된 후 1900년 11월 19일에 새롭게 작성
-
1902년 경상남도(慶尙南道) 창녕군(昌寧郡) 향약계안(鄕約稧案)
-
1909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거일1리 동중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지금의 慶尙北道蔚珍郡平海邑巨逸1里 일대에서 결성되었던 어촌 공동체 조직의 구성원 명부로 1909년부터 1984년까지의 座上, 洞首, 有司 역임자와 閒民을 기재
-
1940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거일1리 동중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지금의 慶尙北道蔚珍郡平海邑巨逸1里 일대에서 결성되었던 어촌 공동체 조직의 相互扶助 규정으로 1940년에 제정
-
1721년 기영회계축(耆英會稧軸) 부동경계첩(附同庚契帖)
-
경상도(慶尙道) 예안현(禮安縣) 온계동규(溫溪洞規) 부계상동계(附溪上洞契)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안동 도산 진성이씨 퇴계종택
조선시대 慶尙道禮安縣의 溫溪洞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던 溫溪洞契와 조선후기 溪上洞에서 실시된 溪上洞契 관련 규정과 좌목 등을 엮어 놓은 자료
-
경상도(慶尙道) 영해부(寧海府) 인량리(仁良里) 난정록(蘭亭錄)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17세기 후반 慶尙道寧海府仁良里 출신의 사족 인사들이 상부상조를 통한 결속력 강화를 위해 결성한 契 조직의 규정과 좌목을 엮어 놓은 자료
-
1599년 경상도(慶尙道) 청도군(淸道郡) 향안(鄕案)
-
1600년 경상도(慶尙道) 청도군(淸道郡) 향안(鄕案)
-
1609년 경상도(慶尙道) 청도군(淸道郡) 향안(鄕案)
-
1610년 경상도(慶尙道) 청도군(淸道郡) 향안(鄕案)
-
1614년 경상도(慶尙道) 청도군(淸道郡) 향안(鄕案)
-
1621년 경상도(慶尙道) 안동부(安東府) 하회(河回)마을 동안(洞案)
-
1623년 경상도(慶尙道) 비안현(比安縣) 향안(鄕案)
1623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623년부터 작성된 慶尙道比安縣의 鄕案으로 16세기 중반부터 1655년까지의 입록자 175명의 성명을 수록
-
1632년 경상도(慶尙道) 청도군(淸道郡) 향안(鄕案)
-
1648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민환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648년 慶尙道義城縣에서 실시되었던 향약의 상벌 규정을 나열한 것으로, 의성현 출신의 유학자 李民寏의 주도로 제정
-
1651년 경상도(慶尙道) 청도군(淸道郡) 향안(鄕案)
-
1680년 경주부(慶州府) 양좌동(良佐洞) 동안(洞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