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20년 유한원(柳漢源)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찰.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유한원,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 20)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유한원(柳漢源)이 이규진(李奎鎭)가 제수(祭需)를 빌려달라는 부탁에 답한 서찰.
-
1820년 조기영(趙冀永)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찰.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기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 20) 교리(校理)조기영(趙冀永)이 이규진(李奎鎭)에게 억울하게 벌을 받고 있는 김상홍(金尙弘)을 잘 부탁한다는 서찰.
-
1820년 이재수(李在修)가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답신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재수,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 20) 2월 1일에 황주 목사(黃州牧使)로 재직 중인 아우 이재수(李在修, 1769~?)가 은율현감(殷栗縣監)을 재직 중인 이규진(李奎鎭, 1763~1822)에게 아들 혼인(婚姻)으로 집에 돌아왔지만, 길에서 피곤하고 업무(業務)를 비운 것이 모두 근심
-
1820년 이흡(李土+翕)이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간찰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흡,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 20) 3월27일, 화산수령[花山倅]로 재직 중인 아우 이흡(李土+翕)이 은율현감(殷栗縣監)으로 재직 중인 이규진(李奎鎭, 1763~1822)에게 석동(石洞)에 가지 못하여 금사(金沙)에는 가려했으나, 이 또한 여의치 못하다는 아쉬운 심정을 담은 간찰
-
1820년 정재홍(鄭在弘)이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답신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재홍,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 20) 3월 17일에 기하(記下) 정재홍(鄭在弘)이 은율현감(殷栗縣監)으로 재직 중인 이규진(李奎鎭, 1763~1822)에게 세금 거두는 일을 잘 못 처리한 수리(首吏)를 처벌하는 것과 왕씨(王氏)의 동산에서 시를 지어 보낸다는 내용의 답신
-
1820년 남기흥(南紀興)이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간찰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남기흥,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 20) 2월 27일에 기하(記下) 남기흥(南紀興)이 은율 현감(殷栗縣監)으로 재직 중인 이규진(李奎鎭, 1763~1822)에게 본 읍에 귀양 온 태인(泰仁) 김상홍(金相洪)을 잘 돌봐달라는 것과 지난번에 말한 약방문(藥方文)을 인편에 보낸 달라는 내용의
-
1820년 이종억(李宗億) 서간(書簡)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종억,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20)이종억(李宗億)이 은율 현감(殷栗縣監)인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찰로, 황해도신천(信川)의 상사(上舍) 박제명(朴躋明)과 그의 아우 회명(會明)과 사촌 한명(漢明)을 소개하며, 그들은 향리의 훌륭한 집안이므로 교유할 것을 권하는 내용.
-
1820년 우순(愚淳) 서간(書簡)
18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우순,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0년(순조20) 아우 우순(愚淳)이 은율현감(殷栗縣監)으로 재직 중인 이규진(李奎鎭, 1763~1822)에게 보낸 간찰로 아들의 관례(冠禮)에 참석하여 줄 것을 바라는 내용.
-
1821년 강세륜(姜世綸) 서간(書簡)
182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강세륜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1년(순조 21) 9월 17일 척기(戚記) 강세륜(姜世綸)이 보낸 간찰.
-
1821년 정윤원(鄭允元) 서간(書簡)
182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윤원, 대포 은율댁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1년(순조 21) 2월 19일 소제(小弟) 정윤원(鄭允元)이 대포(大浦)은율댁(殷栗宅)에 자신의 아들이 과거(科擧)에 급제(及第)하기 위하여 수령에게 서찰을 보내달라는 부탁하는 서찰.
-
1824년 술효(述孝) 서간(書簡)
182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술효,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4년술효(述孝)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과거시험장에 좋은 자리를 차지하지 못한 아쉬움을 전하고 있다.
-
1825년 이계우(李啓宇) 서간(書簡)
182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계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5년(순조25) 9월 18일 이계우(李啓宇)가 대포(大浦)에 사는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답신. 먼저 서찰을 보내준데 대하여 고마움을 전하고, 협지에서 지적한 후손을 이을 방도와 학문에 전념하라는 가르침을 힘을 다하여 실행하겠다는 내용.
-
1826년 신홍주(申鴻周)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신홍주,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년(순조 26) 7월 27일에 훈련대장(訓練大將)신홍주(申鴻周, 1772~1829)가 승호군(陞戶軍)과 숙위군(宿衛軍)에 관한 일로 결성현감(結城縣監)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서찰.
-
1826년 홍영관(洪永觀)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홍영관,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년(순조 26) 제(弟) 홍영관(洪永觀)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권보인(權輔仁)을 시관(試官)에 선발해 줄 것을 간청하는 내용이다.
-
1826년 신이록(申履祿)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신이록,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년(순조26) 10월 1일 신이록(申履祿)이 결성 현감(結城縣監)인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로, 자신은 8월 초에는 종정(宗正)에서 병조(騎曹)로 옮겼음을 전하고, 이광거(李廣居)는 곧 아계상공(鵝溪相公)의 종손인데, 노유(老儒)가 습오(拾鰲)의 계책을 세
-
1826년 조충식(趙忠植)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충식,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년(순조26)조충식(趙忠植)이 결성현감(結城縣監)인 이원조에게 보낸 서찰로, 김명련(金命錬)명록(命錄)형제를 추천하고, 관정동(冠井洞)에 사는 아사(雅士)인 김군을 통하여 향리의 물정을 살피라는 내용.
-
1826년 김종린(金宗麟)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종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순조26) 9월 27일 김종린(金宗麟)이 결성 현감(結城縣監)으로 재직 중인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식형(識荊)도 갖지 못하였는데 뜻밖의 서찰을 받고 기뻐하며, 조응교(趙應敎)에게는 함께 답신을 보내자는 내용.
-
1826년 김희신(金熙臣)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희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년 6월 23일 김희신(金熙臣)이 결성현감(結城縣監)으로 있던 이원조에게 보낸 간찰로, 번고(反庫)는 마땅히 약속한 날짜에 거행(擧行)해야 되지만 세선(稅船)을 낼 수가 없으니 다시 편리한 날짜를 정하여 통보하라는 내용.
-
1826년 심계석(沈啓錫)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심계석,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년(순조26) 12월 18일 심계석(沈啓錫)이 결성 현감(結城縣監)으로 있던 이원조에게 보낸 간찰로, 평안한 시절에는 백성 교화에 할계(割鷄)로써 할 필요가 없으니, 시회(詩會)를 열어 영구히 전할 명구(名句)를 읊조리자는 내용.
-
1826년 김희신(金熙臣) 서간(書簡)
182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희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26년(순조26) 10월 23일, 인하(隣下) 김희신(金熙臣, 1761~?)이 결성현감(結城縣監)으로 있던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로, 포보목(砲保木)과 기성목(騎省木)에 값을 정하고, 아울러 방안(榜眼)을 베껴서 별지(別紙)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