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弟) 숙원(宿源)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숙원, 이씨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 3월 25일 제(弟) 숙원(宿源)이 이 좌랑(李佐郞)에게 보낸 간찰로 혼사 준비로 인해 갈수가 없으며, 새벽에 움직여서 먼저 기다리기를 바라는 내용.
-
유교(有喬)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유교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某年) 제(弟) 유교(有喬)가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보낸 답신으로 보내준 시편과 과일을 잘 받았다고 사례하고, 자신이 지은 시편과 백호차(白毫茶) 1봉지, 소고기[黃肉] 한 근을 짝지어 보낸다는 내용.
-
부친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일에 아버지가 아들에게 서찰을 받고 난 후 소식을 알지 못하여 울적하며, 진하사(進賀使)의 도목정사(都目政事)가 지난 후에 길을 나서라는 내용의 간찰.
-
치경(致卿)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치경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某年) 하생(下生) 치경(致卿)이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보낸 간찰로 말씀하신 뜻을 잘 알았으며, 같이 독서할 사람을 추천해 주어서 감사하다는 내용.
-
해억(海億)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해억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모년(某年) 모월(某月) 요말(僚末) 해억(海億)이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보낸 간찰로 말을 다스리는 군대에 말 1필을 분부해 놓을 테니 미리 가서 기다렸다가 탈만한 놈을 끌고 가라는 내용.
-
정항조(鄭恒朝)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항조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연월일 미상이며, 정항조(鄭恒朝)가 김인섭(金麟燮)의 집안으로 보낸 답장으로 상대방이 보내준 돈은 잘 받았고, 상대방 집안에 관한 일은 패지(牌旨)을 환수했으며, 임천(嘉林)에서 보낸 문서는 이미 되찾았다는 것을 전하는 내용.
-
정항조 (鄭恒朝)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항조, 김인섭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연월일 미상이며, 정항조(鄭恒朝)가 김인섭(金麟燮)에게 보낸 답장으로 말씀하신 가복(加卜)을 별도로 조사해서 바로잡는 일과 조세를 감면해 주는 것에 농간을 부리는 일과 송아지 도살에 감영에서 금하는 것이 심하니 조심하라는 등의 내용.
-
허욱(許煜)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허욱, 김인섭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연도는 미상이고 3월 14일 허욱(許煜)이 단계(端磎) 김인섭(金麟燮)에게 보낸 간찰.
-
무술년 김천수(金千洙)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천수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무술년 8월 13일에 족손 김천수가 族祖에게 쓴 간찰.
-
무자년 김천수(金千洙)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천수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무자년 8월 20일에 척생(戚生) 김천수(金千洙)가 쓴 간찰.
-
호래(鎬來)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호래 조태극, 중계 김수로, 농계 김기로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연도미상 9월 9일에 호래가 단계 김인섭 집안으로 보낸 서간
-
경▣년 박채홍(朴彩洪)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박채횽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천간에 庚자들어가는 해 2월8일에 朴彩洪이 단계 김인섭 집안으로 보낸 편지.
-
호래(鎬來)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호래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모년 모월 鎬來가 김인섭 집안으로 보낸 서찰
-
기용(基鎔)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기용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사종제(四從弟) 기용(基鎔)이 단계(端磎) 김인섭(金麟燮) 집안으로 보낸 서간(書簡)
-
김수로(金壽老)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수로, 김인섭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연월 미상인 29일에 맏아들 김수로(金壽老)가 아버지 단계(端磎) 김인섭(金麟燮)에게 보낸 간찰.
-
김창석(金昌錫)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창석, 김수로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연도 미상의 11월 16일 아들 창석(昌錫)이 아버지 김수로(金壽老)에게 밤새 쌓인 눈으로 옮기지 못한 재목의 운반 문제를 상의한 서찰.
-
1795년 이규진(李奎鎭)이 이민겸(李敏謙)에게 보낸 간찰.
179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규진, 이민겸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795년(정조19) 윤2월 18일, 아들 이규진(李奎鎭)이 아버지 이민겸(李敏謙)에게 이 달 17일 도목정사(都目政事)에서 성주목사(星州牧使)는 구응(具應), 진주(晉州)는 정재협(鄭在協), 영덕(盈德)은 이로수(李潞秀, 1752~?)로 교체된 사실을 알린 간찰.
-
1799년 강세륜(姜世綸)이 작성한 간찰.
179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강세륜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799년 하생복인(下生服人) 강세륜(姜世綸)이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보낸 간찰로 맏이의 과거급제를 축하하며, 고향에 돌아오면 달려가서 치하하겠다는 내용.
-
1810년 정교(鄭墧) 서간(書簡)
181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교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10년(순조 10) 기하(記下) 정교(鄭墧)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자신이 옆구리를 다친 상황과 현재의 정치상황을 적고 있다.
-
1810년 김용묵(金用黙) 서간(書簡)
181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용묵,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10년(순조10) 소제(少弟) 김용묵(金用黙)이 성주군(星州郡) 대포리(大浦里: 한개마을)의 좌랑(佐郞)이규진(李奎鎭, 1763~1822)에게 아드님의 과거합격을 축하하며, 바쁜 업무 때문에 대면하여 축하시를 짓지 못함을 아쉬워하는 간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