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61년 류긍호(柳肯鎬)·류응호(柳膺鎬) 서간(書簡)
186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류긍호, 류응호,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1년(철종 12) 11월 11일, 甥侄 柳肯鎬·柳膺鎬가 외숙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61년 종규(鍾奎)·능발(能發) 서간(書簡)
186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종규, 이능발,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1년(철종12) 10월 20일, 族姪인 鍾奎·能發 등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62년 박영지(朴英址) 서간(書簡)
186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박영지,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2년(철종13) 2월 20일, 戚下生 朴英址가 凝窩 李源祚에게 고산서당 묘우上樑文과 重修記를 부탁한 후 상량문을 받으러 서원의 종을 보내면서 쓴 편지
-
1863년 조기준(趙基駿) 서간(書簡)
186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기준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3년(철종 14) 6월 9일, 査侍生 趙基駿이 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이번 여름의 혹독한 더위를 어떻게 견디는지 건강은 평상으로 회복되었는지를 묻고, 자신은 손자가 달포동안 설사를 하였으며, 서늘해지면 찾아뵈려하나 가을 세금거두는 일이 눈앞에 있어 기필할 수 없
-
1863년 박성덕(朴晟德) 서간(書簡)
186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박성덕,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3년(철종14) 2월 14일, 査下生 朴晟德이 응와 李源祚에게 보낸 답장
-
1864년 조진구(曺鎭九) 서간(書簡)
186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진구,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4년(고종1) 1월 10일, 侍生 曺鎭九가 三從姪의 山訟 사건의 부탁으로 凝窩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64년 이병우(李秉瑀) 서간(書簡)
186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병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4년(고종1) 2월 29일, 記下生李秉瑀가 한개마을[大浦]에 사는 凝窩 李源祚에게 보낸 답장
-
1864년 이정상(李鼎相) 서간(書簡)
186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정상, 이달영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4년(고종1) 8월 16일, 李鼎相이 靑松府使인 李達英에게 보낸 편지
-
1864년 정교(鄭墧) 서간(書簡)
186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교,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4년 3월 2일, 鄭墧가 凝窩李源祚에게 斥邪諭文과 향회 개최문제로 보낸 편지
-
1864년 이재징(李再徵) 서간(書簡)
186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재징,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4년(고종1) 6월 18일, 査侍生 李再徵이 凝窩 李源祚에게 보낸 답장
-
1865년 이인설(李寅卨) 서간(書簡)
186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인설,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5년(고종2) 8월 18일, 下生 李寅卨이 凝窩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65년 최영록(崔永祿) 서간(書簡)
186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최영록,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5년(고종2) 8월 1일, 崔永祿이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67년 이원조(李源祚) 별지(別紙)
186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7년(고종4) 동짓달 11일, 李源祚가 星州牧使에게 보낸 서찰"응0259"의 별지
-
1867년 송천흠(宋天欽) 서간(書簡)
186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송천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7년(고종4) 8월 26일, 査弟 宋天欽이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67년 김쟁(金琤) 서간(書簡)
186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7년(고종4) 8월 12일, 下生 金琤이 李源祚에게 보낸 편지
-
1869년 남희원(南羲元) 서간(書簡)
186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남희원,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9년(고종6) 3월 23일, 南羲元이 凝窩 李源祚에게 보낸 위문편지
-
1870년 시생(侍生) 조운긍(趙雲兢) 서간(書簡)
187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운긍,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70(고종7) 12월 16일, 侍生 趙雲兢이 凝窩 李源祚에게 답장으로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편지
-
1888년 이용화(李龍和) 서간(書簡)
188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용화, 이관희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88년(고종25) 8월 27일, 星州牧使인 李龍和가 李源祚의 손자인 李觀熙에게 보낸 편지
-
간정일록(艱貞日錄)
1862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김령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1862년 6월 4일부터 1863년 12월 30일까지, 김령이 단성민란의 주모자로 체포되어 전라도 임자도에 1년간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시기까지 자신이 겪은 일들을 기록한 일기
-
최절남(崔節南) 별급문기(別給文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경제-상속/증여-분재기
| 최절남, 이씨, 최익남, 권칭, 최위남
| 대구 칠계 경주최씨 백불암종중
연월일 미상, 幼學 崔節南이 며느리 이씨에게 노비 2口를 지급하는 別給文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