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42년 서영순(徐英淳)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4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서영순,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2년(헌종8) 4월 25일, 기복제(朞服弟) 서영순(徐英淳)이 영주목백(瀛洲牧伯:제주목사)으로 재직 중인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영리(營吏)김재유(金載瑜)는 부이방(副吏房)에 합당한 인물이니, 아전으로 차출해 줄 것을 바라는 인사 청탁
-
1842년 한계원(韓啓源)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답신.
184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한계원,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2년(헌종8) 9월 26일, 시생 복인(侍生服人) 한계원(韓啓源)이 제주목사(濟州牧使)로 재직 중인 이원조(李源祚)에게 조부의 상사(喪事)를 당한 비통한 심정을 전하고, 정대손(鄭大孫)을 압송(押送)하는 일은 감영(監營)의 공문(公文)에 의하여 거행하니 잘 살펴봐
-
1843년 조술립(趙述立) 서간(書簡)
184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술립,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3년(헌종9) 9월 21일 인제(婚弟) 조술립(趙述立)이 대포(大浦)의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로, 벼슬을 그만두고 돌아온 지 얼마되지 않았는데 또다시 한양으로 가려고 하느냐고 질책하고, 수다사(水多寺)에사 만나 자신의 선조 문집을 교정하자고 제의하는 내용.
-
1843년 조술립(趙述立) 서간(書簡) 별지(別紙)
184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술립,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3년 9월 21일 조술립(趙述立)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응 0561〉의 별지로, 평소 고을에서 악행을 저지르는 두 형제는 예전에 자신의 선조 산소의 일도 문제를 일으켰으며, 이번에도 아전들과 결탁하여 나쁜 짓을 하니 징벌해달라는 내용.
-
1843년 정유성(鄭裕成)이 이원조(李源祚) 가족에게 보낸 간찰.
184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유성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3년(헌종9) 8월 17일, 제복인(弟服人) 정유성(鄭裕成)이 대포(大浦)에 사는 이원조(李源祚) 가족에게 자신이 직접 한양로 가서 춘부장(春府丈)이원조를 모시고 와야 하는데, 아내의 병 때문에 가지 못하고 종을 먼저 보낸다는 간찰.
-
1845년 장석충(張錫忠) 서간(書簡)
184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장석충,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5년(헌종 11)장석충(張錫忠)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일반적인 안부를 전하는 내용이다.
-
1845년 표종제복인(表從弟服人) 김동선(金東善) 서간(書簡)
184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동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5년 5월 14일 표종제복인(表從弟服人) 김동선(金東善)이 당시 좌부승지(左副承旨)로 있던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로, 상대방의 상일(祥日)에 나아가 위로하지 못한 미안함과 사촌이 과거에 낙방하였다는 소식을 전하는 내용.
-
1846년 권대긍(權大肯) 서간(書簡)
184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대긍,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6년(헌종 12) 11월에 권대긍(權大肯)이 장현철(張鉉喆)을 잘 돌보아 달라며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
-
1846년 권대긍(權大肯) 서간(書簡) 별지(別紙)
184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대긍,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6년(헌종 12) 11월에 권대긍(權大肯)이 장현철(張鉉喆)을 잘 돌보아 달라며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별지(別紙).
-
1846년 유도식(柳道軾) 서간(書簡)
184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유도식,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6년 6월 6일유도식(柳道軾)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로, 딸의 혼인문제로 상대방에게 도움을 청하고 먼 길의 여행의 즐거움을 들려달라는 내용.
-
1846년 황원선(黃源善) 서간(書簡)
184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황원선,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6년황원선(黃源善)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의 별지로, 꿈에 전 제주목사(濟州牧使)와 함께 제주에서 소요한 일을 시로 쓰고 서문을 기록하여 자신이 제주를 방문하고 싶은 욕망을 드러낸 내용.
-
1846년 조병현(趙秉鉉) 서간(書簡)
184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병현,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6년(헌종 12)조병현(趙秉鉉)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로, 일상의 안부를 전하는 내용이다.
-
1849년 이조수(李肇秀) 서간(書簡)
184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조수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9년(헌종 15)이조수(李肇秀)가 보낸 서찰로, 두 집안 간에 혼인을 맺기 위해 주고받은 내용이다.
-
1847년 서대순(徐戴淳) 서간(書簡)
184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서대순,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7년(헌종 13) 3월 3일 예조참의(禮曹參議)서대순(徐戴淳, 1805~1871)이 자성부사(慈城府使)로 재직 중이던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805~1871)에게 보낸 간찰이다.
-
1847년 이돈영(李敦榮) 서간(書簡)
184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돈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7년(헌종 13) 6월 10일 이돈영(李敦榮)이 자산부사(慈山府使)로 재직 중이던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이다.
-
1847년 권용수(權用脩)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4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용수,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7년(헌종 13) 7월 21일 기하생(記下生) 권용수(權用脩)가 벼슬이 내려져 부모님을 떠나야 하는 개인적인 섭섭함과 행역의 괴로운 소식을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
-
이인설(李寅卨)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4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인설,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하생(下生) 이인설(李寅卨)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제향(祭享)에 쓰기 위해 제수(祭需)를 빌려달라는 부탁의 간찰.
-
1847년 홍종무(洪種茂)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184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홍종무,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7년(헌종 13)홍종무(洪種茂)가 자산부사(慈山府使)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자신과 친한 사람을 잘 부탁한다는 간청의 서찰.
-
1847년 김도희(金道喜)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4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도희,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7년(헌종 13)김도희(金道喜)가 자산부사(慈山府使)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
1847년 홍재철(洪在喆) 서간(書簡)
184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홍재철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7년(헌종 13)홍재철(洪在喆)이 보낸 서찰로, 상중(喪中)이 자신의 처지를 알리는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