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12년 조주원(趙周遠) 외 5인 서간(書簡)
191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주원, 조진하, 조태헌, 조태경, 조진구, 조종원
| 영덕 오촌 재령이씨 존재종택
1912년 1월 4일, 조주원 외 5인이 『갈암집』을 보내 준 것에 사례하기 위해 이생원댁에 보낸 편지
-
1917년 류연구(柳淵龜) 서간(書簡)
191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류연구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917년 10월 19일, 류연구가 이성구 어른이 제기한 문제의 결론을 물어보기 위해 보낸 편지
-
1861년 원영(源榮) 서간(書簡)
192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원영, 이관희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921년(순종 14) 1월 18일, 원영이 새해 인사와 아들의 혼례와 관련된 부탁을 하기 위해 이원조의 손자인 희빈, 즉 이관희에게 보낸 편지
-
1923년 이성구(李性求) 서간(書簡)
192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성구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923년 8월 11일, 이성구가 신행에 대한 의견을 구하기 위해 사돈에게 보낸 편지
-
1925년 이성구(李性求) 서간(書簡)
192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성구, 필여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925년 6월 7일에 맏형 이성구가 안부 인사와 공진 형에게 기별을 하기 위해 동생 이필여에게 보낸 편지
-
1930년 류연구(柳淵龜) 서간(書簡)
193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류연구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930년 10월 2일, 류연구가 고산서원과 관련된 일련의 사단에 대한 해명 차 소호리 가정의 여러 사람들에게 보낸 편지
-
1941년 이기연(李起淵) 서간(書簡)
194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기연
| 안동 태자 봉화금씨 매헌종택
1941년 5월 18일, 이기연이 받은 편액에 대한 감사와 소상 일자를 전하기 위해 보낸 편지
-
1946년 금성수(琴性洙) 서간(書簡)
194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금성수
| 안동 태자 봉화금씨 매헌종택
1946년 2월 7일, 금성수가 모친상을 당한 지 2주년이 되는 족숙을 위로하기 위해 보낸 편지
-
1977년 이능윤(李能允) 외 4인 서간(書簡)
197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능윤, 이능옥, 이광구, 이석우, 이진동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977년 8월 26일, 이능윤 외 4인이 대산선생의 서원 복원 후 봉향 때 부조를 내기 위해 보낸 편지
-
치재일록(癡齋日錄)
1600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허명신
| 고령 개진 김해허씨 치재후손가
『치재일록』은 癡齋 許命申(1569~1637)이 32세가 되던 1600년부터 시작하여 거의 죽기 직전까지 썼던 일기이다. 후손 중 누군가가 훼손 멸실의 위험에 대비해 허명신의 친필일기를 보관해 오다가, 새롭게 필사 정리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 때문에 날짜가 제대로 이
-
대산일기(大山日記)
1739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이상정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대산일기』는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1711~1781)이 기록한 것으로, 현재 12책의 필사본이 남아있다. 이 일기는 책력(冊曆) 위에 쓴 역상일기(曆上日記) 유형으로, 해당 날짜 아래에 그 날 있었던 주요 사건을 간략하게 기록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일기를
-
1739년 이석문(李碩文) 홍패(紅牌)
1739
| 고문서-교령류-홍패
| 정치/행정-과거-홍패
| 영조, 이석문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739년(영조 15) 10월, 국왕이 이석문에게 무과 병과에 제22인으로 합격한 것을 증명하여 발급한 무과 급제 증서
-
1750년 이석문(李碩文) 고신(告身)
1750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영조, 이석문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750년(영조 26) 1월, 국왕이 이석문을 어모장군 무신겸선전관에 임명한 4품 이상 고신
-
1783년 이규진(李奎鎭) 백패(白牌)
1783
| 고문서-교령류-백패
| 정치/행정-과거-백패
| 정조,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783년 10월 3일, 국왕이 이규진에게 생원 3등 제5인으로 합격한 것을 증명하여 발급한 생원시 합격증서
-
1799년 4월 12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탑전하교(榻前下敎)1
1799
| 고문서-교령류-전교
| 국왕/왕실-교령-전교
| 정조, 도총부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1799년(正祖 23) 4월 12일 辰時, 左承旨 李書九가 입시하였을 때 국왕이 내린 榻前下敎
-
1799년 4월 12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전교(傳敎)1
1799
| 고문서-교령류-전교
| 국왕/왕실-교령-전교
| 정조, 서영보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1799년(正祖 23) 4월 12일, 국왕이 右副承旨 徐英輔에게 내린 傳敎
-
1799년 4월 12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전교(傳敎)2
1799
| 고문서-교령류-전교
| 국왕/왕실-교령-전교
| 정조, 서영보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1799년(正祖 23) 4월 12일, 국왕이 右副承旨 徐英輔에게 내린 傳敎
-
1799년 4월 12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전교(傳敎)3
1799
| 고문서-교령류-전교
| 국왕/왕실-교령-전교
| 정조, 이만수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1799년(正祖 23) 4월 12일, 국왕이 都承旨 李晩秀에게 내린 傳敎
-
1799년 4월 12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비답(批答)1
1799
| 고문서-교령류-비답
| 국왕/왕실-교령-비답
| 정조, 이병모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1799년(正祖 23) 4월 12일, 左議政 李秉模의 箚子에 대한 국왕의 批答
-
1799년 4월 12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비답(批答)2
1799
| 고문서-교령류-비답
| 국왕/왕실-교령-비답
| 정조, 이시수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1799년(正祖 23) 4월 12일, 前吏曹判書 李時秀의 上疏에 대한 국왕의 批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