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정해년(丁亥年)·신미년(辛未年)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영천향교(永川鄕校) 예납안책(例納案冊)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경제-회계/금융-치부책 | 영천향교 | 영천 영천향교
조선후기 丁亥·辛未年에 慶尙道 永川郡 소재 永川鄕校가 사찰·店 등으로부터 例納 받은 각종 物目과 그 수량 등을 기록해 놓은 장부
-
숙종 10년(1684)부터 영조 26년(1750)까지 함창향교(咸昌鄕校)에서 작성한 청금록(靑衿錄)
-
영조 7년(1731)부터 영조 16년(1741)까지 함창향교(咸昌鄕校)에서 작성한 청금록(靑衿錄)
-
숙종 18년(1692)부터 영조 1년(1725)까지 작성된 함창향교(咸昌鄕校) 교임록(校任錄)
-
-
-
경진(庚辰) 8월 작성된 함창향교(咸昌鄕校) 노비안(奴婢案)
-
계묘(癸卯) 2월 작성된 함창향교(咸昌鄕校) 노비안(奴婢案)
-
계해(癸亥) 10월 작성된 함창향교(咸昌鄕校) 노비안(奴婢案)
-
병인(丙寅) 2월 개수(改修)한 함창향교(咸昌鄕校) 노비안(奴婢案)
-
-
을사년(乙巳年) 비안향교(比安鄕校) 향교대장(鄕校大帳)
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의성 비안향교
을사년 4월에 작성된 비안향교 〈향교대장〉으로 향교의 경제적 기반 중 하나인 학위전답에 관한 내용을 보여주는 자료
-
계사년 비안향교(比安鄕校) 향청신구기물도안(鄕廳新舊器物都案)
-
선조 36년(1603)부터 순조 11년(1811)까지 작성된 성주향교(星州鄕校) 소장 성주향안(星州鄕案)
-
정조 23년(1799)부터 순조 14년(1814)까지 용궁향교(龍宮鄕校)에서 작성한 교임록(校任錄)
-
-
선조 32년(1599)부터 인조 10년(1632)까지 용궁향교(龍宮鄕校)에서 작성한 교임록(校任錄)
-
1633년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대동통일년각양출물책(大同通一年各樣出物冊)
-
1683년부터 1831년까지 비안향교(比安鄕校) 좌수향임록(座首鄕任錄)
-
1683년부터 1831년까지 비안향교(比安鄕校) 향임록(鄕任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