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763년 경주부(慶州府) 양좌동(良佐洞) 동안(洞案)
-
1769년 경주부(慶州府) 양좌동(良佐洞) 동안(洞案)
-
1891년 경상도(慶尙道) 비안현(比安縣) 향리약법(鄕里約法)
1891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절목 | 김종호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891년 慶尙道觀察使의 지시로 慶尙道比安縣에서 향약이 실시될 때, 제정되었던 제 규정과 序文 등을 엮어 놓은 자료
-
1903년 경상도(慶尙道) 비안현(比安縣) 향약계안(鄕約稧案)
1903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조선말기 慶尙道比安縣의 유림들이 결성하였던 鄕約稧 관련 자료를 엮은 것으로 1894년에 작성된 序文, 1903년의 節目, 1903년 수정된 座目을 수록
-
1908년 경상도(慶尙道) 영해부(寧海府) 인량리(仁良里) 동안속록(洞案續錄)
1908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1908년 慶尙北道寧海郡仁良里 일대에서 새롭게 결성된 洞約 관련 자료로, 序文과 10개조의 洞規, 洞員 225명을 수록한 座目으로 구성
-
1911년 경상도(慶尙道) 청도향교(淸道鄕校) 간행 청도향안정명록(淸道鄕案正名錄)
1911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11년 淸道鄕校에서 간행한 향안으로 1599년부터 1700년까지 慶尙道淸道 지역의 留鄕所 鄕員 383명의 명단을 수록
-
1939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령향안(新寧鄕案)
1939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39년 慶尙北道永川郡新寧에서 간행된 上,下 2冊의 鄕案으로 1597년부터 1938년까지 鄕員 508명의 성명을 수록
-
-
1724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박서봉 | 경산 하양향교
1724년 4월, 하양향교의 유생 朴瑞鳳이 慶尙監司에게 環城寺를 하양향교의 屬寺로 해줄 것을 청원한 소지(上書)
-
1724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박서봉 | 경산 하양향교
1724년 5월, 河陽鄕校의 儒生朴瑞鳳이 慶常監司에게 環城寺를 다시 河陽鄕校의 屬寺로 해 줄 것을 청원한 소지(上書)
-
-
-
-
1854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정치/행정-보고-청원서 | 조병상, 오종준, 정주묵,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1854년 3월에 英陽 儒生 趙秉常 등이 李晩友와 향교의 토지에 대해 분쟁이 있으니 이를 조정하기 위해 巡察使에게 보고하고 처분을 요청하는 上書
-
-
을해년(乙亥年) 영양향교(英陽鄕校) 향중완의절목(鄕中完議節目)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교육/문화-서원/향교-절목 |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을해년 2월 4일, 英陽鄕校의 鄕會원로들이 鄕中에 모여 英陽鄕校의 경비지출 절감방안과 執綱의 선출방법 등을 규정한 鄕中完議節目이다.
-
-
1729 | 고문서-첩관통보류-첩보 | 정치/행정-보고-첩보 | 하양향교 | 경산 하양향교
1729년 하양향교에서 慶尙監司에게 永川 유생들의 상소로 인해 停擧된 河陽 유생들의 문제를 해결해 주도록 청원하는 牒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