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
1838년 영천향교(永川鄕校) 양사재상량문(養士齎上梁文)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절목 | 허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세기 중반 慶尙道善山府 府南 일대에서 조직된 鄕約의 제 규정으로, 선산부 출신의 유학자 許{亻+奎}가 呂氏鄕約, 朱子增損呂氏鄕約, 退溪鄕約을 참고하여 제정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고상안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조선중기 慶尙道龍宮縣의 西面 및 尙州牧永順面 일대에서 결성되었던 契 조직의 序文으로, 임진왜란 이후 重修하는 과정에서 서면 출신의 재지사족 高尙顔이 작성
-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도장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635년경 慶尙道星州牧上枝坊 일대에서 시행되고 있던 鄕約의 전말을 기록한 것으로, 이 지역 출신의 유학자 李道長이 작성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원정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7세기 후반 上枝洞(現 慶尙北道漆谷郡枝川面新里)에서 실시되고 있던 향약을 새롭게 정비하면서 마련된 上枝洞契의 契案 序文으로, 상지동 출신의 문신인 李元禎이 작성
-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병전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9세기 후반 慶尙道漆谷府의 鄕約이 실시되는 과정에서 결성된 鄕約契의 序文으로, 칠곡 출신의 유학자 李秉銓이 작성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우성규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9세기 후반 慶尙道漆谷府의 府使로 부임한 禹成圭가 효과적인 향촌 통치와 백성들의 교화를 위해 鄕約을 제정하면서 작성한 序文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홍준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6세기 전후 慶尙道安東府의 屬縣인, 奈城縣에서 실시되었던 洞約의 序文과 처벌규정 및 상호부조 규정으로 奈城 출신의 재지사족 李弘準의 주도로 제정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김양렬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8세기 전후 慶尙道奉化縣에서 새롭게 鄕案을 改修하면서 마련된 序文으로, 봉화 출신의 재지사족 金揚烈이 작성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황중윤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지금의 경상북도울진의 正明里와 沙銅里 里民 간의 相扶相助를 위해 실시되고 있던 里契의 立義로, 17세기 전반 이 지역에 거주하던 黃中允이 父兄의 명을 받아 새롭게 제정
-
-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안정한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舊韓末 향촌교화를 위해 경상남도의령군의 芝山面 일대에서 시행된 향악으로, 의령 출신의 유학자 安鼎漢이 序文을 작성
-
1578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송량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慶尙道尙州牧에서 결성되었던 洛社契의 序文과 11조의 운영 규정으로 1578년 상주목 출신의 재지사족 宋亮이 작성
-
1599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정경세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599년 慶尙道尙州牧에서 결성된 洛社合契의 序文으로, 전란으로 피폐해진 향촌사회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결성되었으며 鄭經世가 그 서문을 작성
-
1599년 금난수(琴蘭秀) 게부봉화향서당소지(揭付奉化鄕序堂小識)
-
1599년 금난수(琴蘭秀) 첩유봉화향서당문(帖諭奉化鄕序堂文)
1599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금난수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599년 慶尙道奉化縣의 縣監으로 부임한 琴蘭秀가 향촌 교화를 목적으로 退溪鄕約과 溫溪洞約을 백성들에게 勸誘하면서 작성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