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685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옥계정계
경상도삼가현옥계동(玉溪洞)에서 결성된 옥계정계(玉溪亭契)의 계원 명부로 1685년부터 1701년까지 추록(追錄)
-
-
1704년 옥계정계(玉契亭契) 동안(洞案) 신안(新案)
-
-
-
-
1784년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 면향약계선생안(面鄕約稧先生案) 제1책
1784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남면향약계 | 남해 율곡사
1784년부터 1950년까지 경상남도남해군남면에서 실시된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의 임원(任員)을 기재한 선생안(先生案)
-
-
1786년 옥계정계(玉契亭契) 옥계동선안(玉溪洞先案), 1816년 옥계동신안(玉溪洞新案)
1816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옥계정계
경상도삼가현玉溪洞에서 결성된 玉溪亭契의 역대 계원 명부로, 1786년에 만들어진 「玉溪洞先案」과 1816년에 만들어진 「玉溪洞新案」
-
-
1901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연계소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01년 지금의 慶尙南道密陽의 儒林들이 司馬所의 전통을 계승한 蓮桂所를 育英齋에서 독립시키면서, 그 전말과 관련된 여러 문서를 筆寫해서 엮어 놓은 자료
-
1911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조선전기부터 1691년까지 경상도密陽府 留鄕所의 鄕員 명부를 망라해 놓은 것으로, 1911년 4월 筆寫本으로 成冊한 자료
-
1921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21년 울산 지역에서 간행된 鄕案으로 임진왜란 이후부터 1704년까지의 鄕員들을 종합해서 기록한 鶴城舊鄕案과 1921년 당시의 鄕員들을 기록해 놓은 續修錄을 엮어 놓은 자료
-
1940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40년 慶尙南道昌寧郡의 西山書堂에서 발행한 것으로 1600년부터 1823년까지 역대 昌寧鄕案 입록자를 망라해 놓은 자료
-
1950년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 면향약계선생안(面鄕約稧先生案) 제2책
1950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남면향약계 | 남해 율곡사
1784년부터 1950년까지 경상남도남해군남면에서 실시된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의 임원(任員)을 기재한 선생안(先生案)
-
1955년 옥계정계(玉溪亭契) 옥계정속계명안(玉溪亭續契名案)
-
1960년 경상남도 밀양군 밀양향교(密陽鄕校) 간행 밀양향교중수록(密陽鄕校重修錄) 별편(別篇)
1960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밀양향교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60년 慶尙南道密陽郡의 密陽鄕校에서 간행된 『密陽鄕校重修錄』의 別篇으로, 17세기 이후 밀양 지역에서 제정되었던 향약을 망라해 놓은 자료
-
1976년 함양 안의향교(安義鄕校) 간행 안의향안(安義鄕案)
1976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함양 안의향교 | 함양 안의향교
지금의 慶尙南道咸陽郡安義面에 위치한 安義鄕校에서 1976년에 간행한 鄕案으로, 조선시대 安義縣 일대의 향권을 주도하던 세력들의 인명을 기록해 놓은 자료
-
1980년 거창 거창향교(居昌鄕校) 간행 거창향안(居昌鄕案)
1980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거창 거창향교 | 거창 거창향교
1980년 지금의 경상남도거창군에서 간행된 향안(鄕案)으로 조선시대부터 거창지역 향권을 주도하던 세력들의 인명을 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