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27년 이현실(李鉉實) 서간(書簡)
192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현실, 이병칠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1927년 1월 30일에 족종 이현실이 영덕 인량의 이병칠에게 대대로 살아왔던 그 곳을 떠나 늘그막에 영양 석포에 정착하게 되어 느끼는 울울한 감정을 쓰면서 상대방 측의 안부를 묻고 자신의 근황을 전하기 위해 보낸 편지
-
1930년 김뢰식(金賚植) 서간(書簡)
193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뢰식
| 안동 가송 영천이씨 농암종택
1930년 6월 16일에 김뢰식(金賚植)이 농암 종택에, 선고(先稿) 중 「성학전수(聖學傳授)」 편을 속히 돌려 줄 것을 부탁하는 편지
-
1935년 남효순(南孝順) 서간(書簡)
193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남효순
| 안동 도산 진성이씨 초초암종택
1935년 4월 13일에 南孝順이 자신을 사랑하고 편지로 격려하여 준데 대한 감사를 전하고, 도산서원과 청량산을 둘러보고 싶은 심정을 전하는 내용을 溪上에 보낸 편지
-
1952년 이원각(李源慤) 외 2인 서간(書簡)
195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원각, 이원하, 이원태, 이○○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1952년 3월 26일, 李源慤·李源河·李源台가 부친상을 당한 자신들에게 따뜻한 위로와 부의를 보내준 것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 李 生員에게 보낸 편지
-
1957년 이증호(李贈浩) 서간(書簡)
195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증호, 이근화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1957년 4월 29일 李贈浩가 상을 당한 상대방을 위로하기 위해 李根華에게 보낸 편지
-
1959년 변시연(邊時淵) 통문(通文)
1959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변시연, 이용구
| 안동 가송 영천이씨 농암종택
1959년 10월 ○일에 邊時淵이 文苑 발간을 위해 도산면 분천리 聾岩 종가에 보낸 再通文.
-
1963년 우계서당회중(迂溪書堂會中) 통문(通文)
1963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우계서당회중, 청암공댁
| 안동 가송 영천이씨 농암종택
1963년 11월 李喆淵 외 45인 등이 도산의 隴雲精舍를 보수하기 위해 靑巖公宅에 보낸 통문
-
1897년 김장원(金璋遠)외 2인 서간(書簡)
198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장원, 김준원, 김지원
| 안동 오미 풍산김씨 허백당종택
1897년 4월 4일, 외손인 金璋遠 , 金駿遠 , 金志遠이 鶴湖先生의 묘도비 건립에 참여하지 못하여 從姪을 대신 보낸다는 내용의 편지
-
경연일기(經筵日記)
고문서-치부기록류-일기
| 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경연(經筵)에서 강론한 내용을 정리한 일기(日記)
-
병신년, 정유년 애일당중건시수합기(愛日堂重建時收合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 경제-회계/금융-용하기
애일당을 중건할 때 수입과 지출을 기록한 문서
-
병진년 긍구당계첩(肯構堂契帖)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병진년 12월에 기록된 긍구당계(肯構堂契)의 문서
-
임인년 애일당속노회첩(愛日堂續老會帖)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임인년 8월 14일에 작성된 애일당속노회(愛日堂續老會)의 문서
-
병신년, 정유년 애일당중건시용하기(愛日堂重建時用下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 경제-토목/건축-건축용하기
병신년(丙申年)에 작성한 애일당중건시용하기(愛日堂重建時用下記)로, 애일당을 다시 지으면서 관련 수입과 지출 내역 일체를 기록한 문건이다. 총 지면은 32면이고, 월별로 기록하되 일자별로 지출된 경비를 기록했다. 1월의 기록에는 목수 및 인부들의 임금 및 부식비, 목재
-
병신년 애일당중건시상수기(愛日堂重建時床數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 경제-토목/건축-건축용하기
병신년 2월에 애일당을 중수할 때 식사 내역을 적은 문서
-
영양이씨세계(永陽李氏世系)
고문서-치부기록류-보첩류
| 사회-가족/친족-족보
영천이씨의 가문 내력을 기록한 영양이씨세계(永陽李氏世系)
-
병자년 김우흠 제문(祭文)
고문서-시문류-제문
| 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김우흠, 김낙중
김낙중의 죽음을 슬퍼하며 병자년 4월 25일에 지은 김우흠의 애도글
-
이중봉 제문(祭文)
고문서-시문류-제문
| 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이중봉, 김창섭
이중봉이 김창섭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제문
-
허백당김공묘갈명(虛白堂金公墓碣銘)
고문서-시문류-묘문
| 개인-전기-묘문
| 정사룡, 김양진
김양진의 일생을 적은 정사룡의 묘갈명
-
퇴계선생정선조시(退溪先生呈先祖詩)
고문서-시문류-시
| 교육/문화-문학/저술-시
후손의 도리를 다하겠다고 다짐한 퇴계선생정선조시(退溪先生呈先祖詩)
-
○○년 김응식(金應植) 시(詩)
고문서-시문류-시
| 교육/문화-문학/저술-시
| 김응식, 이벽호
| 안동 도산 진성이씨 초초암종택
金應植이 화답하는 시를 李璧鎬에게 보낸 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