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856년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영양향교(英陽鄕校) 기로회록(耆老會錄)
-
1874년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영양향교(英陽鄕校) 향교기로회화록(鄕校耆老會話錄)
-
1889년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영양향교(英陽鄕校) 거접시당상회화록(居接時堂上會話錄)
1889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1889년 慶尙道 英陽縣 소재 英陽鄕校에서 居接을 실시하고 耆老會를 개최한 뒤, 참석 耆老 30명의 성명과 字, 본관 등을 기재한 명부
-
1891년 경상도(慶尙道) 현풍현(玄風縣) 현풍향교(玄風鄕校) 향교매답전각면식본성책기(鄕校賣畓錢各面植本成冊記)
1891 |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교육/문화-서원/향교-절목 | 현풍향교
1891년 慶尙道 玄風縣 玄風鄕校에서 전답을 방매한 뒤, 그 돈으로 고을 내 各面에 殖利를 놓으면서 洞里별 배정액과 책임자를 기재한 장부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세기 곽명규(郭明奎) 「순상국교궁획부전식본기(巡相國校宮劃付植本記)」
고서-기타 | 교육/문화-문학/저술-기 | 곽명규 | 대구 현풍향교
19세기 慶尙道 玄風縣 소재 玄風鄕校에 慶尙道觀察使가 100緡을 지원하자 현풍현의 유림들이 이를 殖利하기로 결정한 후, 그 의의를 기록한 현풍향교 郭明奎의 記文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세기 「열성조제명석계의(列聖朝諸明碩啓議)」
고서-기타 | 국왕/왕실-보고-계 | 현풍향교 | 대구 현풍향교
19세기 慶尙道 玄風縣 소재 玄風鄕校에서 역대 명현들이 啓議를 통해 거론한 庶孼許通 관련 발언들을 엮어 놓은 자료
-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간행 『고왕록(考往錄)』 수록 「무신3월일 신녕창의사적(戊申三月日 新寧倡義事績)」
고서-기타 |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 신녕향교 | 영천 신녕향교
일제강점기 新寧鄕校에서 간행한 『考往錄』 수록 자료로 1728년 李麟佐의 난 당시의 慶尙道 新寧縣 倡義 인사 事績
-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간행 『고왕록(考往錄)』 중 1704년 이전 기록
고서-기타 |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 신녕향교 | 영천 신녕향교
慶尙道 新寧縣 新寧鄕校 간행 『考往錄』에 수록된 1704년 이전의 신녕향교 운영 기록, 신녕현 소재 院祠 창건 기록 및 신녕현 출신 인사의 과거 응시 기록
-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간행 『고왕록(考往錄)』 수록 1678년 「유문(遺文)」
-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간행 『고왕록(考往錄)』 수록 1679년 남몽뢰(南夢賚) 「개기제문(開基祭文)」
-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간행 『고왕록(考往錄)』 수록 1679년 남몽뢰(南夢賚) 「상량문(上樑文)」
-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간행 『고왕록(考往錄)』 중 1704년 기록
-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간행 『고왕록(考往錄)』 중 1708년 기록
-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간행 『고왕록(考往錄)』 수록 1744년 서문(序文)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758년 김광태(金光泰) 「대성전중수상량문(大成殿重修上樑文)」
1758 | 고서-기타 | 경제-토목/건축-상량문 | 김광태 | 대구 현풍향교
1758년 慶尙道 玄風縣 소재 玄風鄕校의 大聖殿을 重修한 후, 중수 경위와 의의를 기록한 玄風縣監 金光泰의 上樑文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759년 김광태(金光泰) 「성묘이건기(聖廟移建記)」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774년 「영조조태학통문갑오(英祖朝太學通文甲午)」
1774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통문 | 성균관, 현풍향교 | 대구 현풍향교
1774년 鄕黨에서의 서얼 通淸을 권유하는 내용으로, 成均館에서 列邑에 보낸 通文을 庚申年에 玄風鄕校가 揭書한 자료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797년 장석윤(張錫胤) 「시서(詩序)」
1797 | 고서-기타 | 교육/문화-문학/저술-서 | 장석윤 | 대구 현풍향교
1797년 慶尙道 玄風縣의 縣監 張錫胤이 太古堂에서 지역 유림들과 『鄕禮合編』의 의례 시행을 약속한 뒤 작성한 序文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818년 현풍향교 절목(節目)
1818 | 고서-기타 | 교육/문화-서원/향교-절목 | 현풍현, 현풍향교 | 대구 현풍향교
1818년 慶尙道 玄風縣이 소유하고 있던 전답의 소출을 玄風鄕校 재정으로 지원하면서, 그 田畓의 원활한 관리를 위해 玄風縣監이 제정한 8개조의 節目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819년 성대로(成大魯)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
1819 | 고서-기타 | 경제-토목/건축-중수기 | 성대로 | 대구 현풍향교
1819년 慶尙道 玄風縣 소재 玄風鄕校 건물을 重修한 후, 중수 경위와 의의를 기록한 玄風縣 출신의 유학자 成大魯의 重修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