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
1786년 옥계정계(玉契亭契) 옥계동선안(玉溪洞先案), 1816년 옥계동신안(玉溪洞新案)
1816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옥계정계
경상도삼가현玉溪洞에서 결성된 玉溪亭契의 역대 계원 명부로, 1786년에 만들어진 「玉溪洞先案」과 1816년에 만들어진 「玉溪洞新案」
-
-
1901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연계소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01년 지금의 慶尙南道密陽의 儒林들이 司馬所의 전통을 계승한 蓮桂所를 育英齋에서 독립시키면서, 그 전말과 관련된 여러 문서를 筆寫해서 엮어 놓은 자료
-
1934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김창섭, 남면향약계 | 남해 율곡사
향약 조직을 이용하여 각 면리(面里)의 효과적 통치를 도모하는 일제의 의도가 엿보이는 기록으로, 1934년 경상남도남해의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에서 제정한 계규(契規)
-
1950년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 면향약계선생안(面鄕約稧先生案) 제2책
1950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남면향약계 | 남해 율곡사
1784년부터 1950년까지 경상남도남해군남면에서 실시된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의 임원(任員)을 기재한 선생안(先生案)
-
1955년 옥계정계(玉溪亭契) 옥계정속계명안(玉溪亭續契名案)
-
1960년 경상남도 밀양군 밀양향교(密陽鄕校) 간행 밀양향교중수록(密陽鄕校重修錄) 별편(別篇)
1960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밀양향교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60년 慶尙南道密陽郡의 密陽鄕校에서 간행된 『密陽鄕校重修錄』의 別篇으로, 17세기 이후 밀양 지역에서 제정되었던 향약을 망라해 놓은 자료
-
17~18세기 영해(寧海) 재령이씨(載寧李氏) 족계안(族稧案)
1696 |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해 재령이씨 계중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상산향언록(商山鄕彦錄) 하권(下卷)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상주 상주향교
조선시대 慶尙道尙州牧의 鄕案 下卷으로, 1749년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총 1,305명의 입록자 명단을 수록
-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상산향언록(商山鄕彦錄) 상권(上卷)
-
-
-
1692년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남촌향약(南村鄕約)
-
1697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의령 의령향교
1697년 경상도의령현에서 작성된 鄕案으로 1697년부터 1707년까지의 향안 입록자를 수록하여 18세기 전후 의령지역 재지사족들의 동향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
-
1708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만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08년 慶尙道尙州牧內東面 일대 洞里에서 시행되었던 魯谷鄕約의 序文과 제 규정 및 座目을 엮어 놓은 자료로, 魯谷 출신의 대표적인 유학자 李萬敷가 작성
-
1835년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향약절목(鄕約節目)
1835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상주 상주향교
1835년 慶尙道尙州牧의 재지사족들이 尙州牧使에게 고을에서의 향약 시행을 청원하였는데, 이때의 관련 기록과 제 규정을 엮어 놓은 자료
-
1866년 구암동동원좌목기(狗巖洞洞員座目記) 동치오년병인정월일(同治伍年丙寅正月日)
1866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거일1리 동중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조선후기 江原道平海郡下里面朴谷里狗巖洞에서 결성되었던 어촌 공동체 조직의 1866년 座目으로 前尊位 2명과 時洞首 17명의 성명을 기재
-
1876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권중연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6세기 무렵부터 19세기 후반까지 慶尙道安東府奈城縣에서 실시된 향약 관련 자료들을 모두 엮어 놓은 것으로, 奈城縣 출신의 유학자 權重淵이 1876년에 편찬
-
1890년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 면학계완문(面學契完文)
1890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하종기, 강희주, 면학계 | 남해 율곡사
1890년 지금의 경상남도남해군남면에서 후학 양성을 목적으로, 수령의 협조 아래에 결성된 面學契 完文과 契員 명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