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23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23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23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28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28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28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33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33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33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39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39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39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50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50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50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52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52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52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64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64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64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82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82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82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908년 경주군수가 경주향교에 내린 첩유(帖諭)
1908
| 고문서-첩관통보류-첩
| 정치/행정-명령-첩
| 이기, 이정구
| 경주 경주향교
1908년 경주군수가 향교재임에게 동경지 보완을 위하여 내린 첩유(帖諭)
-
1909년 경주군에서 내린 帖諭
1909
| 고문서-첩관통보류-첩
| 정치/행정-명령-첩
| 영정취삼, 경주향교
| 경주 경주향교
1909년 경주 군수 서리가 향교유사에게 향교전답을 조사하여 보고하도록 내린 帖諭
-
1909년 경주군에서 내린 제153호 훈령
1909
| 고문서-첩관통보류-훈령
| 정치/행정-명령-훈령
| 영정취삼, 이정구
| 경주 경주향교
1909년 경주군수서리가 향교재산 인계와 관련하여 내린 제153호 훈령
-
1909년 경주군(慶州郡) 539-1호 훈령
1909
| 고문서-첩관통보류-훈령
| 정치/행정-명령-훈령
| 영정취삼, 이정구, 경주향교
| 경주 경주향교
1909년에 경주군수서리永井就三이 경주향교직원李正久에게 발송한 문서로 향교소유의 전답운영실태에 대해 조사·회보하라는 훈령
-
1910년 학부훈령 제2호
1910
| 고문서-첩관통보류-훈령
| 정치/행정-명령-훈령
| 이용직
| 경주 경주향교
1910년에 학부대신이 향교직원에게 향교와 지방문묘의 관리와 관련하여 내린 훈령
-
1910년 경주군에서 발급한 제251호 훈령
1910
| 고문서-첩관통보류-훈령
| 정치/행정-명령-훈령
| 양홍묵, 이정구
| 경주 경주향교
1910년에 학부대신이 향교직원에게 향교와 지방문묘의 관리와 관련하여 내린 훈령
-
모당일기(慕堂日記)
1614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손처눌
| 대구 수성 일직손씨 대구종중
손처눌(孫處訥, 1553~1634)이 임진왜란 직후인 1600년 1월 8일부터 1629년 12월 26일까지, 30년 동안을 기록한 생활일기
-
소와공죽리관중건일기(笑窩公竹裏館重建日記)
1860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이학영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이학영(李學榮, 1821~1884)이 자신의 선조인 운악(雲嶽) 이함(李涵, 1554~1632)이 세운 죽리관(竹裏館)을 중건하면서 기록한 것으로 1860년 2월 4일부터 5월 28일까지 약 4개월 동안을 기록한 중건일기
-
가세잡기(家世雜記)1-안변종유록(安邊從遊錄)
1797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류노문
| 안동 수곡 전주류씨 정재종택
『안변종유록(安邊從遊錄)』은 『가세잡기(家世雜記)』의 첫 번째 기록으로, 류노문(柳魯文, 1777~1813)이 정사년(丁巳年, 1797) 10월 27일부터 이듬해 무오년(戊午年, 1798) 7월 4일까지의 일상을 일기형식으로 기록한 자료
-
가세잡기(家世雜記)6-신유일기(辛酉日記)
1801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류노문
| 안동 수곡 전주류씨 정재종택
『가세잡기(家世雜記)』의 맨 마지막에 수록되어 있는 기록으로, 류노문(柳魯文, 1777~1813)이 신유년(辛酉年, 1801) 8월 11일부터 임술년(壬戌年, 1802) 2월 16일까지의 일상을 일기형식으로 기록한 자료
-
임천청액일기(臨川請額日記)
1864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류기호
|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류기호(柳基鎬, 1823~1886)가 갑자년(甲子年, 1864) 4월 15일부터 10월 9일까지 임천서원의 사액을 청하는 일련의 상소 활동을 기록한 일기
-
객일수록(客日隨錄)
1870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류기호
|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류기호(柳基鎬, 1823∼1886)가 1870년 윤10월 15일부터 1871년 1월 15일까지 임천서원(臨川書院) 사액 상소 사건의 전말을 일기형식으로 기록한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