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와일록(河窩日錄)
1796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류의목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류의목(柳懿睦이 1796년 1월부터 1802년 12월까지 7년간의 일상생활을 기록한 일기
-
소청일록(疏廳日錄)
1852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이돈우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한산이씨(韓山李氏) 대산종가(大山宗家)에 소장된 자료로,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선생의 증직(贈職)과 시호(諡號)를 얻어내기 위해 영남 유생들이 소(疏)를 올리게 되는 일정, 경과 그리고 결과추이를 기록한 것이다.
-
김중휴일기(金重休日記)
1857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김중휴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참봉댁
김중휴(金重休)가 1857년부터 1860년의 일상생활을 기록한 일기
-
모당일기(慕堂日記)
1600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손처눌
| 대구 수성 일직손씨 대구종중
손처눌(孫處訥, 1553~1634)이 임진왜란 직후인 1600년 1월 8일부터 1629년 12월 26일까지, 30년 동안을 기록한 생활일기
-
경신서행일기 보총(庚申西行日記補聰)
1860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박제연
| 영주 무섬 반남박씨 오헌고택
朴齊淵(1807-1890)이 1860년 3월 30일부터 그 해 12월 30일까지 기록한 생활일기
-
치재일록(癡齋日錄)
1600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허명신
| 고령 개진 김해허씨 치재후손가
『치재일록』은 癡齋 許命申(1569~1637)이 32세가 되던 1600년부터 시작하여 거의 죽기 직전까지 썼던 일기이다. 후손 중 누군가가 훼손 멸실의 위험에 대비해 허명신의 친필일기를 보관해 오다가, 새롭게 필사 정리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 때문에 날짜가 제대로 이
-
대산일기(大山日記)
1739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이상정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대산일기』는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1711~1781)이 기록한 것으로, 현재 12책의 필사본이 남아있다. 이 일기는 책력(冊曆) 위에 쓴 역상일기(曆上日記) 유형으로, 해당 날짜 아래에 그 날 있었던 주요 사건을 간략하게 기록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일기를
-
감계록(鑑戒錄)
1823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홍낙건
| 경주 양월 경주이씨 양월문중
1823년 1월 1일부터 1860년 7월 10일까지 38년간 문경시영순면을 배경으로 기록된 洪洛建(1798~?)의 생활일기
-
김병황일록(金秉璜日錄)
1878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김병황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878년 1월 1일부터 1886년 2월 22일까지 9년간 안동오미동을 배경으로 기록된 金秉璜(1845~1914)의 생활일기
-
김정섭일록(金鼎燮日錄)
1920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김정섭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920년 1월 1일(음)부터 1934년 7월 30일(음)까지 15년간 경북안동풍산읍을 배경으로 기록된 김정섭(1862~1934)의 생활일기
-
간정일록(艱貞日錄)
1862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김령
|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1862년 6월 4일부터 1863년 12월 30일까지, 김령이 단성민란의 주모자로 체포되어 전라도 임자도에 1년간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시기까지 자신이 겪은 일들을 기록한 일기
-
숭재일록(崇齋日錄)
1845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김두흠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845년부터 1867년까지 관직생활과 일상생활을 기록한 김두흠(金斗欽)의 일기
-
경술일기(庚戌日記)
1550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이교
| 안동 도산 진성이씨 온계종택
『경술일기(庚戌日記)』는 이해(李瀣)(1496~1550)가 이기(李芑)의 무고에 연루되어 죽음에 이르게 된 사건을 아들인 이교(李㝯)(1531~1595)가 기록한 일기로, 1550년(명종 5) 7월 16일부터 9월 3일까지의 기록과 12월 11일 장례하는 일, 1567
-
김중휴일기(金重休日記) 2책
1861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김중휴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참봉댁
金重休가 1861년부터 1863년까지 일상생활을 기록한 일기
-
우산댁일기(愚山宅日記)
1930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봉화 명호 안동김씨 우산댁
1930에서 1931년 까지 명호(明湖), 춘양(春陽), 온혜(溫惠) 등을 활동 반경으로 자신의 이야기 보다는 부친과 조부의 움직임들을 소년의 눈으로 소상하게 기록하고 있는 생활일기
-
대구광역시 옻골마을 부인동지(夫仁洞誌)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부인동 동약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대구광역시夫仁洞에서 실시되었던 鄕約인 夫仁洞 洞約과 관련한 제반 내용을 수록하고 있는 洞誌
-
1689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689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689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697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697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697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08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08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08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11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11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11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