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940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40년 慶尙南道昌寧郡의 西山書堂에서 발행한 것으로 1600년부터 1823년까지 역대 昌寧鄕案 입록자를 망라해 놓은 자료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고상안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조선중기 慶尙道龍宮縣의 西面 및 尙州牧永順面 일대에서 결성되었던 契 조직의 序文으로, 임진왜란 이후 重修하는 과정에서 서면 출신의 재지사족 高尙顔이 작성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병전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9세기 후반 慶尙道漆谷府의 鄕約이 실시되는 과정에서 결성된 鄕約契의 序文으로, 칠곡 출신의 유학자 李秉銓이 작성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우성규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9세기 후반 慶尙道漆谷府의 府使로 부임한 禹成圭가 효과적인 향촌 통치와 백성들의 교화를 위해 鄕約을 제정하면서 작성한 序文
-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안정한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舊韓末 향촌교화를 위해 경상남도의령군의 芝山面 일대에서 시행된 향악으로, 의령 출신의 유학자 安鼎漢이 序文을 작성
-
1599년 금난수(琴蘭秀) 게부봉화향서당소지(揭付奉化鄕序堂小識)
-
1599년 금난수(琴蘭秀) 첩유봉화향서당문(帖諭奉化鄕序堂文)
1599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금난수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599년 慶尙道奉化縣의 縣監으로 부임한 琴蘭秀가 향촌 교화를 목적으로 退溪鄕約과 溫溪洞約을 백성들에게 勸誘하면서 작성한 글
-
1603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김대명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慶尙道晉州牧白也洞에서 실시되던 향약의 명부 발문으로, 임진왜란으로 기존의 洞案이 소실되자 1603년 金大鳴이 새롭게 복구하면서 작성
-
1623년 류초(柳初) 유봉화현향약장문(諭奉化縣鄕約長文)
1623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류초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1623년 奉化縣監으로 부임한 柳袗이 고을 백성들에게 鄕約을 돈독히 시행해 줄 것을 청하는 내용의 글로, 柳袗의 아우인 柳初가 代作
-
1818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김휘운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818년 경상도진주 지역 백성들의 교화를 목적으로 수령의 주도로 제정된 향약의 발문으로, 진주 출신의 사족 金輝運이 작성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금난수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임진왜란 직후 慶尙道禮安縣浮浦洞에서 실시하기 위해 제정된 洞約의 小識와 約條로 부포동 출신의 유학자 琴蘭秀가 작성
-
-
-
1612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정회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조선중기의 유학자 李庭檜가 1612년 慶尙道安東府周村里 일대에 세거하던 眞城李氏 일족의 修睦과 相互扶助를 위해 결성한 族契의 完議
-
1889년 우성규(禹成圭) 학규향약사목첩(學規鄕約事目帖)
1889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우성규, 칠곡부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889년 漆谷府使禹成圭가 칠곡부의 원활한 통치와 백성들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제정하고 발급하였던 學規와 鄕約의 事目
-
1894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도우룡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갑오농민전쟁으로 慶尙道陜川郡崇山으로 이주한 義興縣 출신의 유학자 都右龍이 동요하고 있는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1894년 鄕約契를 重創하고 그 의의를 설명한 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