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윤자학, 지련재흥학계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19세기 후반 전라도咸平縣에서 후손들의 교육과 일족 간의 결속력을 다지기 위해 결성된 芝蓮齋興學契의 창립 事實을 기록한 것으로, 함평 출신의 유학자 尹濨學이 작성
-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윤자학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19세기 후반 전라도함평의 유학자 尹濨學이 작성한 發文으로, 海保面 일대의 사족들과 鄕約契 결성을 도모하기 위해 작성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문주헌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9세기 경상도경산(慶山) 지역의 동리(洞里)에서 시행된 동약(洞約)의 서문(序文)으로 문주헌(文周憲)이 작성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문주헌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9세기 경상도경산(慶山) 지역의 동리(洞里)에서 시행된 동약(洞約)의 절목(節目)으로 문주헌(文周憲)이 작성
-
-
고서-문집 | 종교/풍속-유교-향음주례 | 정구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檜淵書院에서 매월 講會를 개최할 때 지켜야할 鄕飮酒禮의 의식 절차를 적은 것으로 임란이후 鄭逑가 지은 것이다.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진상, 창산학계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9세기 후반 경상도창녕 지역의 유림들이 강학과 교화를 목적으로 결성한 창찬학계(昌山學契)의 계안(契案) 서문으로 성주의 유학자 이진상(李震相)이 작성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진상, 석동의계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9세기 후반 경상도창녕석동(石洞)에서 환난시 가난한 사람들을 구휼하기 위한 목적으로 결성한 석동의계(石洞義契)의 명부 서문으로, 성주 지역의 유학자인 이진상이 작성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김수인, 구령동계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조선전기 慶尙道密陽府龜齡洞에서 결성된 洞契의 서문으로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洞案을 복구하면서 金守訒이 작성한 서문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신국빈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18세기 후반 慶尙道密陽府 출신의 유학자 申國賓이 밀양부에서의 鄕約 실시를 위해, 條目을 제정하면서 작성한 說
-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류종원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9세기 후반 경상도합천군(陜川郡)용주면(龍洲面) 일대에서 시행된 삼리향약(三里鄕約)의 서문으로 류종원(柳鍾源)이 작성
-
1590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영, 동중향약계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조선중기 지금의 경상남도합천군외곡리 일대에서 시행된 동중향약계(洞中鄕約契) 서문(序文)으로 1590년 이영(李霙)이 작성
-
-
1622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안신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7세기 초반 재지사족 중심의 향촌질서 확립을 위해 1622년에 수정한 慶尙道密陽府 鄕憲의 序文으로 安㺬이 작성
-
1631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임진부, 동계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지금의 경상남도합천군인 삼가현 일대에서 시행된 동계(洞稧)의 발문(跋文)으로 1631년 삼가(三嘉) 출신의 유학자 임진부(林眞怤)가 작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