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915년 경상북도(慶尙北道) 문경군(聞慶郡) 문경향교(聞慶鄕校) 문묘의모록(文廟義慕錄)
1915 | 고문서-치부기록류-부조기 | 교육/문화-서원/향교-의연록 | 문경향교 | 문경 문경향교
1915년 경상북도(慶尙北道) 문경군(聞慶郡) 유림(儒林)들이 문경향교(聞慶鄕校)의 재정 지원을 위한 기금을 모금한 뒤 작성한 장부
-
1899년 경상북도(慶尙北道) 군위군(軍威郡) 김재덕(金在德) 석전진설도급사직성황제홀기수선후지(釋奠陳設圖及社稷城隍祭笏記修繕後識)
1899 | 고문서-시문류-기 | 교육/문화-문학/저술-기 | 김재덕 | 군위 군위향교
1899년 慶尙北道 軍威郡의 유림들이 軍威鄕校의 釋奠禮 陳設圖와 각종 의례의 笏記를 修繕하자 이를 기리기 위해 군위군의 유학자 金在德이 작성한 識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41년 8월 하양유생상달장문(河陽儒生上達狀文)
1741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하양현 유생 황윤중 등, 경상감영 | 경산 하양향교
慶尙道 永川郡의 臨皐書院 측이 河陽縣의 環城寺 전답을 據奪해 가자, 1741년 8월 하양현 幼學 黃允中 등이 하양현 관아로 환성사를 退屬시켜 달라며 慶尙監營에 올린 狀文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62년 4월 영천유생의송(永川儒生議送)
1762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영천군 유생 박수성 등, 경상감영 | 경산 하양향교
1762년 4월 慶尙道 永川郡의 儒生들이 河陽縣으로 移屬된 環城寺를 재차 臨皐書院으로 돌려 줄 것을 慶尙道觀察使에게 청원한 議送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69년 하양현보장등서(河陽縣報狀謄書)
1769 | 고문서-첩관통보류-보장 | 정치/행정-보고-보장 | 하양현, 경상감영 | 경산 하양향교
1769년 6월 25일 慶尙道 河陽縣 河陽縣監이 環城寺를 하양현 관아에 귀속시키자는 의견으로 慶尙監營에 올린 報狀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70년 예조관문(禮曹關文)
1770 | 고문서-첩관통보류-관 | 정치/행정-명령-관 | 예조, 경상감영 | 경산 하양향교
1770년 環城寺를 둘러싼 慶尙道 河陽縣 河陽鄕校와 永川郡 臨皐書院 간의 송사에 대해, 禮曹가 환성사를 하양향교에 仍屬시키라고 慶尙監營에 통보한 關文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70년 순영관문(巡營關文)
1770 | 고문서-첩관통보류-관 | 정치/행정-명령-관 | 경상감영, 하양현 | 경산 하양향교
1770년 環城寺를 둘러싼 慶尙道 河陽縣 河陽鄕校와 永川郡 臨皐書院 간의 송사에 대해, 慶尙監營이 환성사를 하양향교에 仍屬시키라고 하양현에 통보한 關文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70년 경주부윤사보제(慶州府尹査報題)
1770 | 고문서-첩관통보류-보장 | 정치/행정-보고-보장 | 경주부, 경상감영 | 경산 하양향교
1770년 7월 慶尙道 河陽縣 소재 環城寺를 둘러 싼 하양현과 永川郡 유생 간의 분쟁에 대해, 慶州府尹이 조사한 뒤 慶尙監營에 올린 보고서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70년 순영결안관문(巡營決案關文)
1770 | 고문서-첩관통보류-관 | 정치/행정-명령-관 | 경상감영, 하양현 | 경산 하양향교
1770년 10월 慶尙道觀察使가 環城寺 決訟에 대하여, 환성사를 河陽縣에 소속시키는 것으로 판결을 내린 후, 그 決案을 하양현에 보내면서 작성한 關文
-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75년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제사(題辭)
1775 | 고문서-증빙류-제사 | 법제-소송/판결/공증-제사 | 경상감영 | 경산 하양향교
1775년 慶尙道觀察使가 環城寺 決訟은 前 경상도관찰사 金東弼의 판결에 따르고, 더 이상 聽理하지 말라는 뜻으로 내린 題辭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71년 태학관통문(太學館通文)
177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성균관, 경주향교 등 | 경산 하양향교
1771년 成均館 儒生들이 臨皐書院 간행 『圃隱集』 수록 圃隱先生年譜의 添註 11자를 刊去하자는 의견으로 慶尙道 소재 주요 鄕校·書院에 보낸 通文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72년 태학관통문(太學館通文)
177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성균관, 경주향교 등 | 경산 하양향교
慶尙道 유생들이 環城寺 決訟에 대한 河陽縣監 李憲洛의 판결에 반발하자, 1772년 4월 成均館 유생들이 이를 경계하라는 뜻으로 경상도 소재 주요 鄕校와 書院에 보낸 通文
-
19세기경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영천향교(永川鄕校) 향교전답안(鄕校田畓案)
-
정해년(丁亥年)·신미년(辛未年)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영천향교(永川鄕校) 예납안책(例納案冊)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경제-회계/금융-치부책 | 영천향교 | 영천 영천향교
조선후기 丁亥·辛未年에 慶尙道 永川郡 소재 永川鄕校가 사찰·店 등으로부터 例納 받은 각종 物目과 그 수량 등을 기록해 놓은 장부
-
경진(庚辰) 8월 작성된 함창향교(咸昌鄕校) 노비안(奴婢案)
-
계묘(癸卯) 2월 작성된 함창향교(咸昌鄕校) 노비안(奴婢案)
-
계해(癸亥) 10월 작성된 함창향교(咸昌鄕校) 노비안(奴婢案)
-
병인(丙寅) 2월 개수(改修)한 함창향교(咸昌鄕校) 노비안(奴婢案)
-
1687년 2월 경상도(慶尙道) 예안현(禮安縣) 예안향교(禮安鄕校) 교안(校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