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67년 이기철(李基澈) 서간(書簡)
186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기철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7년 11월 8일, 이원조의 증손자 이기철이 자식의 혼사 문제로 보낸 편지
-
1867년 이기상(李驥相) 서간(書簡)
186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기상,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7년(고종4) 9월 10일, 이기상이 서울 소식을 전하기 위해 아버지 응와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
-
1867년 남희중(南羲重) 서간(書簡)
186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남희중,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7년(고종4) 8월 5일, 성주목사남희중이 사창 등의 문제를 의논하기 위해 공조판서 응와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
-
1868년 남희중(南羲重) 서간(書簡)
186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남희중,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68년 윤4월 21일, 남희중이 편지를 붙이겠다는 약속에 대하여 인편을 기다렸다가 보낼 것임을 알리기 위해 응와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
-
1869년 김장한(金章漢) 서간(書簡)
186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장한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869년 12월 6일, 김장한이 나침반을 빌려주지 못하는 이유를 전하기 위해 보낸 편지
-
1870년 이진상(李震相) 서간(書簡)
187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진상
| 안동 가송 영천이씨 농암종택
1870년 1월 29일, 한주 이진상이 상대의 안부를 묻고 반촌에 들어간 자신의 아들을 부탁하기 위해 보낸 편지
-
1871년 이돈우(李敦禹) 서간(書簡)
187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돈우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871년 8월 12일, 이돈우가 일족 간에 화목하게 지내기를 충고하기 위해 보낸 편지
-
1866년 이수영(李秀瑩) 서간(書簡)
187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수영, 이수악
| 영덕 오촌 재령이씨 존재종택
1871년 12월 19일, 이수영이 상경하는 일에 대해 전하고 이현일 선생의 수필본인 『주역』고본을 빌리기 위해 이수악에게 보낸 편지
-
1871년 남만형(南萬亨) 외 1인 서간(書簡)
187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남만형, 남조환
| 영덕 오촌 재령이씨 존재종택
1871년 9월 21일, 윤곡의 남만형 외 1인이 이현일 선생에게 시호가 내린 것을 축하하기 위해 저곡의 재령이씨 문중에 보낸 편지
-
1873년 이수영(李秀榮) 서간(書簡)
187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수영
| 영덕 오촌 재령이씨 존재종택
1873년 1월 9일, 이수영이 강회 참석 문제를 전하기 위해 일족에게 보내는 편지
-
1874년 김흥락(金興洛) 서간(書簡)
187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흥락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874년 7월 15일, 김흥락이 조문과 안부 인사를 하기 위해 보낸 편지
-
1875년 이수영(李秀榮) 서간(書簡)
187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수영, 이수악
| 영덕 오촌 재령이씨 존재종택
1875년 2월 8일, 이수영이 선조인 이현일 선생의 신원과 관련하여 이수악에게 보낸 편지
-
1881년 김흥락(金興洛) 서간(書簡)
188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흥락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881년 12월 17일, 김흥락이 평상의 간행하는 일로 보낸 편지
-
1881년 정수룡(鄭壽龍) 서간(書簡)
188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정수룡, 이관희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81년(고종18) 5월 4일, 정수룡이 이원조에게 시호가 내린 것을 축하하기 위해 그의 손자 이관희에게 보낸 편지
-
1882년 김준상(金儁相) 서간(書簡)
188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준상
| 안동 태자 봉화금씨 매헌종택
임오년 2월 26일, 김준상이 탈상을 앞두고 있는 사위 금서방에게 보낸 편지
-
1882년 김준상(金儁相) 서간(書簡)
188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준상
| 안동 태자 봉화금씨 매헌종택
1882년 5월 초2일, 김준상이 부친상 중인 상대를 위로하고, 편지 전달 부탁하기 위해 사돈에게 보낸 편지
-
1882년 김준상(金儁相) 서간(書簡)
188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준상
| 안동 태자 봉화금씨 매헌종택
1882년 3월 초1일, 김준상이 안부 인사와 신행과 관련된 내용을 전하기 위해 사돈에게 보낸 편지
-
1883년 김흥락(金興洛) 서간(書簡)
188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흥락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1883년 7월 9일, 김흥락이 『정재집』의 간행과 관련한 내용으로 보낸 편지
-
1886년 이수영(李秀榮) 서간(書簡)
188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수영, 이수악
| 영덕 오촌 재령이씨 존재종택
1886년 11월 22일, 이수영이 유배지로 출발을 앞둔 이수악에게 보낸 편지
-
1887년 이수영(李秀榮) 서간(書簡)
188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수영, 이수악
| 영덕 오촌 재령이씨 존재종택
1887년 8월 20일, 이수영이 위로차 길주에 유배되어 있는 이수악에게 보낸 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