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827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류이좌, 예천군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
1828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돌이, 예천군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
1829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돌이, 한성부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
1831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류이좌, 류철조, 예천군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
1814 | 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 정치/행정-명령-전령 | 예천군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1814년(純祖 14) 6월 3일, 醴泉郡守가 하회 풍산류씨 柳台佐 문중의 산지기에게 大谷菴이 승려가 大谷山의 나무를 벤 사실을 주인에게 알려줄 것을 지시하는 내용의 傳令
-
1814 | 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 정치/행정-명령-전령 | 예천군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1814년(純祖 14) 5월 28일, 예천군수가 大谷山의 守護監官에게 풍산 류씨 문중의 入葬에 따른 지시사항을 전하는 傳令
-
1815 | 고문서-첩관통보류-관 | 정치/행정-명령-관 | 예천군, 용궁현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1815년(純祖 15) 11월 27일, 예천군수가 안동 하회 풍산 류씨 문중의 大谷山 山訟과 관련된 사안으로 용궁현감에게 보낸 關
-
1815년 예천군(醴泉郡) 현남면(縣南面) 풍헌(風憲) 이(李) 첩정(牒呈)
1815 |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정치/행정-보고-첩정 | 이○○, 예천군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1815년(純祖 15) 12월 3일, 醴泉郡 縣南面 風憲 李〇〇가 안동 하회 풍산 류씨 문중의 大谷山 山訟과 관련된 사안으로 醴泉郡守에게 올린 牒呈
-
1824년 예천군(醴泉郡) 현창도감(縣倉都監) 여(呂) 첩정(牒呈)
1824 |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정치/행정-보고-첩정 | 여○○, 예천군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1824년(純祖 24) 10월 7일, 醴泉郡 縣倉都監이 군수의 지시에 따라 안동 하회 풍산 류씨 산송과 관련한 실상을 조사하여 보고한 牒呈
-
1826 | 고문서-첩관통보류-고목 | 정치/행정-보고-고목 | 장계양, 예천군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1826년(純祖 26) 6월 18일, 醴泉郡 首刑房 張繼良이 군수의 지시에 따라 보고한 하회 풍산 류씨 류이좌 문중 산송관련 告目
-
1827~1828년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관(關) 초(草)
1827 | 고문서-첩관통보류-관 | 정치/행정-명령-관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1827년(純祖 27)~1828년(純祖 28) 즈음, 慶尙道觀察使가 醴泉郡守에게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關을 베껴놓은 것
-
1827 | 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 정치/행정-명령-전령 | 안동대도호부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1827년(純祖 27) 11월 25일, 安東府使가 豊南面 面主人에게 하회 풍산 류씨 문중의 山訟과 관련한 사항으로 보낸 傳令
-
1838 | 고문서-첩관통보류-관 | 정치/행정-명령-관 | 경상감영, 안동대도호부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1838년(憲宗 4) 1월 16일, 慶尙道觀察使가 安東大都護府使에게 柳台佐의 장례를 보조할 제반 사항을 지시한 내용의 關
-
1818년(純祖 18) 4월 20일, 大谷寺의 승려 15인이 연명하여 안동 하회 풍산 류씨 문중에게 작성해 준 手標
-
1830 | 고문서-증빙류-완의 | 사회-조직/운영-완의 | 돈엽, 관익, 호준, 유현, 유화, 원훈, 법영, 인홍, 법영류이좌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1830년(純祖 30) 10월, 大谷寺의 승려들이 하회 풍산 류씨 문중의 大谷山 산소 移葬을 만류하며 작성해 준 完議
-
1831 | 고문서-증빙류-완문 | 정치/행정-명령-완문 | 종식, 호준, 관겸, 지활, 상무, 착욱, 각성, 법순, 전기, 유현, 유화, 상인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1831년(純祖 31) 10월 11일, 大谷寺의 승려들이 大谷山에서 하회 풍산 류씨 문중의 墳山의 범위를 확정하여 발급해준 完文
-
1913년 안동군 임서면(臨西面) 금소동(琴韶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1913 | 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 안동군청
1913년 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慶北 安東郡 臨西面 琴韶洞의 田畓과 垈地, 林野, 墳墓地 등의 소유자로부터 신고서를 제출받아 작성한 토지 장부
-
1913년 안동군 길안면(吉安面) 대곡동(大谷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1913 | 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 안동군청
1913년 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慶北 安東郡 吉安面 大谷洞의 田畓과 垈地, 林野, 墳墓地 등의 소유자로부터 신고서를 제출받아 작성한 토지 장부
-
1913년 안동군 길안면(吉安面) 배방동(杯芳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1913 | 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 안동군청
1913년 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慶北 安東郡 吉安面 杯芳洞의 田畓과 垈地, 林野, 墳墓地 등의 소유자로부터 신고서를 제출받아 작성한 토지 장부
-
1913년 안동군 임동면(臨東面) 중평동(中平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1913 | 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 안동군청
1913년 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慶北 安東郡 臨東面 中平洞의 田畓과 垈地, 林野, 墳墓地 등의 소유자로부터 신고서를 제출받아 작성한 토지 장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