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832년 안동(安東) 구계서원(龜溪書院) 통문(通文)
183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류건휴, 류치명, 류휘문, 구계서원 | 경주 옥산서원
1832년 안동龜溪書院에서 慶州·永川·蔚山·彦陽·梁山·延日·長鬐 등의 校院에 보낸 통문으로 廟宇重建 및 請額과 관련해 陀陽書院에서 회의가 있으니 참석해 달라는 내용
-
1835년 상주(尙州) 도남서원(道南書院) 통문(通文)
183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강굉흠, 이정환, 권세영, 도남서원 | 경주 옥산서원
1835년 道南書院에서 玉山書院과 臨皐書院으로 10월 22일에 있는 愚伏의 位版奉安禮에 참석해 주길 요청하는 通文
-
1840년 의성향교(義城鄕校) 도회(道會) 통문(通文)
1840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지재, 채주욱, 김용우, 의성향교 도회 | 경주 옥산서원
1840년 義城鄕校 道會에서 慶州鎭의 都廳으로 보낸 통문으로 『退溪先生遺集』 重刊을 위해 각 서원과 문중에 배당된 금액을 收合하여 보내라는 내용
-
1851년 안동(安東) 여강서원(廬江書院) 향회소(鄕會所)통문(通文)
185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배선만, 여강서원 | 경주 옥산서원
1851년 安東廬江書院 鄕會所에서 慶州校院으로 默溪書院에 제향된 先賢들의 位牌을 임시로 移安한 일과 관련해 이해를 구하는 내용의 통문
-
185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김정수, 류치명, 김기운, 고산서원 / 안동향회소 | 경주 옥산서원
1852년 安東鄕會所에서 大山 李象靖 廟宇의 重修를 논의하기 위한 道會를 義城鄕校에서 개최하니 참석해 주길 요청하는 통문
-
186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김진하, 이효순, 이휘재, 안행준, 도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기락, 김익락, 김도화, 고산서당 | 경주 옥산서원
1905년 安東高山書堂에서 慶州景山壇所로 발송한 것으로, 1904년에 重刊된 景節公實紀에 李彦迪의 학문 淵源을 임의로 기재한 慶州孫氏를 비판한다는 내용의 通文
-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김진영, 권상중, 권돈연, 삼계서원/삼계도회소 | 경주 옥산서원
-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류난영, 이수병, 류도헌, 병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
1832년 안동(安東) 병산서원(屛山書院)회중(會中) 통문(通文)
1914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장승원, 류도위, 이극화, 병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914년 安東屛山書院 會中에서 玉山書院에 보낸 통문으로 『陶山及門諸賢錄』에 西厓先生을 誣告하는 내용이 많으니 파기하고 頒帙된 것은 거둬들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내용
-
-
-
1865년 4월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유생(儒生) 조언정(趙彦楨) 외 128인 상서(上書)
1865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조언정 | 영양 영양향교
1865년 4월 慶尙道 英陽縣의 儒生 趙彦楨 외 128인이 洞布 부과에 반발하며 그 부당함을 慶尙道 觀察使에게 호소하면서 올린 上書
-
1823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경주향교 | 경주 옥산서원
1823년 9월 慶州鄕校 都色이 경주 북면 각 祠院 都色에게 公州 金宗瑞祠宇와 驪州 金昌集書社의 건립에 필요한 자금의 분담금을 거두어 기간에 맞춰 보내라는 내용의 私通
-
1823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유상익, 서악서원 | 경주 옥산서원
1823년 5월 1일, 西岳書院에서 老儒와 任司가 가능한 사람의 명단을 玉山書院에 올려 이들을 맡아줄 것을 당부한다는 내용의 通文
-
185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동순, 이효순, 이휘재, 도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856년 4월 22일, 退溪의 冑孫을 모욕한 무리를 응징하기 위한 道會를 개최하는데 玉山書院에서 참석해줄 것을 당부하는 陶山書院의 通文
-
1903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만윤, 이만현, 이만도, 도산서원 | 경주 옥산서원
1903년 7월 10일, 藏敎閣의 建立을 允許한 批答을 받드는 節次를 논의하기 위해 道會를 개최하는데 玉山書院의 참석을 당부하는 陶山書院의 通文
-
190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김도화, 김경락, 김두병, 임천서당 | 경주 옥산서원
1906년 11월 1일, 河緯地의 貫鄕과 號에 대한 誣告가 虛僞로 밝혀지면서 祠堂에 祭祀를 드리라는 恩宥를 내려 이의 거행을 玉山書院에 알리는 臨川書堂의 通文
-
1923년 상주(尙州) 도남단소(道南壇所) 통문(通文)
1923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정철우, 송기보, 황재호, 도남단소 | 경주 옥산서원
1923년 尙州 道南壇所에서 溪堂 柳疇睦의 문집을 발간하기로 했으니, 安東 屛山書院에서도 도움을 주길 요청하는 通文
-
1923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백남수, 영해향교 | 경주 옥산서원
1925년 11월 2일 寧海鄕校에서 陶山書院 撤廢運動에 맞서 그의 守護를 위해 協力해 줄 것을 호소하며 13道의 校宮으로 回覽시킨 通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