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15년 이현보(李賢輔) 고신(告身)
1515
|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중종, 이현보
| 안동 가송 영천이씨 농암종택
1515년 3월에 통훈대부행밀양도호부사인 이현보에게 별가함을 증명하기 위해 내린 문서
-
1684년 이구징(李耈徵) 호구단자(戶口單子)
1684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이구징, 경주부
| 경주 양월 경주이씨 양월문중
1684년 2월, 경주부북면안강현에 사는 이구징이 가족원의 인적사항과 소유노비 현황을 기록하여 관에 제출한 문서
-
1765년 이종범(李宗範) 호구단자(戶口單子)
1765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이종범, 경주부
| 경주 양월 경주이씨 양월문중
1765년 1월, 경주부북면안강현에 사는 이종범이 가족원의 인적사항과 소유노비 현황을 기록하여 관에 제출한 문서
-
1801년 이인원(李仁元) 호구단자(戶口單子)
1801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이인원, 경주부
| 경주 양월 경주이씨 양월문중
1801년 1월, 경주부북면안강현에 사는 이인원이 가족원의 인적사항과 소유노비 현황을 기록하여 관에 제출한 문서
-
1804년 이인원(李仁元) 호구단자(戶口單子)
1804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이인원, 경주부
| 경주 양월 경주이씨 양월문중
1804년 1월, 경주부북면안강현에 사는 이인원이 가족원의 인적사항을 기록하여 관에 제출한 문서
-
1846년 이효수(李孝脩) 호구단자(戶口單子)
1846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이효수, 경주부
| 경주 양월 경주이씨 양월문중
1846년 1월, 경주부강서면양월리에 사는 이효수가 가족원의 인적사항과 소유노비 현황을 기록하여 관에 제출한 문서
-
1861년 이효수(李孝脩) 자부(子婦) 최씨(崔氏) 호구단자(戶口單子)
1861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최씨, 경주부
| 경주 양월 경주이씨 양월문중
1861년 1월, 경주부북면안강현에 사는 이효수 사후 자부 최씨가 가족원의 인적사항과 소유노비 현황을 기록하여 관에 제출하기 위해 작성한 문서
-
1876년 이규해(李圭海) 호구단자(戶口單子)
1876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이규해, 경주부
| 경주 양월 경주이씨 양월문중
1876년 1월, 경주부북강서면양월리에 사는 이규해가 가족원의 인적사항과 소유노비 현황을 기록하여 관에 제출한 문서
-
1849년 이정호(李鼎鎬) 서간(書簡)
184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정호,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49년(헌종15) 5월 24일, 시생(侍生) 이정호(李鼎鎬, 1837~1919)가 경주 부윤(慶州府尹)으로 재직 중인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로, 죄수 송씨(宋氏)는 구류(拘留)만 하고 있으며, 또한 경주(慶州)에서 귀양살이 하
-
오리수금호등록(五里藪禁護謄錄)
1733
| 고문서-증빙류-완문
| 경제-세금-완문
| 향청
| 경주 양월 경주이씨 양월문중
경주부 동쪽 오리수(五里藪)는 신라 이래로 유지되어 온 것으로, 대대로 이민들이 수호해 왔다는 내용으로 1733년 작성된 향청의 완문책
-
1689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689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689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697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697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697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08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08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08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11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11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11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23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23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23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28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28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28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33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33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33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39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39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39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50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50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50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
-
1752년 경주 양좌동(良佐洞) 향약안(香約案)
1752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52년 吉凶事 발생시 상호 扶助를 목적으로 경주良佐洞에서 실시되고 있던 洞約의 約員 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