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942년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산군(慶山郡) 자인향교(慈仁鄕校) 청금록(靑襟錄)
1942 | 고서-기타 |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 자인향교 | 경산 자인향교
1942년에 작성된 慶尙北道 慶山郡 慈仁鄕校의 靑襟錄으로 1923년부터 1944년까지의 향교 校任을 수록한 자료
-
1951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향안(鄕案)
1951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신녕향교 | 영천 신녕향교
1951년 慶尙北道 永川郡 新寧鄕校의 유림들이 조선시대 鄕案 작성의 전통을 계승하여, 가문별로 활동하고 있는 현조 인사들의 성명과 그 가문 顯祖와의 계보를 명시해 놓은 자료
-
대한제국기(大韓帝國期)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양군(英陽郡) 영양군수(英陽郡守) 통고문(通告文)
-
1898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양군수(英陽郡守) 전령(傳令)
1898 | 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 정치/행정-명령-전령 | 영양군,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1898년 慶尙北道 英陽郡의 英陽郡守가 英陽鄕校의 復戶 중 折半條인 50냥을 영양군에 납부하라고, 향교 書員에게 지시한 傳令
-
1915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양군(英陽郡) 영양향교(英陽鄕校) 회문(廻文)
191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영양 영양향교, 일월면 첨좌 | 영양 영양향교
1915년 慶尙北道 英陽郡 소재 英陽鄕校의 直員 李暾浩가 군내 日月面의 유림들에게 영양 영양향교에서의 강학 실시를 건의하며 발급한 廻文
-
1897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양군(英陽郡) 향청(鄕廳) 첩정(牒呈)
-
1899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양군(英陽郡) 영양향교(英陽鄕校) 첩정(牒呈)
1899 |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정치/행정-보고-첩정 | 영양 영양향교, 영양군 | 영양 영양향교
1899년 慶尙北道 英陽郡 소재 英陽鄕校 齋中이 春秋大享의 祭物 마련에 쓰이는 新劃錢을 융통하여 집행하겠다며 英陽郡守에게 올린 牒呈
-
1900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양군(英陽郡) 영양향교(英陽鄕校) 첩정(牒呈)
1900 |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정치/행정-보고-첩정 | 영양 영양향교, 영양군 | 영양 영양향교
1900년 慶尙北道 英陽郡 소재 英陽鄕校에서 校生 金道履에게 推捉의 令이 내려지자, 大享을 앞두고 狼狽한 일이 생겼음을 英陽郡守에게 호소하며 올린 牒呈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세기 곽명규(郭明奎) 「순상국교궁획부전식본기(巡相國校宮劃付植本記)」
고서-기타 | 교육/문화-문학/저술-기 | 곽명규 | 대구 현풍향교
19세기 慶尙道 玄風縣 소재 玄風鄕校에 慶尙道觀察使가 100緡을 지원하자 현풍현의 유림들이 이를 殖利하기로 결정한 후, 그 의의를 기록한 현풍향교 郭明奎의 記文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세기 「열성조제명석계의(列聖朝諸明碩啓議)」
고서-기타 | 국왕/왕실-보고-계 | 현풍향교 | 대구 현풍향교
19세기 慶尙道 玄風縣 소재 玄風鄕校에서 역대 명현들이 啓議를 통해 거론한 庶孼許通 관련 발언들을 엮어 놓은 자료
-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간행 『고왕록(考往錄)』 중 1704년 이전 기록
고서-기타 |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 신녕향교 | 영천 신녕향교
慶尙道 新寧縣 新寧鄕校 간행 『考往錄』에 수록된 1704년 이전의 신녕향교 운영 기록, 신녕현 소재 院祠 창건 기록 및 신녕현 출신 인사의 과거 응시 기록
-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간행 『고왕록(考往錄)』 수록 1678년 「유문(遺文)」
-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간행 『고왕록(考往錄)』 수록 1679년 남몽뢰(南夢賚) 「개기제문(開基祭文)」
-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간행 『고왕록(考往錄)』 수록 1679년 남몽뢰(南夢賚) 「상량문(上樑文)」
-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간행 『고왕록(考往錄)』 중 1704년 기록
-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간행 『고왕록(考往錄)』 중 1708년 기록
-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간행 『고왕록(考往錄)』 수록 1744년 서문(序文)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759년 김광태(金光泰) 「성묘이건기(聖廟移建記)」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774년 「영조조태학통문갑오(英祖朝太學通文甲午)」
1774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통문 | 성균관, 현풍향교 | 대구 현풍향교
1774년 鄕黨에서의 서얼 通淸을 권유하는 내용으로, 成均館에서 列邑에 보낸 通文을 庚申年에 玄風鄕校가 揭書한 자료
-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797년 장석윤(張錫胤) 「시서(詩序)」
1797 | 고서-기타 | 교육/문화-문학/저술-서 | 장석윤 | 대구 현풍향교
1797년 慶尙道 玄風縣의 縣監 張錫胤이 太古堂에서 지역 유림들과 『鄕禮合編』의 의례 시행을 약속한 뒤 작성한 序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