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912년 성주군(星州郡) 지사면(志士面) 보월동(甫月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1912 | 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 성주군청
1912년 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慶北 星州郡 志士面 甫月洞의 田畓과 垈地, 林野, 墳墓地 등의 소유자로부터 신고서를 제출받아 작성한 토지 장부
-
1912년 성주군(星州郡) 지사면(志士面) 작은동(鵲隱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1912 | 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 성주군청
1912년 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慶北 星州郡 志士面 鵲隱洞의 田畓과 垈地, 林野, 墳墓地 등의 소유자로부터 신고서를 제출받아 작성한 토지 장부
-
1912년 성주군(星州郡) 초전면(草田面) 봉정동(鳳亭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1912 | 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 성주군청
1912년 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慶北 星州郡 草田面 鳳亭洞의 田畓과 垈地, 林野, 墳墓地 등의 소유자로부터 신고서를 제출받아 작성한 토지 장부
-
1912년 성주군(星州郡) 초전면(草田面) 동포동(東浦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1912 | 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 성주군청
1912년 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慶北 星州郡 草田面 東浦洞의 田畓과 垈地, 林野, 墳墓地 등의 소유자로부터 신고서를 제출받아 작성한 토지 장부
-
1912년 성주군(星州郡) 초전면(草田面) 소성동(韶成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1912 | 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 성주군청
1912년 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慶北 星州郡 草田面 韶成洞의 田畓과 垈地, 林野, 墳墓地 등의 소유자로부터 신고서를 제출받아 작성한 토지 장부
-
1912년 성주군(星州郡) 초전면(草田面) 용봉동(龍鳳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1912 | 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 성주군청
1912년 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慶北 星州郡 草田面 龍鳳洞의 田畓과 垈地, 林野, 墳墓地 등의 소유자로부터 신고서를 제출받아 작성한 토지 장부
-
1912년 성주군(星州郡) 초전면(草田面) 칠선동(七仙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1912 | 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 성주군청
1912년 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慶北 星州郡 草田面 七仙洞의 田畓과 垈地, 林野, 墳墓地 등의 소유자로부터 신고서를 제출받아 작성한 토지 장부
-
1923 |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이선이, 이사호 | 봉화 명호 안동김씨 해헌고택
1923년 10월 12일, 경상북도안동군도산면의촌동에 사는 이선이가 같은 동네에 있는 자신의 밭 441평을 같은 동네에 사는 매수인 미상에게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도증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고상안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조선중기 慶尙道龍宮縣의 西面 및 尙州牧永順面 일대에서 결성되었던 契 조직의 序文으로, 임진왜란 이후 重修하는 과정에서 서면 출신의 재지사족 高尙顔이 작성
-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원정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7세기 후반 上枝洞(現 慶尙北道漆谷郡枝川面新里)에서 실시되고 있던 향약을 새롭게 정비하면서 마련된 上枝洞契의 契案 序文으로, 상지동 출신의 문신인 李元禎이 작성
-
1638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도장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638년 慶尙道星州牧上枝洞(現 慶尙北道漆谷郡枝川面新里) 일대에서 重修된 향약의 서문으로, 이곳 출신의 문신 李道長이 작성
-
1866년 구암동동원좌목기(狗巖洞洞員座目記) 동치오년병인정월일(同治伍年丙寅正月日)
1866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거일1리 동중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조선후기 江原道平海郡下里面朴谷里狗巖洞에서 결성되었던 어촌 공동체 조직의 1866년 座目으로 前尊位 2명과 時洞首 17명의 성명을 기재
-
1895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거일1리 동중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江原道平海郡下里面朴谷里狗巖洞에서 결성되었던 어촌 공동체 조직의 1895년 座目으로 洞首 8명과 有司 4명의 성명을 기재
-
1899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거일1리 동중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江原道平海郡下里面朴谷里狗巖洞에서 결성되었던 어촌 공동체 조직의 1899년 座目으로 모두 28명의 성명이 기록되어 있으며, 각 洞任別 성명도 함께 부기한 자료
-
1900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거일1리 동중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江原道平海郡下里面朴谷里狗巖洞에서 결성되었던 어촌 공동체 조직 구성원 16명의 명단으로, 狗巖洞이 分洞된 후 1900년 11월 19일에 새롭게 작성
-
1909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거일1리 동중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지금의 慶尙北道蔚珍郡平海邑巨逸1里 일대에서 결성되었던 어촌 공동체 조직의 구성원 명부로 1909년부터 1984년까지의 座上, 洞首, 有司 역임자와 閒民을 기재
-
1940 | 고서-기타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거일1리 동중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지금의 慶尙北道蔚珍郡平海邑巨逸1里 일대에서 결성되었던 어촌 공동체 조직의 相互扶助 규정으로 1940년에 제정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금난수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임진왜란 직후 慶尙道禮安縣浮浦洞에서 실시하기 위해 제정된 洞約의 小識와 約條로 부포동 출신의 유학자 琴蘭秀가 작성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희로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조선말기 지금의 慶尙北道永川市 일대의 유림들이 金錫圭를 敬慕하기 위해 契를 결성하고 만든 契帖의 序文으로 영천 출신의 유학자 李熙魯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