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90년 인량족중(仁良族中) 서간(書簡)
189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영양 일월 재령이씨 인려후손가
1890년에 仁良의 族中이 문중의 근래 조치에 대해 항의를 하기 위해 石浦의 僉座에게 보낸 편지
-
1905년 이중업(李中業) 서간(書簡)
190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중업, 류연린
|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1905년 11월 12일, 起巖 李中業이 서로의 근황을 주고받기 위해 奮山 柳淵鱗에게 보낸 편지
-
1920년 류치우(柳致遇) 서간(書簡)
192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류치우
| 영양 일월 재령이씨 인려후손가
1920년 12월 12일에 柳致遇가 자신의 학업의 상황을 전하고 새로 사돈이 된 사람을 소개하기 위해 벗에게 보낸 편지
-
1912년 조주원(趙周遠) 외 5인 서간(書簡)
191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조주원, 조진하, 조태헌, 조태경, 조진구, 조종원
| 영덕 오촌 재령이씨 존재종택
1912년 1월 4일, 조주원 외 5인이 『갈암집』을 보내 준 것에 사례하기 위해 이생원댁에 보낸 편지
-
○○년 류광호(柳廣鎬)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류광호
| 영양 일월 재령이씨 인려후손가
모년 12월 25일에 柳廣鎬가 약속한 일에 대한 자신의 계획을 알리기 위해 외척에게 보낸 편지
-
○○년 이수형(李壽瀅)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수형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4월 25일, 재령이씨 가문의 이수형이 종형제에게 족보간행 사업이 철폐된 근황을 전하는 내용의 편지
-
1862년 이상운(李相運) 서간(書簡)
186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상운, 죽리관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1862년 6월 9일, 石坡 李相運이 『雲嶽集』 간행과 관련하여, 행장 등에 雲嶽 선생의 前配가 누락된 사실 및 몇 가지 문제점 또는 보완할 부분에 대해 상의하기 위하여 竹裏館 측에 보낸 편지
-
1870년 이상언(李相彦) 외 3인 서간(書簡)
187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상언, 이심찬, 이상종, 이상화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1870년 2월 13일, 영양 石浦의 李相彦 외 3인이 춘궁기에 문중의 구성원을 구휼하기 위한 모임을 제안하기 위하여 재령이씨가 살고 있는 仁良과 楮谷으로 보내는 편지
-
1868년 이상언(李相彦) 외 7인 서간(書簡)
186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상언, 이상현, 이상종, 이심찬, 이상적, 이상화, 이상근, 이수영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1868년 2월 17일, 이상언 등이 문중의 일을 협의하기 위한 회의의 날짜를 정하여 통보해 달라고 요청하기 위해 충효당에 보낸 편지
-
1894년 이만호(李晩好) 서간(書簡)
189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만호, 이성호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1894년 7월 1일, 이만호가 세상일에 대한 자신의 감회를 전하고 며느리가 오는 일을 상의하기 위해 사돈인 이성호에게 보낸 편지
-
1899년 이수악(李壽岳) 서간(書簡)
1899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수악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1899년 3월 4일, 이수악이 세를 거두는 문제를 함께 추진하는 일로 자신에게 와달라고 부탁하기 위해 보낸 편지
-
1900년 김병황(金秉璜) 서간(書簡)
190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병황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900년 5월 9일, 김병황이 자신의 큰아들이 석포의 모임에 가지 못한 연유 등을 알리기 위해 보낸 편지
-
○○년 이수형(李壽瀅)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수형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忠孝堂 服執 拜狀上。經歲聯忱。涉月分張。見酒思賢。見文思賢。欲忘而不能忘。衰腸之不武。固如是耶。謹詢比霖。服體震艮。自嗇平重。諸節太平。而寃窆間或經行耶。幷切馳溸不已。族從飽飫淸涼烟霞。纔到石浦。始聞譜役中撤之報。果是得當之事也。大凡衆人之事。衆心和合然後。可以成就。如欲以私勒成。則非但事不成。來
-
1862년 이상운(李相運) 서간(書簡)
186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상운, 죽리관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竹裏館 僉案 卽呈。 石浦 族老 訊書。猗猗竹林。淸颷襲人。竊惟僉履晏重。花樹有樂。使癃殘廢蟄者。感發傾慕也。此中。苟寄人世。忍見季從內外疊喪。無主怨骨。藁葬山坡。人理極處。苦痛苦痛。刊事。今至幾板。十分詳愼。雖一字之娛。一畫之缺。隨處考較。卽爲改正。無至後悔。切祝切祝。行狀及墓誌中。漏遺前配云。聞
-
1866년 이상환(李相桓) 외 4인 서간(書簡)
1866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상환, 이상언, 이심찬, 이상종, 이상근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翼洞 僉案 入納。 石浦族末候書。數晝夜聯榻敍情。豈不誠吾輩殘年一勝事耶。分張各歸。仍復愴黯。有不盡底懷。況其間有不及團圓者乎。儘覺不可窮盡不可完全者。人之情緖與會事也。更未惟僉履用。莫無撼之餘憊。懋元愼節。能無有觸冒所傷。邨裡一齊安依否。旋切溸慕不已。族等。間關歸狀。無足追說。而以若病蟄。辦得筇屣
-
1863년 이상운(李相運) 외 9인 서간(書簡)
186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상운, 이상언, 이상현, 이상종, 이상흡, 독동 회중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篤洞會中。僉案 入納。 石浦族從等。候狀。冬日或溫或寒。未尋。僉履動靜沖裕。各村老少俱安否。不禁面面遐想。族從等。各無善狀尸居者。了無況味。穉健殷弼以愼五日病。蒼黃度了。懋彦冒寒移動之餘。感氣喘喘。穉實從孫夭化。犯寒埋骨。悼亡不暇言。而更添前恙。其餘各家。又未全安奈何。今番會事。吾宗大議論處。鄙等之
-
1858년 이광우(李光羽) 외 3인 서간(書簡)
1858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광우, 이상윤, 이상언, 이기찬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翊洞 楮谷 僉案 入納。 石浦 族從 等 訊書。謹封。歲色垂暮。東望海上。楮谷疊喪。千古絶慘。南谷寃慽。令人氣短。吾宗有何大何於天。而酷罰若是之偏也。散在各處。竟違相吊。悼懷想無彼此之間。苦痛苦痛。雪擁寒山。日記不調。謹諗僉履動靜休咎。邨裏諸況勻善否。乍聞奠厥靡常。擧室漂轉者甚多。此土爲吾宗根本之地
-
1870년 이상언(李相彦) 외 3인 서간(書簡)
187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상언, 이심찬, 이상종, 이상화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故里 楮谷 僉案入納。 石浦族等 候書。晩景遲隔。春序向闌。一嶺東西。際晤無緣。每想公藝同居之樂。未始不擊節而興感。時憑那邊來扣。審僉履大槩節度。而其詳不可得聞。此懷黯黯。第切勞{辶+山/王}而已。族等病狀固耳。近爲冷虎毆蟄杜塞度日。光山賓閤沒之慘。子瑜縗制之慽。漬染相繼。其爲畏懾。不斷憚亡一事已。
-
1883년 이수영(李秀榮) 외 2인 서간(書簡)
188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수영, 이호영, 이수화
| 영덕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故里楮谷僉座入納。 石浦族從等候書。離索之歎。尤切於新歲阻音。謹惟僉體連獲萬護。懸遡切切。族從等。各保衰狀。無足煩溷。月城之會指期漸迫。計當各村。圓滿參會矣。晉州之通。亦以此事。不謨先獲。可得底成否。仍念爲先齋。門排錢。零餘。不得不充數以送於月城會者。晉州聯書。亦及此言。想已入鑑炤矣。此邊所錄錢。當
-
김정섭일록(金鼎燮日錄)
1920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김정섭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庚申正月建。丙寅。【雨水初一日。驚蟄十六日。】○ 初一日【戊申】晴而小風。朝行茶禮。第念今日元朝孤露之感。已難堪裁。而一弟久縶平監。一弟遠在上海。一弟寓仕郡底。獨坐送年。此何人哉。情懷作惡。終日不出。但富孫充完。三家姑免。憲兒去平壤一望餘。昨暮始還。見無車憊。其仲父頻頻面會。形容凡節不甚疲損。讀『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