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896~7년 이원조(李源祚) 문집 훼판(毁板) 사건 성토(聲討) 통문(通文)
-
1896년 지례(知禮) 성산이씨(星山李氏) 문중인(門中人) 통문(通文)
189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성산후인, 성주향교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96년 12월 10일, 凝窩 李源祚(1792~1872)의 문집과 관련된 사건으로 知禮 朔洞에 사는 星山李氏 문중 사람들이 星州 鄕校에 보낸 通文.
-
189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지례향교, 성주향교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96년 12월 13일, 凝窩 李源祚(1792~1872)의 문집과 관련된 사건으로 知禮 鄕校에서 星州 鄕校에 보낸 通文.
-
1896년 선산(善山) 동락정사(東洛精舍) 통문(通文)
189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동락정사, 월천서당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96년 12월 초3일, 凝窩 李源祚(1792~1872)의 문집과 관련된 사건으로 善山에 있는 東洛精舍에서 星州에 있는 月川書堂에 보낸 通文.
-
189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인동향약소, 성주향교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96년 12월 초2일, 李源祚(1792~1872)의 문집과 관련된 사건으로 仁同의 鄕約所에서 星州 鄕校에 보낸 通文.
-
189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고령향교, 성주향교, 모연재, 월천재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96년 12월 20일, 凝窩 李源祚(1792~1872)의 문집과 관련된 사건으로 高靈鄕校에서 星州 鄕校에 보낸 通文.
-
1896년 성주(星州) 월천서당(月川書堂) 통문(通文)
189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월천서당, 성주향교, 회연서당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96년 12월 초3일, 凝窩 李源祚(1792~1872)의 문집과 관련된 사건으로 星州에 있는 月川書堂에서 같은 고을의 星州鄕校와 檜淵書堂에 보낸 通文.
-
1897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대구향교, 성주향교, 모연재, 월천재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91년 1월 15일, 凝窩 李源祚(1792~1872)의 문집과 관련된 사건으로 大邱 鄕校에서 星州 鄕校에 보낸 通文.
-
1897년 대구(大邱) 이락서당(伊洛書堂) 통문(通文)
1897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락서당, 성주향교, 모연재, 월천서당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91년 1월 20일, 凝窩 李源祚(1792~1872)의 문집과 관련된 사건으로 大邱 伊洛書堂에서 星州 鄕校에 보낸 通文.
-
1897년 칠곡(柒谷) 녹봉서당(鹿峯書堂) 통문(通文)
1897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녹봉서당, 성주향교, 회연서당, 월천서당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91년 1월 10일, 凝窩 李源祚(1792~1872)의 문집과 관련된 사건으로 柒谷의 鹿峯書堂에서 星州 鄕校에 보낸 通文.
-
1897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락서당, 성주향교, 모연재, 월천서당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91년 1월, 凝窩 李源祚(1792~1872)의 문집과 관련된 사건으로 密陽에 있는 禮林齋에서 星州 鄕校에 보낸 通文.
-
1897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영산향교, 성주향교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91년 1월 9일, 凝窩 李源祚(1792~1872)의 문집과 관련된 사건으로 靈山 鄕校에서 星州 鄕校에 보낸 通文.
-
1897년 창녕(昌寧) 낙빈유계소(洛濱儒稧所) 통문(通文)
1897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낙빈유계소, 성주향교, 모연재, 월천재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1891년 1월, 凝窩 李源祚(1792~1872)의 문집과 관련된 사건으로 昌寧에 있는 洛濱儒稧所에서 星州 鄕校에 보낸 通文.
-
1863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낙중, 김두흠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영감댁
1863년 7월 17일, 김낙중이 자신과 집안의 근황을 알리고 과거 보러 갈 것임을 알리기 위해 부친인 김두흠에게 보낸 편지
-
-
을묘년 풍기향교(豊基鄕校) 강학소계안(講學所契案) 상(上)
-
-
정축년부터 을축년까지 풍기향교(豊基鄕校) 출의안(出義案)
-
1896~7년 이원조(李源祚) 문집 훼판(毁板) 사건 성토(聲討) 통문(通文)
-
189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인동향약소, 성주향교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