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59년 영천군(永川郡) 이석화(李錫華) 준호구(準戶口)
1759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이석화, 영천군
| 성주 초전 벽진이씨 명암고택
1759년에 永川郡에서 李錫華에게 발급한 準戶口
-
1763년 영천군(永川郡) 이석화(李錫華) 준호구(準戶口)
1763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이석화, 영천군
| 성주 초전 벽진이씨 명암고택
1763년에 永川郡에서 李錫華에게 발급한 準戶口
-
1765년 영천군(永川郡) 이석화(李錫華) 준호구(準戶口)
1765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이석화, 영천군
| 성주 초전 벽진이씨 명암고택
1765년에 永川郡에서 李錫華에게 발급한 準戶口
-
1770년 영천군(永川郡) 이유룡(李猶龍) 호구단자(戶口單子)
1770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이유룡, 영천군
| 성주 초전 벽진이씨 명암고택
1770년에 李猶龍이 永川郡 관아에 제출한 戶口單子
-
1799년 유학(幼學) 이원(李㥳)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1799
|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김처권, 이원
| 고령 관동 성산이씨 홍와고택
1799년에 幼學 李㥳이 幼學 金處權에게 토지를 매입하면서 받은 매매명문
-
1837년 유학(幼學) 이명신(李命臣) 방매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1837
|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이명신, 이정모
| 고령 관동 성산이씨 홍와고택
1837년에 幼學 李命臣이 토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준 매매명문
-
1891년 김노(金奴) 삼득(三得) 방매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1891
|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삼득, 성단, 춘아, 소만춘, 봉이
| 고령 관동 성산이씨 홍와고택
1891년에 金奴 三得이 토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준 매매명문
-
이원조(李源祚) 동락학계안서(東洛學契案序)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원조, 동락학계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9세기 인동東洛書院을 중심으로 학풍을 진작시키기 위해 결성된 東洛學契의 명부 서문으로 성주 출신의 학자인 李源祚가 작성함
-
1868년 정상화(鄭祥和) 외 2인 위장(慰狀)
1868
| 고문서-서간통고류-위장
| 종교/풍속-관혼상제-위장
| 정상화, 정건화, 정치화, 최효술
| 대구 칠계 경주최씨 백불암종중
1868년 3월 24일에 鄭祥和 등이 부고를 받고 상을 당한 崔孝述에게 보낸 위문편지
-
1812년 류이좌(柳台座) 서간(書簡)
1812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류이좌,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피봉]수신, 星州 李 員外 棣案 傳納발신, 頖留 柳弟 候狀 謹封 花押[본문]聖候快復 賀儀已擧西 師告捷 北宸弭憂 慶抃之忱 中外惟均 卽惟始熱 兄棣床動止 循序衛重 令允吉士侍學佳相 仰慰 且溸無任之至 殿虎甄復 不必多賀 而値此慶會 義當不俟駕屨 廖廖伴 旅數人 聚首得接 今政所報
-
1825년 이계우(李啓宇) 서간(書簡)
182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계우,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피봉]수신,星州 大浦 李正言宅 入納 발신, 尙洞 謝狀 謹封 [본문]截然阻閡 只有瞻往 卽拜先施俯翰 仍審間經重患近復 天和警喜交幷啓宇省狀粗寧 餘無足奉聞者 至於嗣續望絶久矣奈何奈何 憐悶及此實用感荷 胎錄 雖無所敎 敢不留念 第當力誦計耳 來便立促 適有客撓 都留不備伏惟照亮乙酉 九月
-
1855년 김학성(金學性) 서간(書簡)
185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학성,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피봉]星州 嶺旅謝狀李承旨宅入納[본문]旣有更枉之約 政切苦企之懷際 承 令惠狀 始審行駕 已過於營下矣 雖値試事之擾滾 失奉之? 想應一般也 更詢不進之候 令候還第萬穩 區區 旋切仰溯 記下 辭章?發 恩移繼降 離違之餘 還省有期 感頌欣豁 但秋務也 勘簿也 仰武試擾 溱泊一時 眼鼻莫開 心手俱
-
1792년 유학 최식(崔湜) 준호구(準戶口)
1792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최식, 대구광역시부
| 대구 칠계 경주최씨 백불암종중
乾隆五十七年 月 日 大丘府考壬子成籍戶口帳內解北村中山里第四統四戶幼學崔鴻改名湜年三十一壬午本慶州 父學生 周鎭 祖贈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兼經筵參贊官行禦侮將軍 世子翊衛司翊贊 興遠 曾祖通德郞鼎錫 外祖學生柳泳本豊山 奉母柳氏年六十八乙巳 妻鄭氏年三十三庚辰籍晋陽 父承議郞>前義禁府都事宗魯 祖
-
1723년 사노 순마군(私奴 巡馬軍) 수돌이(守乭伊) 준호구(準戶口)
1723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수돌이, 성주목
| 대구 칠계 경주최씨 백불암종중
雍正元年 九月 日考癸卯成籍戶口帳內 法化面 第三橋項里 第七統統首金厚長 第四戶私奴巡馬軍守乭伊 年五十甲寅 本順天 父 寺奴儉立 祖 老職通政大夫順福 曾祖 通政大夫唜進 外祖 正兵尹命生 本坡平 母 私婢禮尙 年八十四庚辰 妻 私婢造是 年四十五己未 本密陽 主忠淸道居 ▣▣ 父 正兵 進發
-
1864년 이정상(李鼎相) 서간(書簡)
186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정상, 이달영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피봉]靑松 政閣 下執事星州 李參奉 上候狀 謹封[본문]嶺以南名勝 首稱周王峯 笻屐之遊 宿昔之願 況今有好主人 卽欲躡後塵登絶頂 以續錦江亭餘緣 而好事多魔 又未能焉 向風馳往 只勞 魂夢而已 未知執事 以何淸福 東南作宰 必於山水之鄕也 莅任 居然一周 峽俗想已丕變 伏惟視篆
-
1831년 성원묵(成原黙) 서간(書簡)
1831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성원묵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피봉]수신, 梁山 使君 執事 발신, 玉署 直中 候書 省式謹封 [본문]歲已新春又半 尙阻一候 徒勞詹注 伏惟峭寒政體動靖 神護珍毖 仰慰且溸 記下 病或侵身 衰謝所致 悶憐何喩 今番嶺圍秉筆之任 多士所望 似不免焉 有一奉頌者 星州士人李源祜 卽正言源祚之伯氏也 其聲名滋甚於嶠南 倘或聞知
-
父主前 上白是頃日。星州李上舍便。修上白是書伏計已關下鑒。其後日富。體中氣候若何。伏慕區區之至。子。今日。來到果川從兄家。以爲待榜矣。卽見泮主書送及貴才所告。則子之名參及第榜二十五人云。伏幸。非不知榜奴之先登。而不可無的報。故玆以借人轉違。而此漢素願從我者。善饋留置。以待子之歸省之時。如何。從兄。昨
-
1810년 김양순(金陽淳) 서간(書簡)
1810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양순,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星州 李注書侍丌下 回納壯洞 謝狀 省式謹封向者禁中周旋 尙有餘懷謂外獲奉惠帖 從審伊時還侍萬相 歸詑恩榮於故里 可以想來 何等獻賀溫故之課 必有講究之益 令人健羨 箚於如得 在傍得見何幸何幸 記末 罹病彌留 兒痘方張 悶憂可狀 春間西笑之計 果爾否 以是顒企 餘來人立促 漏萬 不宣謝狀 庚午元月
-
1814년 안정선(安廷善) 서간(書簡)
181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안정선, 이규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星州大浦 李掌令宅入納 貞洞候狀 省式謹封別懷尙切耿耿 卽者庚熱 靜候動止萬衛 仰慰且溯 一直不雨 奄屆中伏年事已判大無 睠言南民 不勝憂慮 弟 冒炎僅稅 卽因道啓 催促對吏 五日無事蒙放 旋因該曺草記 至於罷職之境 義分雖極惶悚 如此灾歲 得免許多苦狀 便有羾寒門濯淸泉之意 但三歲他鄕 有時源源
-
1815년 이존수(李存秀) 서간(書簡)
181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존수, 이원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星州 李注書宅 回納 巡營謝狀 省式謹封秋深 懷人政爾耿耿 卽拜惠狀 謹審邇來侍餘起居萬護 工科有進 尤爲慰仰 存秀 左省行部 歷徧山海 徒貽迎候之弊 無補於民邑 還營纔數日耳 右沿則大損於左 必多民訴 恐無遊覽之暇也 初發之日 當宿星州 貴庄不甚迤路云當圖歷敍 而若至侵夜 恐難必也 餘 不備 都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