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62년 성주(星州) 민인(民人) 박지석(朴之錫) 등 등장(等狀)-1
1862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박지석, 강진형, 송지문, 경상감영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三十日辰時星州民人朴之錫姜鎭馨宋之文等狀。右等狀段。日前本州民狀 題音內。營需米純錢代納。依願施行是白遣。追後 甘結內。下納米二斗退秋事。有下 處分是白乎尼。卽此兩件施惠。實爲窮民紓力是白乎矣。尙有焚溺之憂。又此疾痛之呼。伏願矜念,而垂察焉。本州統移轉。本是還米是去乙。米品與下納米。無異曾前二百餘石
-
1878년 성주(星州) 이판서댁(李判書宅) 노(奴) 도성(道成) 소지(所志)
1878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도성, 합천군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星州李判書宅奴道成 右謹陳所志段。矣宅貞敬夫人山所。在於治下山於面梅花山是乎加尼。墓下至近坐立俱見百餘步地。不意何許人不知何月何日有 隱暗平葬之變。自然現露。聞卽摘奸是乎則。地雖如前平衍是羅。作奸形迹十分無疑是乎尼。世豈有如許巧譎之 漢乎。審愼之道。不敢私自區處。故玆以俱由仰訴爲去乎。參商敎是
-
1862년 성주(星州) 대소민인(大小民人) 등장(等狀)
1862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星州大小民人等狀右等狀段。本州許多弊瘼。本官城主今方次第矯革。而其中統營移轉米。本以還穀。每年耗條數百石。以本色輸納是白加尼。近年以來。還穀變爲稅米。耗數變爲加作。米品之受麤換精。石數之年增歲加。爲一戶民難支之痼瘼。故月前鄕會時。自本官論報巡營。以本色米詳定價。每石三兩得蒙許題往復該營是乎所。當此大
-
1854년 이승지댁(李承旨宅) 노(奴) 학종(學宗) 소지(所志)
1854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학종, 개녕현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星州李承旨宅奴學宗。右謹言。矣宅方營緬禮。占山於 治下赤田面鳥羅洞是如。因橫川居李日大之作梗。雖因 官傳令。更爲置塚。而日後之事。或不無意外之慮。故玆以仰龥爲去乎。立旨成給。行下爲只爲。開寧官司主 處分。 甲寅五月 日。旣因官令而置標。則有何後慮之爲哉。依所訴成給立旨
-
1734년 이돌이(李乭伊) 입안(立案)
1734
| 고문서-증빙류-입안
| 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 이돌이, 성주목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雍正拾貳年二月日。星州牧。斜只立案。右立案爲斜給事。粘連所志及隨參各人等招辭。與原來帳籍文卷。現納相考。則雍正四年丙午三月二十三日。子運興處。許與別給成文中。右文爲。今日乃汝之初度日也。爲父之心。不勝喜悅。玆將星州婢愛菽一所生婢愛眞。二所生婢三日。婢延大一所生奴夢覺。大丘婢成元二所生奴擔沙里。三所生
-
1731년 이이신(李爾紳) 입안(立案)
1731
| 고문서-증빙류-입안
| 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 이이신, 성주목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雍正九年 四月日。星州官。斜只立案。右立案爲斜給事。課狀粘連別給文記及各人等招辭是置有亦。別給文記。取納相考爲乎矣。故婢是介一所生婢士今。年四十四己巳生身果。同婢一所生婢英化。年九癸卯生。二所生婢延丹。年七乙巳生身。三口乙。後所生幷以。汝矣處。成文爲去乎。任意使喚事。明文是齊。上項婢三口。士今果。英
-
1734년 증인(證人) 김백중(金伯重) 등 초사(招辭)
1734
| 고문서-증빙류-초사
| 법제-소송/판결/공증-초사
| 김백중, 성가팔리, 문재장, 성주목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同日。 證人。金伯重。年。 證保。成加八里。年。 證筆。文再章。年五十。「手決」號牌各各現納。白等。矣等亦。李時達奴婢放賣時。各各隨參是如爲在。眞僞從實現告亦。推問敎是臥乎在亦。上項李時達亦。其子運興初度日別給奴婢。連値凶餘。報償買債。許多眷口救活事。星州居婢永丹貳所生婢玉丁年四十
-
1858년 성주(星州) 이참판댁(李參判宅) 산지기 정금불(鄭金不) 산지매매명문(山地賣買明文)
1858
| 고문서-증빙류-차용증
| 경제-회계/금융-차용증
| 박, 정금불, 강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咸豊八年戊午三月 日。星州李參判宅山直。鄭金不處明文。右明文段。山於面回龍洞局內。有各人邱隴。而互相入葬。不可獨自禁養。故附近各洞大小民人。結稧養松。已至四五年。而星州李參判宅置塚後。自官定界。成給立旨。稧中或有言說是如。自右宅好意請買。故決價三十兩。依數捧上是遣。成文記。幷稧案出給。日後如有雜談
-
1734년 이돌이(李乭伊) 노비매매명문(奴婢賣買明文)
1734
|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이시달, 이돌이, 김백중, 성가팔리, 문재장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雍正拾貳年甲寅二月初七日。李乭伊處明文。右明文爲臥乎事段。矣亦。要用所致。星州居婢永丹二所生婢玉丁。年四十乙亥生。及同婢二所生奴后世。年拾壹甲辰生。三所生婢后禮。年陸己酉生等。三口身乙。價折錢文三十兩。依數捧上爲遣。同奴婢。後所生幷以。永永放賣爲乎矣。右奴婢段。在丙午年分。子運興初度日。別給爲是矣。
-
1734년 이끗만(李唜萬) 노비매매명문(奴婢賣買明文)
1734
| 고문서-명문문기류-노비매매명문
| 경제-매매/교역-노비매매명문
| 이돌이, 이끗만, 배자망, 현종백, 김한걸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雍正拾貳年甲寅二月二十四日。李唜萬處明文。右明文爲臥乎事段。矣身切有急用處。勢不得已。自己買得是在。星州居婢永丹二所生婢玉丁。年四十乙亥生。及同婢二所生奴后世。年拾壹甲辰生。參所生婢后禮。年陸己酉生等。參口身乙。價折錢文貳拾壹兩。依數捧上爲遣。同奴婢後所生幷以。永永放賣爲乎矣。本文記壹張。及當初買得
-
○○년 조부(祖父)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안동 소호 한산이씨 소산종가
孫兒答書。回馬宜來。而久不來。方切慮鬱。此伻代至。得書具悉。行李無事。客況安勝。尤以爲慰。第査夫人瘇患。爲之驚慮。誰人審證投劑耶。爲一悵然。無論背瘡與他瘇。萆麻子酒。爲治瘇良劑。試之爲可。其法。萆麻子去殼。實三合。則粘米三合作飯。曲子三合。並和之。作酒【萆麻子去殼後。亂搗如泥樣】。過三四日後。微溫。
-
00년 이광정(李光靖)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광정, 장수훈
| 안동 소호 한산이씨 소산종가
頃便忙甚。付一字以問二音。回便承書。今又專人遠問。一月所得已奢矣。慰此窮寂之懷。其可言耶。仍審此時慈闈體力康寧。侍餘眷集勻安。尤庸忻慰。生。塊坐愁寂。已閱歲矣。忽此生朝。百感交集。左右不忘。遠此書問。此生來第一況味也。若地步稍邇。源源而集。其樂詎有涯耶。江漲路泥。體孫之不能來固也。渠兒有向學之念。隨
-
○○년 이광정(李光靖)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광정, 이병탁
| 안동 소호 한산이씨 소산종가
送汝之後。雨潦不霽。仍以晩炎。每切懸念。料外。伻書見到。欣慰十分。仍審此時。客中眠食安好。主家凡百無他。孫婦亦平善。何喜如之。但葬禮尙未卜期。未知果在那時耶。葬期如擇定。示及爲可。吾尤困老炎。昏憒度日。時時遮眼朱子全書以自遣耳。汝父欲赴大邱葬事。去月念間已發行。直往星州。看汝妹。仍迤向計耳。汝欲往漆
-
1787년 이우(李㙖) 서간(書簡)
1787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우
| 안동 소호 한산이씨 소산종가
虎院 首席 案下。 蘇湖 李弟候狀。亟欲面晤未果。而華旆向院。恨意良多。卽日。齋中節宣佳迪。仰慰無任。弟。保依侍事。第星州査事。出於急迫。令人措手不得。其在公議。此間士林。不可袖手坐視。欲送他人。恐有推周不肯之患。故弟方自當魯院儒生之名。不知貴院定出儒生已得發去否。弟方以今日發程。然名帖不可不收送。
-
1875년 성주향교(<지명>星州지명> 鄕校) 통문(通文)-2
1875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성주향교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通文。右文爲通告事。伏以。仕宦者未必有學問。學問者未必有仕宦。自古槪矣。而惟 定憲公凝窩李先生仕宦而至卿相。佐理乎昭代之治。學問而兼文章。俾益乎後生之敎。其業可謂備矣。起精舍於伽倻泉石。春秋不廢講學。行遺集於鄕省士林。遠近得被其觀感。其蹟可使久矣。而但世變勿遷。人事有替。至使晩歸一區殆未能保舊日光景
-
1896년 인동(仁同) 향약소(鄕約所) 통문(通文)
189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인동향약소, 성주향교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通文。右文通諭事。伏以。世或有欲尊祖。而反忝先者。卽白洞李氏是已。定憲公之爲 晴暉堂所制文字。何等商量何等鄭重。而設令爲人後者尊慕之心。措其辭稱其號。雖或有未滿。其於鋟梓。閱歲往復本家釐正之潤削之。未爲不可。而初刊重役都無一言半辭。迺於今日。所謂李載儀李鳳宇輩。不問曲直不度事理。{口+奏}其子弟。率
-
1897년 창녕(昌寧) 낙빈유계소(洛濱儒稧所) 통문(通文)
1897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낙빈유계소, 성주향교, 모연재, 월천재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通文。右文爲奉告事。伏以。事有當正而不及正。則馴致於卒不可正。力能正而不爲之正。則其罪與不正者等。鄙等伏見定憲公文集印行于世。積有年所其措注予奪一遵元本宜。非後人之所敢議者。竊聞。今者 貴鄕白洞居李載儀李鳳宇等。以集中所載其先祖晴暉堂文字有不如其意。私率不逞。破壞印板。嗚乎。玆非變之大者歟。假使事有
-
1896년 고령향교(高靈鄕校) 통문(通文)
189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고령향교, 성주향교, 모연재, 월천재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通文。右文爲通告事。生等竊伏聞。貴鄕白洞李氏之挺變於 定憲公凝窩李先生文集。始焉疑繼以驚且嘆。而終焉爲 貴鄕竊恥之也。蓋其挺變之根因。專在於晴暉先生之稱公。而古人之於前輩。尊而稱之曰公。宗而稱之曰先生。非有高下重輕之別於其間。則李氏之所爭於是者。豈識昧至此歟。此生等之不能無疑者也。設或有高下重輕於是
-
1896년 지례향교(知禮鄕校) 통문(通文)
1896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지례향교, 성주향교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通文。右文爲通諭事。伏以。能知尊尊之禮。而安可昧文字上義理。亦有親親之道。而果得見事實間端緖。夫定憲公之爲晴暉堂所制文字。何等鄭重。鄕道章甫之校正印出者。又何等商量。而彼李載儀李鳳宇不知義理端緖。率其子弟。投入人之先亭。斧板刀字。此何變怪。是何頑習。尊其祖奉立身之訓而然歟。顯其親揚行悖之名而然歟。玉
-
1897년 밀양(密陽) 예림재(禮林齋) 통문(通文)
1897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락서당, 성주향교, 모연재, 월천서당
|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通文。右文爲通告事。伏以。凡所以敬先生長者者。琴瑟尙戒勿越。卽席亦訓毋蹶。矧論道講禮功業事行所載之書。人孰不尊閣而祗敬之乎。噫 定憲公李先生德義問學之盛。先王之所禮敬也。儒苑之所矜式也。雖杖屢所過山川草木之微。尙可以愛其精彩守護之道。必加勤謹。而苟或有蕘竪樵兒無所知覺偶加斧斤。猶當懲戢不饒。況所尊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