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영주(榮州)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백고리사(白皐里社) 『병오12월시 잡록(丙午十二月始 雜錄)』 수록 1843년 「계묘8월초7일향교대향시발문(癸卯八月初七日鄕校大享時發文)」
1843 |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 백고리사, 풍기향교 | 영주 풍기향교
1843년 8월 초7일 慶尙道 豊基郡의 豊基鄕校 측이 고을 내 각 문중에 白皐里社에 대한 扶助를 요청하기 위하여 발급한 通文
-
영주(榮州)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백고리사(白皐里社) 『병오12월시 잡록(丙午十二月始 雜錄)』 수록 1861년 「신유정월중수일록(辛酉正月重修日錄)」
-
영주(榮州)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백고리사(白皐里社) 『병오12월시 잡록(丙午十二月始 雜錄)』 수록 1862년 기사
-
영주(榮州)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백고리사(白皐里社) 『병오12월시 잡록(丙午十二月始 雜錄)』 수록 1868년 훼철 후 물품 이관 목록
-
영주(榮州)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백고리사(白皐里社) 『병오12월시 잡록(丙午十二月始 雜錄)』 수록 1869년 정월 17일 「매위판고문(埋位板告文)」
1869 |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 백고리사 | 영주 풍기향교
慶尙道 豊基郡 소재 白皐里社가 서원훼철령으로 철폐된 후, 1869년 정월 17일 제향자의 位版을 땅에 묻는 과정에서 작성된 告文
-
박수춘(朴壽春) 근서주문공백록동학규급여씨향약시생도문(謹書朱文公白鹿洞學規及呂氏鄕約示生徒文)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박수춘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7세기 초반 慶尙道密陽府 屬縣이었던 豊角縣의 교화를 위해, 朱子의 白鹿洞學規와 呂氏鄕約을 여러 生徒들에게 소개하면서 작성한 朴壽春의 글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김수인, 구령동계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조선전기 慶尙道密陽府龜齡洞에서 결성된 洞契의 서문으로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洞案을 복구하면서 金守訒이 작성한 서문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신국빈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18세기 후반 慶尙道密陽府 출신의 유학자 申國賓이 밀양부에서의 鄕約 실시를 위해, 條目을 제정하면서 작성한 說
-
-
-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병희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조선후기 高宗 연간 慶尙道密陽府에서 향촌 교화를 위해 密陽府使申奭均이 제정한 향약의 題後로, 밀양 출신의 유학자 李炳憙가 작성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병희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9세기 후반 慶尙道密陽의 退老洞에 정착한 李翊九가 洞民의 교화를 위해 실시한 退老洞約의 後識로 그의 아들 李炳憙가 작성
-
1603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박수춘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임진왜란이 직후, 재지사족 중심의 향촌질서 확립을 위해 1603년에 제정한 慶尙道密陽府 鄕規의 序文으로 朴壽春이 작성
-
1622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안신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7세기 초반 재지사족 중심의 향촌질서 확립을 위해 1622년에 수정한 慶尙道密陽府 鄕憲의 序文으로 安㺬이 작성
-
1624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박수춘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慶尙道密陽府의 재지사족들이 향촌지배질서 확립을 위해 1624년에 重修한 鄕案의 序文으로, 지역 출신의 유학자 朴壽春이 작성
-
1648년 강대수(姜大遂) 밀양향약입의서(密陽鄕約立議序)
1648 |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강대수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임진왜란 이후 재지사족 중심의 향촌지배질서 확립을 목적으로 1648년 慶尙道密陽府 留鄕所에서 제정된 立義의 序文으로 密陽府使였던 姜大遂가 작성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韓末 慶尙道密陽 지역의 鄕案 운영관련 규정 및 17세기 鄕案 入錄時 可否 상황을 기록한 것과 『邑誌』 소재 人物 및 亭閣 자료를 엮어 간행한 자료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해방 이후 지금의 경상남도양산 지역에서 간행된 鄕案으로, 조선중기부터 일제시대까지 양산 지역에서 활동했던 鄕員들을 망라해 놓은 名簿
-
1921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21년 울산 지역에서 간행된 鄕案으로 임진왜란 이후부터 1704년까지의 鄕員들을 종합해서 기록한 鶴城舊鄕案과 1921년 당시의 鄕員들을 기록해 놓은 續修錄을 엮어 놓은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