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에 대한 검색결과
-
1845년 개정(改正) 1845~1853년 경상도(慶尙道) 문경현(聞慶縣) 문경향교(聞慶鄕校) 임원록(任員錄)
-
1880~1886년 경상도(慶尙道) 문경현(聞慶縣) 문경향교(聞慶鄕校) 임원록(任員錄)
-
-
1980년 간행 『영천향교교지(永川鄕校校誌)』 수록 1611~1712년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향안(鄕案)
1980 |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천군 향청 | 영천 영천향교
1611년부터 1712년까지의 慶尙道 永川郡 역대 鄕案을 엮어 1980년 간행 『永川鄕校校誌』에 수록한 자료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41년 8월 하양유생상달장문(河陽儒生上達狀文)
1741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하양현 유생 황윤중 등, 경상감영 | 경산 하양향교
慶尙道 永川郡의 臨皐書院 측이 河陽縣의 環城寺 전답을 據奪해 가자, 1741년 8월 하양현 幼學 黃允中 등이 하양현 관아로 환성사를 退屬시켜 달라며 慶尙監營에 올린 狀文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62년 4월 영천유생의송(永川儒生議送)
1762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영천군 유생 박수성 등, 경상감영 | 경산 하양향교
1762년 4월 慶尙道 永川郡의 儒生들이 河陽縣으로 移屬된 環城寺를 재차 臨皐書院으로 돌려 줄 것을 慶尙道觀察使에게 청원한 議送
-
1805년 공주 유학(幼學) 송지수(宋智修) 등 상서(上書)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69년 하양현보장등서(河陽縣報狀謄書)
1769 | 고문서-첩관통보류-보장 | 정치/행정-보고-보장 | 하양현, 경상감영 | 경산 하양향교
1769년 6월 25일 慶尙道 河陽縣 河陽縣監이 環城寺를 하양현 관아에 귀속시키자는 의견으로 慶尙監營에 올린 報狀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70년 예조관문(禮曹關文)
1770 | 고문서-첩관통보류-관 | 정치/행정-명령-관 | 예조, 경상감영 | 경산 하양향교
1770년 環城寺를 둘러싼 慶尙道 河陽縣 河陽鄕校와 永川郡 臨皐書院 간의 송사에 대해, 禮曹가 환성사를 하양향교에 仍屬시키라고 慶尙監營에 통보한 關文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70년 순영관문(巡營關文)
1770 | 고문서-첩관통보류-관 | 정치/행정-명령-관 | 경상감영, 하양현 | 경산 하양향교
1770년 環城寺를 둘러싼 慶尙道 河陽縣 河陽鄕校와 永川郡 臨皐書院 간의 송사에 대해, 慶尙監營이 환성사를 하양향교에 仍屬시키라고 하양현에 통보한 關文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70년 경주부윤사보제(慶州府尹査報題)
1770 | 고문서-첩관통보류-보장 | 정치/행정-보고-보장 | 경주부, 경상감영 | 경산 하양향교
1770년 7월 慶尙道 河陽縣 소재 環城寺를 둘러 싼 하양현과 永川郡 유생 간의 분쟁에 대해, 慶州府尹이 조사한 뒤 慶尙監營에 올린 보고서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70년 순영결안관문(巡營決案關文)
1770 | 고문서-첩관통보류-관 | 정치/행정-명령-관 | 경상감영, 하양현 | 경산 하양향교
1770년 10월 慶尙道觀察使가 環城寺 決訟에 대하여, 환성사를 河陽縣에 소속시키는 것으로 판결을 내린 후, 그 決案을 하양현에 보내면서 작성한 關文
-
1892년 5월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하체(下帖)
-
1892년 5월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품목(稟目)
1892 | 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 정치/행정-보고-품목 | 옥동서원, 상주목 | 상주 옥동서원
慶尙道 尙州牧 玉洞書院의 使喚私耕畓이 川下洞 洞稧 稧員에 의해 사사로이 放賣되자, 1892년 5월 옥동서원 측이 해당 전답을 돌려달라며 尙州牧使에게 올린 稟目
-
1892년 4월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품목(稟目)
1892 | 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 정치/행정-보고-품목 | 옥동서원, 상주목 | 상주 옥동서원
1892년 4월 慶尙道 尙州牧 玉洞書院의 使喚私耕畓이 川下洞 洞稧 稧員에 의해 사사로이 放賣되자, 옥동서원 측이 해당 전답을 돌려달라며 尙州牧使에게 올린 稟目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75년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제사(題辭)
1775 | 고문서-증빙류-제사 | 법제-소송/판결/공증-제사 | 경상감영 | 경산 하양향교
1775년 慶尙道觀察使가 環城寺 決訟은 前 경상도관찰사 金東弼의 판결에 따르고, 더 이상 聽理하지 말라는 뜻으로 내린 題辭
-
1892년 6월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천하동(川下洞) 완의(完議)
-
1751년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동촌동(同村洞) 통문(通文)
175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조익한, 풍기군 향청 | 영주 풍기향교
1751년 慶尙道 豊基郡 東村洞의 趙翊漢 등 22인이 分洞에 대한 대책을 촉구하며 풍기군 鄕廳에 발급한 통문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71년 태학관통문(太學館通文)
177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성균관, 경주향교 등 | 경산 하양향교
1771년 成均館 儒生들이 臨皐書院 간행 『圃隱集』 수록 圃隱先生年譜의 添註 11자를 刊去하자는 의견으로 慶尙道 소재 주요 鄕校·書院에 보낸 通文
-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환성사결송 예조문서등록(河陽環城寺決訟 禮曹文書謄錄)』 수록 1772년 태학관통문(太學館通文)
177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성균관, 경주향교 등 | 경산 하양향교
慶尙道 유생들이 環城寺 決訟에 대한 河陽縣監 李憲洛의 판결에 반발하자, 1772년 4월 成均館 유생들이 이를 경계하라는 뜻으로 경상도 소재 주요 鄕校와 書院에 보낸 通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