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53년 영천군(永川郡) 이석화(李錫華) 호구단자(戶口單子)
1753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이석화, 영천군
| 성주 초전 벽진이씨 명암고택
北面第四求理內里。第十八上元覺村。第五十八統。第二戶。幼學。李錫華。年▣▣八丙戌。本星州。父。學生命世。生父。學生命周。祖。折衝將軍行龍驤衛▣▣軍亨復。曾祖。學生皛。外祖。通德郞李光鼎。本鐵城。妻。南氏。年五十五己卯。籍英陽。父。學生胤明。祖。學生亨夏。曾祖。通訓大夫行彦陽縣監勇賫。外祖。學生金忠佐
-
1756년 영천군(永川郡) 이석화(李錫華) 호구단자(戶口單子)
1756
|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이석화, 영천군
| 성주 초전 벽진이씨 명암고택
北面第四求理內里。第十八上元覺村。第五十八統。第五戶。幼學。李錫華。年五十一丙戌。本星州父。學生命世。生父。學生命周。祖。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亨復。曾祖。學生皛。外祖。通德郞李光鼎。本鐵城。率子。羲龍。年二十九戊申。率子。猶龍。年二十丁巳。婦。權氏。年二十三甲寅。籍安東。丙子六月日。戶首。李[着名
-
대구광역시 옻골마을 부인동지(夫仁洞誌)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부인동 동약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正宗大王癸卯二月傳曰嶺南山川風氣之美最於八路重以二三先正倡道興學名賢之輩出俗土之敦厚良有以也近來人才雖不逮古其中讀書之人皆能步趍端詳言貌恭謹不問可知爲嶺南儒士云豈非遺風尙存經誦不衰故耶予欲拔其尤以用之特患未之知也聞前嶺伯言前主簿崔興遠不但有行誼洞有先公恤貧之庫隣里不知有常賦仍鄕約勸課云旣聞之後豈可不
-
1478년에 작성된 우향계축(友鄕稧軸)
1478
|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서거정, 권자겸, 배효건, 이증, 남경신, 노맹신, 노맹신, 권곤
| 봉화 유곡 안동권씨 충재종택
友鄕稧帖 單友鄕稧軸修義副尉前行左軍司勇權自謙 本安東父進勇副尉虎勇侍衛司右領司正 居約通訓大夫前行玉果縣監南原鎭管兵馬節制都尉裴孝騫 本興海父嘉善大夫判晋州牧使兼勤農兵馬節制使 桓 通訓大夫前行靈山縣監大丘鎭管兵馬節制都尉李增 本固城父推忠翊戴同德佐命功臣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議領集賢殿 經筵春
-
1862년 경상도 유림의 상서(上書)
1862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이능선, 이종연, 이동화, 예조
| 경주 경주향교
慶尙道慶州幼學李能宣柒谷幼學李鍾淵蔚山幼學李東和等謹齋沐再拜上書于禮府尙書閤下伏以褒寵孝行列聖朝扶植倫綱之昭典也甄援遺逸大宗伯承宣諮度之戱節也然而挽近以來此等闡揚玉石相蒙薰蕕雜故其間不無卓異之行高世之倫而進言者嫌於汨薰而過自泯嘿聽言者眩於眞贋而遂生厭薄是以草澤巖穴之間懷抱道德砥礪名行深藏不市者非無其
-
1911년 간행 밀양향안(密陽鄕案)
1911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密陽鄕案密州鄕案鄕案之作所以記鄕人姓諱來歷而鄕人至衆旣不可以備載而盡記也則就其中不能無取舍入錄之規此列邑之通行而吾嶺之尤所致意者也密之爲邑雖處最下而魁偉卓犖之才徃徃生於中昔時文獻有足稱者出入於鄕堂登名於鄕案者皆是衣冠之人文學之士人才之盛俗尙之美盖甞冠絶乎南州矣不幸龍蛇之變一境糜爛覆家殄宗者十居八九况
-
20세기 중반 간행 양산향안(梁山鄕案)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序梁之爲邑雖曰偏小自金精忠作宰以來俗礪忠孝習尙遜悌文士繼起生進蔚興長幼貴踐各安其分少無陵貴侮長之令一鄕和睦四隣稱美其中悖常者間或有之衆口唾{(夕/皿)+阝}終擯不與玆以掛憲鄕廳遵守不失者積幾年紀不幸遭亂耆舊諸賢百不一存而只遺無狀如吾等數人而己天日重明得還故土俗訛人非事從姑息居此之鄕視其可恝重修古風此
-
1980년 거창 거창향교(居昌鄕校) 간행 거창향안(居昌鄕案)
1980
| 고서-기타
|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거창 거창향교
| 거창 거창향교
>居昌鄕案全嗚呼鄕之有錄尙矣京鄕異制慶閥之居于鄕者莫不各立鄕舍世錄其名豈非鄕飮與鄕射之制乎箕封八路中文物鄒魯莫如我嶺表而最雄者吾鄕故每於春秋明酒講義有補風敎信乎可觀者多也世代旣遠難以稽古姑據其見在者言之愼爲始書盖以土姓而然也于後名門甲族之來于是土者亦隨以錄而數百年來祖先名籍儘在鉄券矣不幸丁酉火于世服
-
安東倡義大將爲再擧檄諭事伏以春秋著尊攘討復之義兵家有屈伸往來之數成敗利鈍有不暇逆睹也此鄙鄕向日之擧上不負先王休養之澤下而爲生民奠安之策倡率義旅馳檄鄕道以爲同聲協謀之地而條例方始賊魁突入屠戮我城邑勒削我頭髮鄒魯舊鄕幾乎禽獸之域祖宗遺民將入魚閔之肆乃收兵捲陣自貽百步之羞則不能無愧於道內忠勇之士然今日澠池
-
1931년 도산서원(陶山書院) 도회(道會)에서 보내온 통문(通文)
1931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이회욱, 권응선, 영양 영양향교
| 영양 영양향교
通文㐲以道學之統緖相承的乎標準於百世士林之公議有定孰敢容私於一毫惟我 陶山夫子自得遺經啓道東方初無師資於當日也噫聖門閉塞正路榛蕪斯文(之變至於今)日汾川李氏所謂授受錄者而極矣聾巖孝節公䆠逹名立而恬退養望爲山林之老仙陶山夫子以鄊里後進卑牧而優敬者固其所也迺者聾巖後孫獵取陶山全書中(登門質)業扶凡䝉誨山
-
김양렬(金揚烈) 향록안개수서(鄕錄案改修序)
고서-문집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김양렬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鄕錄案改修序嶺南素稱士大夫淵藪而其中不能無地步之淸濁門閥之高下旣有淸濁高下則珉玉之別在所不已而鄕錄之昉厥惟舊哉自有鄕錄以來名分正而綱紀肅禮俗成而民風厚鄕之有錄非獨有關於鄕而抑亦大有補於國乎然則爲是錄者非務爲淸濁高下之卞別也惟以正名分肅綱紀爲先而名分之正綱紀之肅亦在於淸濁高下之卞別則烏得不論其地步門閥
-
영주(榮州)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백고리사(白皐里社) 『병오12월시 잡록(丙午十二月始 雜錄)』 수록 1786년 12월 기사
1786
|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 백고리사
| 영주 풍기향교
丙午十二月始雜錄丹谷先生立享事道內公議之發已多年數而?此未遑矣去甲辰春榮川?溪書院有道會事會中多士以先生之?未祭社齊聲慨然卽發通于順興校院以爲?時揭虔之議蓋爲順邑卽先生晩年棲息之鄕也其後安東三溪書院通文又繼到順邑士林卽定鄕會以先生杖?所立祠事發文于一浮石檜石書堂因與議竝享甁山金先生而以爲不日營建之事
-
영주(榮州) 풍기향교(豊基鄕校) 소장 백고리사(白皐里社) 『병오12월시 잡록(丙午十二月始 雜錄)』 수록 1790년 기사
1790
|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 백고리사
| 영주 풍기향교
庚戌正月日又請木手始役三月初完役丹?以三月十七日中丁定行還安行祀事年前湖西道通以沙村安先生入享事來到嶺中嶺中士論以爲豊基乃沙村杖?之鄕榮川伊山書院通文安東三溪書院通文順興紹修書院通文次第來到以白皐竝享之議屢屢敦喩故自本鄕定鄕校堂會敦定合享之擧定出追享時執事都執禮生員南泰鎭都廳南泰一李世檍都辦黃復源李